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임의 문서
도구
최근 변경
문하성
분류
동아시아사
아시아의 구법
정부조직
관련 문서:
3성 6부제
,
,
,
,
,
1
. 개요
2
.
중국
의 문하성
3
.
발해
의
선조성
4
.
고려
의
중서문하성
5
. 관련 문서
1.
개요
[편집]
전근대
동아시아
3성 6부제
의 3성 중 하나로,
군주
의 칙령을 검토하고 주요 정책에 대한 심의를 담당했다.
수장은 문하시중이었는데, 줄여서 시중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3성 가운데 문하성과
중서성
은 업무 범위가 자주 겹쳤기에 두 기관의 관직을 겸직하는 양상이 자주 나타났는데,
고려
에서는 아예 하나의 기관으로 통합하여 중서문하성을 두기도 했다.
2.
중국
의 문하성
[편집]
문하성의 시초는 후한 시대의 '시중사'였고,
수나라
3성 6부제
에서 3성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문하성은 여러 중원 왕조에서 주요 기관으로 존재했으나,
금나라
와
원나라
는 각각 3성을
상서성
,
중서성
으로 일원화시킨 1성 6부제를 운용하여 문하성을 두지 않았다.
3.
발해
의
선조성
[편집]
자세한 내용은
3성 6부제(발해)
문서
를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발해는
당나라
의 문하성을 도입했으나,
선조성
이라는 독자적인 명칭을 사용했다.
4.
고려
의
중서문하성
[편집]
자세한 내용은
2성 6부제
문서
를
의
번 문단을
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려는 문하성과
중서성
의 기능을 통합한
중서문하성
을 설치하여 운용했다.
5.
관련 문서
[편집]
상서성
중서성
이 문서는
2025-06-05 01:07:23
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Contents are available under the
CC BY-NC-SA 2.0 KR
; There could be exceptions if specified or metioned.
Liberty
|
the s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