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Tuta
종류
이메일 서비스
개발사
Tuta
플랫폼
언어
상태
운영 중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제공자 목록3. 가입4. 주의 사항

1. 개요[편집]

Tuta는 암호화 이메일 서비스로, E2EE 방식[1]을 사용하며[2] 회사와 서버는 독일에 있다. Tuta는 한국어로 보안을 뜻한다. 구 명칭은 Tutanota였으며, 이 경우 nota는 한국어로 문자를 뜻한다.

무료 계정으로는 1GB의 용량을 제공하고 그 이상의 용량이 필요 시 유료 계정으로 가입이 필요한데 이 경우 커스텀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한 계정에서 최대 20개의 별도 이메일 주소를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엄청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다.

코드 자체는 오픈 소스이나, POP3나 IMAP은 지원하지 않으며, 암호화 방식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PGP를 쓰지 않고 자체 개발한 방식을 쓴다고 한다.

무료 계정의 경우 6개월 이상 한 번이라도 로그인하지 않는다면 삭제되고, 복구 코드를 분실 시 이메일 주소(ID)나 비밀번호를 분실한 경우 계정을 절대로 복구할 수 없으니 유의할 것.

2. 제공자 목록[편집]

@tuta.com[유료]
@tutamail.com
@tuta.io
@tutanota.com
@tutanota.de
@keemail.me
총 6가지가 있다. 이 중 최상단 제공자는 유료 플랜 구독자만 사용할 수 있다.

3. 가입[편집]

무료 사용자는 ToS에 따르면 1인당 한 개의 무료 계정만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무료 가입이 비교적 쉬운 편이라 여러 개를 만드는 사람도 있다. 본인이 사용할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가입 절차가 끝난다. 이 때문에 운영 측에서도 가입이 쉽다는 점을 인지한 듯 하여, 케바케지만 간혹 48시간 뒤에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어떤 경우에는 IP 단위로 가입이 막히기도 한다. 무료 계정은 일반적으로는 가정용 IP에선 가입하기 힘들며, 통신사 IP에서는 가입이 잘만 된다 카더라(...) 다만 유료 구독을 통해 가입하면 위 제한이 없다.

또한 Tuta는 만 16세 이상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대부분 다 16세 이상이라는 문구에 체크해서 별 의미는 없다

4. 주의 사항[편집]

계정 삭제 후 재가입을 시도 시, 일시적으로 아이피가 차단된다.

이런 경우에는 개인 PC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된 PC나 모바일 네트워크로 가입이 가능하다.[4] 또는 지원 팀 메일[5]로 문의를 넣으면 가입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주소를 보내준다. 다만, 탈퇴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야 링크를 보내 준다.[6]

[1] 흔히 말하는 종단간 암호화의 약칭이 맞다.[2] 다만 Proton Mail이 사용하는 PGP 방식의 암호화를 사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암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그래서인지 암호화 강도가 낮다는 평가가 많다.[유료] [4] 대신, 48시간 뒤에 계정이 활성화 된다. 48시간 이전에는 이메일을 보내거나 받을 수 없다.[5] hello@tutao.de[6] 이미 링크를 받고 가입한 상황에서 추가로 계정을 생성하겠다고 또 링크를 요청하면, 지원 팀에서도 보내 주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런 류의 이메일 제공자들은 가입이 쉽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악용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는 듯 하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Tuta 문서의 r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