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역대 국왕
2.1. 노르만 정복 이전: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2.1.1. 웨식스 왕조2.1.2. 데인 왕조(크누트 왕조)2.1.3. 웨식스 왕조
2.2. 노르만 정복 이후
2.2.1. 노르만 왕조2.2.2. 무정부시대: 블루아 왕조 VS 노르만 왕조2.2.3. 플랜태저넷 왕조
2.2.3.1. 플랜태저넷 본가2.2.3.2. 랭커스터 왕조2.2.3.3. 요크 왕조2.2.3.4. 랭커스터 왕조2.2.3.5. 요크 왕조
2.2.4. 튜더 왕조2.2.5. 스튜어트 왕조2.2.6. 공위시대: 잉글랜드 연방2.2.7. 스튜어트 왕조(왕정복고)

1. 개요[편집]

잉글랜드 왕국의 군주 칭호로 오늘날 영국 국왕 칭호의 전신이다.

2. 역대 국왕[편집]

2.1. 노르만 정복 이전: 앵글로색슨 잉글랜드[편집]

2.1.1. 웨식스 왕조[편집]

  • 애설스탠
  • 에드먼드 2세

2.1.2. 데인 왕조(크누트 왕조)[편집]

  • 크누트 대왕
  • 해럴드 1세
  • 하레크누드

2.1.3. 웨식스 왕조[편집]

  • 참회왕 에드워드
  • 해럴드 2세
  • 에드거 2세(에드거 애설링)

2.2. 노르만 정복 이후[편집]

노르만 정복 이후에도 잉글랜드 왕국이라는 국호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정작 이전의 잉글랜드 왕위와의 연속성은 딱히 신경쓰지 않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시절에 이미 에드워드라는 왕이 3명[1]이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르만 정복 이후에 즉위한 플랜태저넷 왕조의 에드워드 1세부터 '에드워드 ~세'라는 넘버링으로 부르는 것이 있다.

2.2.1. 노르만 왕조[편집]

  • 윌리엄 1세
  • 윌리엄 2세
  • 헨리 1세

2.2.2. 무정부시대: 블루아 왕조 VS 노르만 왕조[편집]

  • 블루아 왕조: 스티븐 왕
  • 노르만 왕조: 마틸다

2.2.3. 플랜태저넷 왕조[편집]

2.2.3.1. 플랜태저넷 본가[편집]
  • 헨리 2세
    • 공동왕: 청년왕 헨리
  • 리처드 1세
  • 존 왕
  • 헨리 3세
  • 에드워드 1세
  • 에드워드 2세
  • 에드워드 3세
  • 리처드 2세
2.2.3.2. 랭커스터 왕조[편집]
  • 헨리 4세
  • 헨리 5세
  • 헨리 6세
2.2.3.3. 요크 왕조[편집]
  • 에드워드 4세
2.2.3.4. 랭커스터 왕조[편집]
  • 복위: 헨리 6세
2.2.3.5. 요크 왕조[편집]
  • 복위: 에드워드 4세
  • 에드워드 5세
  • 리처드 3세

2.2.4. 튜더 왕조[2][편집]

  • 헨리 7세
  • 헨리 8세
  • 에드워드 6세
  • 임시: 제인 그레이
  • 메리 1세(메리 튜더)[3]
  • 엘리자베스 1세

2.2.5. 스튜어트 왕조[편집]

  • 제임스 1세[4]
  • 찰스 1세

2.2.6. 공위시대: 잉글랜드 연방[편집]

올리버 크롬웰에 의해 왕정이 폐지되고 공화정이 수립되었던 시기.

2.2.7. 스튜어트 왕조(왕정복고)[편집]

  • 찰스 2세
  • 제임스 2세[5]
  • 메리 2세/윌리엄 3세[6]
  • 앤 여왕[7]
[1] 대 에드워드, 순교왕 에드워드, 참회욍 에드워드[2] 부계가 아닌 모계를 통해서만 랭커스터 왕조 혈통을 물려받았기에, 랭커스터 왕조 또는 플랜태저넷 왕조가 계속 이어진 것으로 치진 않는다.[3] 스코틀랜드의 메리 1세(메리 스튜어트)와는 동명이인이다.[4] 스코틀랜드 국왕으로서는 제임스 6세[5] 스코틀랜드 국왕으로서는 제임스 7세.[6] 네덜란드의 오라녀-나사우 가문 출신. 네덜란드 공화국 국가원수(스타트하우더)로서는 빌럼 3세, 스코틀랜드 국왕으로서는 윌리엄 2세.[7] 스코틀랜드 왕위와 병합하여 그레이트 브리튼 국왕(영국 국왕) 칭호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