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Geometry Dash/포럼 순위
,
,
,
,
파일:Leaderboard_Top1.webp
포럼 순위

클래식 / 플랫포머
Pointercrate 리스트
1위 ~ 150
151위 ~
AREDL 리스트
All Extreme Demon
NLW 리스트
No List Worthy


[ 목차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Main List
2.1. Tidal Wave2.2. Acheron2.3. Silent clubstep2.4. Avernus2.5. Abyss of Darkness2.6. Kyouki2.7. Tunnel of Despair2.8. Slaughterhouse2.9. Sakupen Circles2.10. KOCMOC2.11. Menace2.12. Firework2.13. MINUSdry2.14. The Lightning Rod2.15. Deimos2.16. LIMBO2.17. poocubed2.18. Saul Goodman2.19. Eyes In The Water2.20. Solar Flare2.21. Belladonna2.22. The Hallucination2.23. COMBUSTION2.24. Edge of Destiny2.25. Codependence2.26. Mayhem2.27. walter white2.28. UNKNOWN2.29. Deadlier Clubstep2.30. PSYCHOPATH2.31. SARYYX NEVER CLEAR2.32. arcturus2.33. Sinister Silence2.34. Sonic Wave Infinity2.35. Damascus2.36. Midnight2.37. Tartarus2.38. Jigsaw2.39. Oblivion2.40. The Golden2.41. Verdant Landscape2.42. ATOMIC CANNON Mk III2.43. Delta2.44. NETWORK2.45. Shukketsu2.46. Terminal Rampancy2.47. Climax2.48. Trueffet2.49. Aerial Gleam2.50. Critical Heat2.51. The Paroxysm of Rage2.52. Zodiac2.53. Hard Machine2.54. Esfera2.55. Kenos2.56. Destruction 192.57. NEUTRA2.58. Dry Out Copyable 22.59. Keres2.60. Fragile2.61. Frost Spirit2.62. Crackhead Circles2.63. Promethean2.64. Lotus Flower2.65. Thinking Space2.66. qoUEO2.67. SUPERHATEMEWORLD2.68. Cold Sweat2.69. Widestep2.70. Crimson Planet2.71. Renevant2.72. ConClusion2.73. Scream Machine2.74. Sky Shredder2.75. Calculator Core
3. Extended List
3.1. shimmer3.2. DIRECTIONS3.3. Cognition3.4. Cosmic Cyclone3.5. Trotil3.6. Amalgam3.7. Guideless Goobering3.8. SARY NEVER CLEAR3.9. Instinct3.10. Lucid Nightmares3.11. Ykds1479ymdppr3.12. RUST3.13. CORRODERE3.14. ATOMIC CANNON Mk II3.15. Shardscapes3.16. Akashic Records3.17. RUTHLESS3.18. Sides Of My Mind3.19. Horros3.20. Ragnarok3.21. Escape Room3.22. TORN3.23. me when machine gang3.24. Launchpad Labyrinth3.25. Silent Club3.26. Descent Into Exile3.27. Omega Interface3.28. Coral Cave3.29. Congregation3.30. Pandemonium3.31. The Rupture3.32. Jupiter My Favourite3.33. Kappa3.34. The Art of the Blade3.35. no jokes3.36. Bloodlust3.37. Fog3.38. Asterios3.39. Excruciation Chamber3.40. Jesse Pinkman3.41. Terminux3.42. Twilight3.43. Neon Skyline3.44. CITRA3.45. Sazerix3.46. BarbarosFinaleFinale3.47. Gracefully3.48. Awedsy3.49. Aronia3.50. Deimos3.51. Pagoda3.52. Moving Forward3.53. ATOMIC CANNON3.54. Sigma3.55. Knights of Thunder3.56. Atmos3.57. Ploink3.58. IthacropoliX3.59. Nhelv3.60. untitled unmastered3.61. Cicatrize3.62. DsinK3.63. SAND SAILOR3.64. FRIDAY3.65. Farthest Outpost3.66. Ouroboros3.67. CONNECT3.68. Ourwa3.69. kowareta3.70. XRAY3.71. Dump3.72. Visible Ray3.73. Th3Dev0n3.74. The Yandere3.75. Arctic Lights
4. 순위 미정
4.1. Main List
4.1.1. ORDINARY4.1.2. Natural Disaster
4.2. Main List or Extended List
4.2.1. Viprin UFO4.2.2. DISSONANCE4.2.3. Axinie4.2.4. Checked Steam
4.3. Extended List4.4. Extended List or Not List Worthy
4.4.1. Pootis Engage XTREME
5. Legacy List (151위~)

