•  
  •  
  •  
  •  
  •  
  •  
  •  
  •  
  •  
  •  

왕조(r4 판)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분류
1. 개요2. 현재 군주국의 왕조
2.1. 아시아2.2. 유럽2.3. 아프리카2.4. 오세아니아
3. 국가별 역사적 왕조4. 신화적 왕조5. 가공의 왕조

1. 개요[편집]

군주의 지위를 세습하는 가문, 또는 그러한 가문이 이끄는 군주국 체제를 일컫는 단어.

유사 용어로 왕가, 왕실 등이 있다.

왕조와 국가의 관계에 대해서는 한자문화권과 그 외 문화권의 인식이 다르다.

한자문화권에서는 왕조의 교체는 곧 단순히 왕가의 성씨가 바뀌는 게 아니라 나라 자체가 바뀐다는 역성혁명설에 따라 고려왕조(고려조), 조선왕조(조선조), 명왕조(명조), 청왕조(청조) 등 '국호+왕조(조)'라는 용법이 보편화되었다.[1]

반면 유럽이나 중동을 포함한 타 문화권에는 위와 같은 인식이 딱히 없어서 고대부터 여러 왕조가 같은 국호를 공유하는 게 일반적이었고, 따라서 '국호+왕조'가 아닌 '성씨+왕조' 또는 '시조의 이름+왕조' 형태의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왕국이 아닌 제국의 왕조를 황조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유사 표현인 황실과 달리 현대에 들어서 새롭게 생겨난 표현이며 전근대 동아시아에서는 황제국의 경우에도 왕조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또한 중화권에서는 지금도 명황조, 청황조 등의 표현을 쓰지 않고, 명왕조, 청왕조 등이나 명조, 청조 등으로 표기한다.

2. 현재 군주국의 왕조[편집]

2.1. 아시아[편집]

  • 동남아시아
    • 말레이시아[4]
    • 브루나이[S]
    • 캄보디아[K]: 노로돔 왕조
    • 태국[K]: 짜끄리 왕조
  • 남아시아
    • 부탄[K]: 왕축 왕조
  • 서아시아
    • 바레인[K]: 할리파 왕조
    • 사우디아라비아[K]: 사우드 왕조
    • 아랍에미리트[E][12]: 나흐얀 왕조
    • 오만[S]: 부사이드 왕조
    • 요르단[K]: 하심 왕조
    • 카타르[E]: 타니 왕조
    • 쿠웨이트[E]: 사바 왕조

2.2. 유럽[편집]

  • 남유럽
    • 스페인[K]: 보르본 왕조
  • 서유럽
    • 네덜란드[K]: 오라녀-나사우 왕조
    • 룩셈부르크[GD]: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 모나코[P]: 그리말디 가문
    • 벨기에: 벨기에 왕조[21]
    • 영국[K] 및 영연방 왕국[23]: 윈저 왕조[24]
  • 중부유럽
    • 리히텐슈타인[P]: 리히텐슈타인 가문
  • 북유럽
    • 노르웨이[K]: 글뤽스부르크 왕조[27]
    • 덴마크[K]: 글뤽스부르크 왕조

2.3. 아프리카[편집]

  • 북아프리카
    • 모로코[K]: 알라위 왕조
  • 남아프리카
    • 레소토[K]
    • 에스와티니[K]: 들라미니 왕조

2.4. 오세아니아[편집]

  • 통가[K]: 투포우 왕조

3. 국가별 역사적 왕조[편집]

4. 신화적 왕조[편집]

5. 가공의 왕조[편집]

[1] 신라의 경우 세 가문(박, 석, 김)이 돌아가면서 왕위를 차지한 예외적인 사례였지만, 한국에서는 그냥 한 왕조로 취급해서 신라왕조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2] 일본의 천황영어Emperor of Japan이라 번역되지만, 공식 국호는 칭호를 반영하지 않고 그냥 일본국이라 하며, 영문 공식 국호도 그냥 Japan이다.[3] 한국에서는 일본 왕실이라 부르기도 한다.[4] 9개 주의 지방 군주들이 순번대로 돌아가며 국가원수를 맡으며, 그 중 7명은 술탄이지만, 1명은 라자, 1명은 얌투안이라 칭하고 있다.[S] 5.1 5.2 술탄국(Sultanate).[K] 6.1 6.2 6.3 6.4 6.5 6.6 6.7 6.8 6.9 6.10 6.11 6.12 6.13 6.14 6.15 왕국(Kingdom).[E] 11.1 11.2 11.3 아미르국(Emirate).[12] 정확히는 구성국 중 하나인 아부다비의 아미르이며, 아랍에미리트 전체에서는 대통령을 칭하고 있다.[GD] 대공국(Grand Duchy).[P] 20.1 20.2 공국(Principality). 후국으로 번역되기도 한다.[21] 본래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였으나 1차 대전 당시 가문명을 변경했다.[23] 아메리카와 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여러 나라의 왕을 겸한다.[24] 본래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였으나 1차 대전 당시 가문명을 변경했고, 엘리자베스 2세가 그리스 글뤽스부르크 왕조(덴마크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방계) 출신 필립 공과 결혼하에 낳은 찰스 3세가 즉위하면서 부계 혈통상 글뤽스부르크 방계가 되었다.[27] 덴마크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방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