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버마에서 넘어옴
분류
미얀마 연방공화국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1]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장.svg
국기
국장
행복은 조화롭게 훈련된 삶에서 발견된다.[2]
ပျော်ရွှင်မှုအတွက်လိုက်ဖက်စွာစည်းကမ်းအသက်တာ၌တည်ရှိသည်
상징
국가
세상이 끝날 때까지
(ကမ္ဘာမကျေ, Kaba Ma Kyei)
국화
파다욱[3]
역사
1947년 12월 10일 영국으로부터 독립
1962년 3월 2일 군사반란
1988년 8월 8일 8888 항쟁
2011년 1월 31일 현행 헌법 발효
2021년 2월 1일 군부 쿠데타
2021년 5월 5일 미얀마 내전 발발
지리
[ 펼치기 · 접기 ]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54,850,648명(2025년) | 세계 27위
인구밀도
76명/km²(2017년) / 세계 125위
민족 구성
버마족 68%, 샨족 9%, 카렌족 7%, 라카인족 4%, 몬족 2%, 기타 10% 등
출산율
세계은행 자료 2.10명(2020년)[5] CIA 자료 2.02명(2022년)[6]
HDI
0.583(2019년) / 세계 147위
미얀마어(버마어)
공용 문자
종교
군대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관구[8]
7개
자치주[9]
7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0.96점, 권위주의 (2024년)
(167개국 중 166위)[10][11]
대통령[12]
민 아웅 흘라잉(권한대행)
총리
(국가행정위원회 위원장)
(군 최고사령관)
[13][14]
민 아웅 흘라잉
(Min Aung Hlaing / မင်းအောင်လှိုင်)
부총리
(국가행정위원회 부위원장)
(군 부사령관)
소 윈
(Soe Win / စိုးဝင်း)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GDP
명목 GDP
$639억 8,800만(2023년) / 세계 88위
GDP(PPP)
$2,777억 6,700만(2023년) / 세계 64위
1인당 GDP
명목 GDP
$1,180(2023년) / 세계 169위
GDP(PPP)
$5,124(2023년) / 세계 146위
$1,800억 / 세계 72위(2020년)
신용 등급
측정되지 않음
통화
단위
[ 펼치기 · 접기 ]
시간대
UTC+6:30
미얀마 단위계, 제국 단위계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
대한민국
1975년 5월 16일 수교[15]

북한
1975년 5월 16일 수교
1983년 11월 4일 단교[16]
2007년 4월 26일 재수교
무비자 입국
한국인 → 미얀마 : 비자필요
미얀마인 → 한국 : 비자필요
주한대사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28길 12
.mm
국가 코드
104, MMR, MM
국제전화 코드
+95
여행경보
출국권고
여행금지 지역 제외 전 지역
여행금지
샨주 북부 및 동부, 까야주, 라카인주, 미야와디주
1. 개요

1. 개요[편집]

미얀마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서쪽에 위치한 공화국이다. 방글라데시, 인도, 중국, 라오스, 태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인도양의 연안국이기도 하다. 1989년 6월까지는 ‘버마’라고 하였다.
[1] Pyidaunzu Thanmăda Myăma Nainngandaw [pjìdàʊɴzṵ θàɴməda̰ mjəmà nàɪɴŋàɴdɔ̀][2] 버마어 문장을 직역하면 "해탈을 위해서는 필요한 노력을 부지런히 해야 한다"라는 뜻이다. 미얀마어 단어 ရွှင်မှု(솅무, hrang-hmu)는 상좌부 불교에서 '해탈'을 뜻하는 팔리어 어휘 bodhi의 번역어에서 유래하며, 점차 '행복'을 뜻하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3]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사실상의 국화로 여겨진다. 미얀마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꽃들에 속하기 때문이다.[4] 2006년까지는 양곤.[5] 출처[6] 출처[7] 출처 [8] ပြည်နယ်. 다수를 차지하는 버마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들이다.[9] တိုင်းဒေသကြီ. 버마족에 속하지 않는 소수민족들이 거주하는 지역들의 행정구분이다.[10] 미얀마의 뒤로는 같은 0점대로 167위인 아프가니스탄이 있으며 앞에는 165등으로 북한이 있다.[11] 2021년에는 1.02점으로 1점대를 유지했었지만 2022년에 0.73점으로 떨어지면서 아프가니스탄과 함께 0점대를 기록한 국가가 되었다.[12] 국가원수[13] 정부수반[14] 2011년에 총리직이 폐지되었으나 민 아웅 흘라잉이 자신을 스스로 총리직으로 임명시켜 총리직이 부활했다.[15] 수교에 앞서 1962년 6월 16일에 영사관계를 수립했다.[16]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에 따라 단교. 국가 승인 역시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