💡바로가기: Main List(1~75위) / Extended List(76~150위) / 순위 미정
❗PC 환경에서 Ctrl+F, 모바일 환경에서는 설정 > 찾기로 데몬명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개요[편집]

Geometry Dash에서 공식 포럼인 Pointercrate에 등재된 데몬맵 중 Main-Extended List에 해당하는 레벨들을 정리한 문서.

2. Main List[편집]

파일:지메포크랭킹.webp
Pointercrate 랭킹 TOP10
[ 펼치기 · 접기 ]
#1 - Tidal Wave
OniLinkGD
#2 - Nullscapes
ItzKiba
#3 - Avernus
PockeWindfish
#4 - Anathema
nikrodox
#5 - Acheron
ryamu
#6 - Silent clubstep
TheRealSailent
#7 - Spectre
xander
#10 - Kyouki
{出見塩}
최근 변경 내역
↑2 | Nullscapes #2
↓1 | Avernus #3
↑2 | Anathema #4
↓2 | Acheron #5
↓1 | Silent clubstep #6
기준일: 2025년 2월 7일

이 항목은 가장 어려운 데몬 Top 75를 서술한다.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면 각 맵을 클리어한 유저와 일정 구간까지 간 유저들을 확인할 수 있다.
- Pointercrate
- GMD 한국 포럼 (한국인 플레이어들의 기록만 모아서 볼 수 있다.)

영상은 베리파이한 유저의 영상으로 가져오되, 영상이 적절하지 않거나 없으면 클리어한 유저의 영상이나 쇼케이스로 가져온다.

2.1. Tidal Wav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idal Wav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Achero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cher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Silent clubstep[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ilent clubste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Avernu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vernus(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Abyss of Darknes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byss of Darknes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Kyouki[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youki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 Tunnel of Despair[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unnel of Despai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8. Slaughterhous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laughterhouse(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Sakupen Circle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kupen Circle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KOCMOC[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OCMOC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Menace[편집]

Menace
by MannyHeffley, verified by Whizkid05
캡션

"The only truth in this world is that there is no truth." Verified by Whizkid. Level and song by me.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7805281
3분 09초
77620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1
난이도
Extreme Demon

MannyHeffley의 개인 레벨. 레벨뿐만이 아니라 레벨의 곡 또한 MannyHeffley가 작곡한 것이다. Menace의 의미는 위협(적인 존재)라는 뜻이다. 제작자는 이 레벨이 도덕성과 그와 유사한 것에 대해 가졌던 실존적 질문과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보기 드문 난해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열린 해석으로 남겨놓았다.

독특한 테마[1]를 가진 주황색 계열의 레벨이며 스윙[2], 카메라, 타임워프 등의 2.2 특징들을 잘 살려냈다. 난해하고 화려한 게임플레이가 3분 동안 이어진다. 중후반에 대시링 연타 구간이 있는데 회오리의 한 줄에 정확히 위치해야 한다.

여담으로 2% 부근에서 죽을 시 사람이 튀어나오는 이스터에그[3]가 있으며, 중간중간에 제작자가 쓴 시가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펼치기 · 접기
Present reality is not aligned with what was preordained
but
Do not paint me a believer of deities
Meaning exists without the divine
Meaning equates to truth
and
The only truth is that there is no truth

The dictation of perception belongs to us
and us alone
This does not mean that meaning fluctuates
from one conscience to another
Meaning is constant
Meaning equates to truth
and
The only truth is that there is no truth

A pursuit of freedom is in vain if one chases something
larger than themself
All things beyond conscience are fiction
True freedom does not exist in circumstance
It exists in thought
however
Neither is of more significance
For thought is circumstance
And circumstance to those unaltered
By existential disquiet is frightening

The only truth is that there is no truth
And that truth is parallel to our meaning
Existing without the divine
This is my only belief
One of verity
One of a menace

2024년 7월 14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4년 7월 16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024년 8월 16일, 11위로 배치되었다. 이로 인해 전 Top 1 데몬, Plasma Pulse Finale가 약 6년 8개월만에 Legacy로 퇴출되었다.[4]

