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롯데 자이언츠 | |
Lotte Giants | |
정식 명칭 | 롯데자이언츠 프로야구단 |
영문 명칭 | Lotte Giants Baseball Club |
창단 | |
프로화 | |
법인 설립 | |
법인명 | ㈜롯데자이언츠 |
모기업 | |
상장 유무 | |
기업 규모 | |
구단 사무실 | |
주요 라이벌 | |
운영 법인 | |
연고지 | 부산광역시 (1982~) |
상징색 | 군청색 (#041E42) |
구단주 | |
대표이사 | 이강훈 |
단장 | |
감독 | 88 김태형 |
주장 | 8 전준우 |
영구 결번 | |
비공식 결번 | |
홈구장 변천 | |
2군 구장 | 상동 야구장 (2007~) |
키트 스폰서 | |
링크 | |
공식 애플리케이션 | |
KBO 한국시리즈 우승 (2회) | |
페넌트 레이스 우승 (0회)[9] | |
전·후기 리그 | 1984년 후기 |
포스트시즌 진출 (12회) | |
한국시리즈[10] | |
플레이오프 | |
준플레이오프 | |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
1. 개요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야구단.
[1] 롯데의 계열사인 롯데쇼핑과 롯데제과가 롯데 자이언츠의 최대주주로 있었으나, 2017년에 롯데제과가 롯데지주로 바뀌면서 롯데지주가 95%, 롯데알미늄이 5%를 소유하고 있다.[2] 사직 야구장 내에 위치하고 있다.[3]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실업팀으로서 모기업 법인이 직접 운영했다.[4] 1982년 4월 22일 설립.[5] 2017 시즌부터 결번 상태다. Giants TV에서 진승현이 아버지 진갑용의 등번호인 20번을 사용하려 했으나 임수혁의 등번호여서 사용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고 밝히면서 구단 측에서 임수혁의 등번호 20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만 하지 않았을 뿐, 사실상 준영구 결번에 해당하는 비공식 결번으로 지정하고 관리하고 있음이 알려졌다.[예정] 6.1 6.2 6.3 [9] 단일 리그 기준.[10] 한국시리즈 준우승은 2회지만 삼성의 1985년 전후기 통합우승으로 한국시리즈가 취소되어 통합 승률 2위를 차지한 롯데가 준우승 구단이 되었다. 즉, 롯데의 역대 준우승 횟수는 3회다.[11] 가을야구를 제외한 정규 시즌 기준. 경기 당 평균 20,597명.[12] 가장 많은 평균 관중 수를 기록한 건 2008년(21,901명).[13] 가을야구를 제외한 정규 시즌 기준. 경기 당 평균 1,910명.[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무관중 시즌들은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