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3성 6부제
,
,
,
,
,
1. 개요2. 중국의 문하성3. 발해선조성4. 고려중서문하성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전근대 동아시아 3성 6부제의 3성 중 하나로, 군주의 칙령을 검토하고 주요 정책에 대한 심의를 담당했다.

수장은 문하시중이었는데, 줄여서 시중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3성 가운데 문하성과 중서성은 업무 범위가 자주 겹쳤기에 두 기관의 관직을 겸직하는 양상이 자주 나타났는데, 고려에서는 아예 하나의 기관으로 통합하여 중서문하성을 두기도 했다.

2. 중국의 문하성[편집]

문하성의 시초는 후한 시대의 '시중사'였고, 수나라 3성 6부제에서 3성 중 하나가 되었다.

이후 문하성은 여러 중원 왕조에서 주요 기관으로 존재했으나, 금나라원나라는 각각 3성을 상서성, 중서성으로 일원화시킨 1성 6부제를 운용하여 문하성을 두지 않았다.

3. 발해선조성[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3성 6부제(발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발해는 당나라의 문하성을 도입했으나, 선조성이라는 독자적인 명칭을 사용했다.

4. 고려중서문하성[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성 6부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고려는 문하성과 중서성의 기능을 통합한 중서문하성을 설치하여 운용했다.

5.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