2.12. Firework[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lassical VIP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MINUSdr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ry Ou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The Lightning Rod[편집]

The Lightning Rod
by Lavatrex
캡션

Solve the mystery of thunderstorms on a rainy day. 264 hours and 101 thousand attempts. My greatest project ever. Love you all! (bug @ 10% fixed 2/23/24)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3917076
1분 37초
44710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2
난이도
Extreme Demon

Lavatrex가 레이아웃, 디자인, 베리파이까지 모두 담당한 개인 제작 맵이다. 디자인은 조잡한 편이지만, 코어 디자인으로 구성된 좁은 공간에서 여러 참신한 게임플레이가 특징인 맵이다.

초반 로봇파트에서 블록에 전기가 들어오면 피격 판정을 갖는다. 이후 거미 파트에서는 빨간 열쇠는 먹지 않고 파란 열쇠만 먹어야 한다. 또한 웨이브 파트에서는 경로의 절반이 번갈아가며 막히는 등의 최상위권 익데에서는 보기 힘든 여러 기믹을 갖고 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피뢰침이 테마이며 60%까지는 게임 특성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피뢰침 안에서 위로 올라가고 있다. 이는 63%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피뢰침 밖으로 나오며 공중에 있는 기계에서 떨어지는 낙뢰를 피한다. 낙뢰를 피하며 기계 안으로 들어가서 자신을 희생해 기계를 멈추는 것이 공식 스토리이다.

2023년 8월 29일 Lavatrex가 101,285어템을 사용하여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예상 난이도는 Top 15.

2023년 10월 8일, Zoink최초로 클리어했다. 클리어 이후 맵의 이상한 게임플레이 때문에 자신이 클리어한 레벨 중 2번째로 나쁜 맵이라 평했다.[5] Zoink답게 이 맵도 1만 어템 미만을 사용하여 클리어한 후 아마도 Top 15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2023년 10월 19일, 13위에 배치되었다. Tartarus급 맵을 대부분 5천 어템 전후로 쳐내는 Zoink가 어템을 꽤 많이 사용한 것도 그렇고, 정황상 Tartarus급-Tartarus 근소 상회급 맵들 중 가장 어려운 축에 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7월 8일, Laniakea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완전히 나쁘진 않으나 추천은 하지 않는다고 한다.

최초로 유명해진 당시에는 비슷한 이름 때문에 유명한 꽁데몬 'The Lightning Road'의 리메이크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

2.15. Deimos[편집]

Deimos
by ItsHybrid & more[6], verified by Doggie
캡션

Megacollab made by 20+ people. Sequel to Phobos. Verified by Doggie in 43k attempts. Good luck..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3091893
2분 57초
15764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3
난이도
Extreme Demon

ItsHybrid가 주최한 Phobos의 공식 후속작. 원래는 Phobos의 비공식 후속작이었으나, 공식 후속작이었던 Skele의 Deimos의 제작이 중단되면서 공식 후속작이 되었다.

호스트가 원했듯이 1.9 스타일을 잘 활용해 전체적으로 Phobos의 느낌을 잘 살렸다. 조악한 퀄리티로 악평이 있었던 전작에 비해 개선된 디자인과 파트간 조화가 돋보인다. 전작의 호스트였던 Tygresek도 참여하였으며, Phobos에도 참여하였던 Smokes는 이번에도 참여하여 파트를 만들었다.

2021년 3월 9일, 첫 번째 프리뷰가 공개되었다.#

2021년 10월 14일, 디자인이 완성되어 full level이 공개되었다. 난이도는 TOP 1급으로, 추후 난이도 밸런싱과 너프 등을 통해 TOP 5정도의 난이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베리파이어인 Blitzer가 38%, 31-64%, 46-100%를 달성했지만 베리파이어가 Cursed로 바뀌었으며, 55-100%를 달성했지만 드롭하여 ThnnderGD가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Thnnder가 45%, 41-93%를 달성했지만 Doggie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2023년 8월 5일, Doggie가 43,813번의 시도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Doggie는 이 맵을 Abyss of DarknessSakupen Circles 사이인 7위로 평가했으며, 10위 이내 어디든 들어갈 수 있다고 첨언했다.

