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1. 개요[편집]
Imperatorem stantem mori oportet. 임페라토르는 서서 죽어야 한다. |
베스파시아누스 |
2. 언어별 임페라토르 유래 단어[편집]
- 로망스어군
- 이탈리아어: Imperatore
- 스페인어: Emperador
- 포르투갈어: Imperador
- 프랑스어: Empereur
- 영어: Emperor
3. 역사[편집]
3.1. 로마 문명[편집]
3.1.1. 로마 공화국[편집]
본래 임페라토르는 2개 이상의 군단(레기온)을 지휘할 수 있는 권리인 '임페리움(Imperium)'을 소지한 자가 받는 칭호였다.
선출직 정무관인 집정관(Consul)과 법무관(Praetor)이 우선적으로 이 칭호를 받았고, 로마의 영토가 크게 팽창하고 전선도 늘어나서 현직 집정관, 법무관만으로는 다수의 전선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자 집정관을 역임하고 은퇴한 전임 집정관들 중에서 임명된 '대행 집정관(Proconsul)'들에게도 임페리움을 부여했다.
선출직 정무관인 집정관(Consul)과 법무관(Praetor)이 우선적으로 이 칭호를 받았고, 로마의 영토가 크게 팽창하고 전선도 늘어나서 현직 집정관, 법무관만으로는 다수의 전선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자 집정관을 역임하고 은퇴한 전임 집정관들 중에서 임명된 '대행 집정관(Proconsul)'들에게도 임페리움을 부여했다.
3.1.2. 로마 제국[편집]
3.1.2.1. 고대 로마 제국[편집]
3.1.2.2. 동로마 제국[편집]
3.2. 로마 황제위 계승을 주장한 국가[편집]
3.2.1. 신성 로마 제국[편집]
3.2.2. 러시아 제국[편집]
3.2.3. 프랑스 제국[편집]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 제1제국과 나폴레옹 3세의 프랑스 제3제국에서는 임페라토르에서 유래한 프랑스어 단어 Empereur를 황제의 칭호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