2023년 8월 8일, Zoink가 5,209라는 어템으로 최초 클리어를 하였다. Zoink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을 Saul Goodman과 arcturus 사이인 The Hallucination과 비슷한 난이도라고 평가했다. 발언 시점 기준 15~16위로 평가했는데, Doggie가 7위로 평가한 것과 차이가 크다.[7]

2023년 9월 1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9월 22일, 13위에 배치되었다. 이 맵을 클리어한 두 초고수 Doggie와 Zoink의 난이도 평가가 크게 갈렸는데, 실질적으로 Zoink의 의견이 중점적으로 반영되어 배치되었다.[8] 사실 대부분의 유저들은 Doggie가 이 맵을 과대평가하였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있어도 Firework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Zoink가 마치 BoJ의 Wooshi999마냥 비정상적으로 이 맵을 빨리 깨버린 것이다. 실제로 상당수의 유저들이 LIMBO~Tartarus 사이는 난이도 차이가 아주 크지 않으며 맵 순위를 개인차에 따라 크게 변동을 두는 반면 MINUSDry 위로는 아래 맵들과 순위를 거의 섞지 않기에 실질적으로 Zoink의 손을 들어주었다고 봐야 한다. 아무래도 Zoink가 이 맵에 굉장히 적은 어템을 쓰고 클리어한 것이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보인다.

Trick이 이 맵을 클리어한 뒤 Zoink를 제외한 다른 유저들이 생각한 순위에 근접한 10위로 평가함으로써 순위의 향방은 다시 알 수 없어졌다. 현재 Geometry Dash에서 가장 유명한 초고수 3명이 전부 난이도 티어를 다르게 잡은 상황이라[9] 개인차가 상당히 심한 것으로 보인다. 보통 개인차가 심한 맵들은 구 불가능 맵처럼 독특하고 좋지 못한 게임플레이를 가진 맵인 경우가 많은데, 이 맵은 또 게임플레이에 대한 평가는 일관적으로 괜찮다는 게 특이한 점.

그러나 LIMBO가 이 맵 아래인 15위로 떨어져버리고 그 위의 맵들이 The Lightning Rod[10], MINUSDry 등 Tartarus급은 아니라고 평가받는 맵들인지라 그동안 LIMBO가 과대평가되어왔을 뿐 사실상 이 맵도 Tartarus급은 아니라는 것이 주류가 되었다.

2.16. LIMBO[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IMBO(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7. poocubed[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arfai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8. Saul Goodman[편집]

Saul Goodman
by Renn241 & more[11], verified by Jori
캡션

its all good man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0477539
1분 26초
101724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2
난이도
Extreme Demon

Renn241의 브레이킹 배드 시리즈 마지막 맵으로, 난이도는 arcturus급이라고 한다.

iIilaseriIi가 25-65%, 54-100%, 44-74%를 달성했지만 드롭하여 Jori가 베리파이를 맡게 되었다.

현재 Jori가 65%, 35-100%, 25-91%를 달성했다.

2023년 5월 3일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5월 22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5월 25일 Zoink가 클리어하고는 LIMBO보다 어렵고 arcturus, KOCMOC보다 쉽다라고 하였다. Tartarus급 난이도를 가진 맵으로 보이며, 베리파이 전 예측대로 10위권에 랭크될 것으로 보인다.

2023년 6월 11일, 12위에 랭크되었으나 5일 뒤, KOCMOC의 등재로 13위에 안착하였다.

한국유저 BrianTheKimbap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3년 12월 3일, 한국유저 Seturan이 67969어탬을 들여 마지막 웨이브 구간에서 7번(91x3, 92x4)의 실패를 경험한 끝에 클리어하였다.#

2024년 3월 13일, 한국유저 Plkil이 82% 플루크를 하여 클리어했다.#

여담으로, 엔딩 아트 직전에 Silent clubstep의 극악 듀얼 파트를 볼 수 있다.[12][13]

2.19. Eyes In The Water[편집]

Eyes in the Water
by hawkyre & more[14], verified by LordVadercraft
캡션

They are watching you. Don't blink. // Verified by LordVadercraft in 135,054 attempts <3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5851008
1분 32초
91424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6
난이도
Extreme Demon

hawkyre가 주최한 합작 맵이다.

기존의 다른 맵들에선 보기 힘든 독특한 분위기의 디자인과 마찬가지로 독특한 게임플레이를 가진 맵이다. 겉보기에는 최상위권 데몬치고 공간도 넓고 쉬어 가는 부분도 많다고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좁은 간격과 불규칙적인 클릭 패턴이 합쳐져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하는 맵이다. 중반부에 장애물이 가려진 부분이 있어 암기맵으로 취급받기도 한다.

베리파이는 LordVaderCraft가 맡았다. LordVaderCraft가 98%[15], 34-100%를 달성한 후, 2023년 10월 27일 135,054번의 시도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LordVaderCraft는 이 맵이 Firework보다 어렵다는 평가를 내렸다.

2023년 11월 6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12월 6일, 17위에 등재되었다. 당초 LordVaderCraft가 Firework보다 어렵다고 평가한 것과는 달리 그보다 확실히 낮은 Tartarus급 순위에 배치되었다. 최초 클리어자인 Netermind가 이 맵을 Solar Flare 아래, Walter White 위의 30위[16]라고 주장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4년 2월 1일, Trick이 클리어했다.# Firework 바로 아래인 10위라는 평을 남겼다.

2024년 2월 7일, Zoink가 클리어하였다.# 어느 곳에 위치해도 좋은 맵이나, 10위권은 절대 아니라는 평을 남겼다.

2024년 3월 31일, 한국 유저 Seturan이 라이브 중 마지막에서 두번째 클릭[17] 에서 키가 씹혀 점프를 하지 못해 98%에서 죽었다. 그리고 다음날인 4월 1일[18],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2.20. Solar Flare[편집]

Solar Flare
by Linear & Rynoxious, verified by swiborg
캡션

The star's name is Janet, please be nice to her.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0390075
1분 05초
68261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9
난이도
Extreme Demon

Linear와 Rynoxious가 제작한 NC 레벨.

2023년 4월 30일 swiborg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swiborg는 이 레벨의 난이도를 TOP 35~55 정도로 평가했다.

2023년 5월 18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6월 10일, Tartarus 바로 아랫 순위인 21위에 배치되었다가, 다음날 Saul Goodman의 등재로 22위가 되었다. 이후 Solar Flare 위에 배치된 맵이 늘어나며 29위까지 내려갔다가, 2023년 11월 08일 클리어한 여러 유저들의 고평가로 19위까지 상승하였다.

이 맵의 60hz 프레임 퍼펙트 수는 89개로, Tidal Wave의 레이팅 이전에는 레이팅된 맵 중 가장 많은 60hz 프레임 퍼펙트 수를 가진 맵이었다. 기존 1위는 Avernus의 82개였는데, 이 맵은 Tartarus보다 조금 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60hz 프레임 퍼펙트 수가 더 많다. 심지어 Tidal Wave는 3분짜리 맵이고 Solar Flare는 1분을 조금 넘기는 맵이라 초당 프레임 퍼펙트 수는 이쪽이 더 많다.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가 난이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좋은 예로, 프레임 퍼펙트가 발생하기 쉬운 웨이브가 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면서 대부분의 타이밍이 딱 60hz 프레임 퍼펙트에 걸릴 정도로만 적당히 좁기 때문에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가 뻥튀기된 사례다.

2.21. Belladonna[편집]

Belladonna
by Vernam & itami, verified by exsii
캡션

neo deco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1441
94969889
1분 46초
40219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0
난이도
Extreme Demon

CherryTeam 소속의 Vernam과 Itami가 만든 레이아웃 스타일의 레벨. Vernam이 레이아웃을 제작하고 Itami가 디자인인지 모르겠는 디자인을 담당하였다. 따라서 이 레벨 또한 레이팅된 것에 불만을 표하는 이들이 종종 보인다. 또한 레벨 전체에 공점 동타가 도배되어 있다.

2023년 9월 27일 exsi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22. The Hallucinatio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Hallucinati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3. COMBUSTION[편집]

COMBUSTION
by Cersia & Slithium, verified by Slithium
캡션

The Bloodstarved Beast is now free to roam this realm. Verified by Slithium.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4359172
58초
2358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9
난이도
Extreme Demon

Cersia의 신맵으로, 본래는 1.9 GDPS에서 제작될 예정이었으나 제작 도중에 2.1에서 제작하기로 변경되었으며, Slithium이 베리파이하였다.

2023년 9월 27일 Zoink7,575어템을 사용해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클리어 이후 Zoink는 이 맵을 10~12위로 평가했다.

2023년 10월 18일, 19위에 배치되었다. Zoink가 Firework급인 10~12위로 평가한 것과 차이가 크다. Zoink 특성상 본인이 깬 맵을 항상 저평가하는데, 이 맵만큼은 예외로 심지어 포럼은 아예 이 맵의 티어 자체를 Zoink가 상정한 티어보다 한 단계 아래인 Tartarus급으로 간주했다.

2.24. Edge of Destin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etrayal of Fea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5. Codependence[편집]

Codependence
by GaidenHertuny & more[19], verified by Pukklez
캡션

Duelo Maestro but better | Verified by Kapinapi and ViralDL | Have fun!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및 버전
X
62556400
2분 06초
140258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8
난이도
Extreme Demon

TCTeam이 제작한 2 Player 레벨. 현존하는 가장 어려운 2 Player 맵이다.# Duelo Maestro[20]를 보면 알겠지만 2 Player 맵을 혼자서 클리어하려면 동시에 두 개의 캐릭터를 따로따로 조종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이 맵은 맵의 대부분을 2 Player 모드로 진행하는 데다 각각의 구간을 어지간한 상위권 Insane Demon ~ 하위권 Extreme Demon 수준으로 까다롭게 만들어 놓았다. 대부분이 미니 모드고 반으로 공간이 제한되어 있으며 듀얼 모드에서 비행기의 불편한 감도 때문에 좋지 않은 게임 플레이는 덤이다. 심지어 원래 솔로 클리어를 고려하고 만들어진 맵이 아니라 양쪽 구간의 클릭 패턴도 일치하지 않고 따로 노는 구간이 많아, Pukklez가 프로그레스를 내기 전까지만 해도 솔로 클리어는 불가능한 맵으로 평가받았다.[21]

2020년 7월 5일, Kapinapi가 ViralDl과 함께 베리파이하였다.

2023년 6월 5일, Pukklez라는 유저가 약 165,000어템을 사용해 최초로 혼자서 클리어했다.

2023년 7월 29일, Reptilian이라는 유저가 2번째로 혼자서 클리어했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LIMBO보다 훨씬 어려우며 아마도 Top 10에 들어갈 것이라 언급했다.

2023년 9월 24일, conski라는 유저가 3번째로 혼자서 클리어했다.[22]

포럼 1위 유저이자 Acheron 베리파이어로 유명한 Zoink가 이 맵을 파고 있다. 이 맵이 Zoink가 처음으로 파는 2 Player 맵인데, 메인리스트 올클리어를 노리는 Zoink 입장에서는 본인이 지금까지 플레이해 오던 감각과 전혀 다른 스타일의 맵을 울며 겨자 멱기로 파는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Zoink는 생방송으로 이 맵을 팔 때마다 항상 쌍욕을 퍼부으며 멘탈이 갈려 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년 8월 15일, 8위에 등재되었다. 이 맵의 등재로 인해 Zodiac이 Top 30에서 떨어졌다.

이로써 Codependence는 2번째로 메인 리스트에 등재된 2 Player 맵이 되었다. 1번째는 Duelo Maestro인데,[23] 이 맵의 등재 당시 2 Player 맵이 포럼에 등재되어도 되냐는 논의가 있었지만 혼자서 베리파이에 성공한 맵은 등재를 허용한다고 기준을 세우는 쪽으로 마무리되었다. 그런데 Codependence는 2명이서 베리파이해 이 기준에 적용되지 않는데, 등재 여론이 형성되자 혼자서 클리어한 기록만 있으면 최초로 혼자서 클리어한 유저를 베리파이어로 취급하여 등재를 허용하는 쪽으로 기준이 완화되었다.

2024년 1월 24일, 재평가로 순위가 3단계 하락하여 Top10에서 퇴출되었다. 내려가는 건 그렇다쳐도 굳이 3계단이나 떨어트려 Top 10에서 퇴출당한 게 뒤가 구리다는 말이 있다.[24]

포럼에 등재할 때 2명이서 클리어하는 것이 아닌 혼자서 클리어해야 인정된다.[25]

참고로 맵 제목인 Codependence는 "상호의존성"을 의미한다.
이 맵의 게임플레이를 고려하면 꽤나 적절한 제목.

2월 16일, 포럼이 2P가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레벨을 리스트에서 지우기로 결정하면서 Sides Of My Mind, Horros와 함께 나란히 레거시로 퇴출되었다. 이는 포럼 역사상 가장 큰 하락이다(11위→549위, 무려 538위나 떨어졌다.) 무려 포럼 10위권이 레거시에 있는 장면을 볼 수 있다.[26]

2월 17일, 어제 결정에 대한 반발로 인해 다른 2P 레벨과 함께 리스트로 복귀되었다.[27] 이로써 Codependence는 포럼 역사상 가장 큰 하락과 가장 큰 상승을 동시에 경험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Plusxenon[28]57%를 달성한 기록이 있다.

2024년 5월 20일, 무려 10계단이나 떨어져 23위가 되었다.

2.26. Mayhem[편집]

Mayhem
by Vernam & more[29], verified and published by LordVadercraft
캡션

It's as shrimple as that. The ultimate construction demon verified by me in 87,434 attempt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2544060
1분 29초
24365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0
난이도
Extreme Demon

CherryTeam이 제작한 레벨. Cherryteam 맵답게 클릭싱크가 잘 맞는게 특징이다.[30]

또한 Slient Clubstep, Trueffet, The Yangire 등과 함께 극도로 심각한 초살맵으로 드롭 이전 파트가 난이도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버프된 후로는 Silent Clubstep의 프리드롭과 비견된다는 평이 나올 정도이다.[31]

2022년 2월 24일, full Level이 올라왔다. 난이도는 top5급이라고 한다. 베리파이를 맡았던 유저들[32]에 의하면 Firework보다는 쉽고, SWI보다는 확실히 어려우며, Tartarus급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2022년 5월 15일, RicoLP가 39-100을 성공했다.

2022년 6월 5일, LordVadercraft가 66-100을 성공했고, 7월 21일에는 51%, 10-85%, 7월 27일에는 83%, 10-100%을 달성했다.

2022년 7월 31일, LordVadercraft가 90%[33]에 도달했다.

2022년 8월 8일, LordVadercraf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8위라고 하였다.[34]

2022년 8월 17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9월 17일, 10위에 등재되었다. 다만 저평가라는 말이 꽤 많다. 상당수의 유저들이 Tartarus보다 높은 순위에 랭크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Tartarus 바로 아래 순위에 랭크되었기 때문. 베리파이 당시까지만 해도 Tartarus급이라는 것이 중론이었으나, 프레임 퍼펙트 수의 차이[35] 등으로 이 맵이 더 어렵다는 유저들이 존재한다. 이 문제는 Tartarus가 밑으로 내려감으로(...) 해결되었다.

2023년 12월 13일, 27위에서 22위로 재배치되었다. 이로써 베리파이 초기에 받았던 평가와 비슷한 순위에 배치되었다.

제목의 뜻인 '아수라장'과는 다르게 디자인은 깔끔한 편이다.

2.27. walter white[편집]

walter white
by Renn241, verified by iIilaseriIi
캡션

detjfgjgcbvbvvbvbbvvbvbv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1011195
2분 05초
67673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5
난이도
Extreme Demon

Renn241이 제작한 레벨이다. 레벨의 제목은 같은 Renn241의 레벨인 Jesse Pinkman처럼 브레이킹 배드라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월터 화이트이다.[36]

2022년 2월 18일 레벨이 완성되었고, 6월 15일 자유베리파이로 바뀌었다.

2022년 7월 2일, iIilaseriI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TOP 15 라고 한다.

2022년 7월 21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8월 13일 16위에 등재되었다.

2023년 9월 10일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파트 설명란에 월터 화이트의 나무위키 설명을 긁어 오더니, 하디스트 파트에 7~100이라고 적어 두는가 하면 Fun rate에는 Silent clubstep이라고 적으며 시원하게 깠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Tartarus보다 어려운 23위라고 언급했다.


2024년 5월 28일, 37위에서 26위로 수직상승했다.

2.28. UNKNOW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UNKNOWN(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9. Deadlier Clubstep[편집]

Deadlier Clubstep
by HeroZombie80 & more[37], verified by Jenath
캡션

"In this shattered world of darkness.. Only Donald Trump may prevail." -Pla. Verified by Jenath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6314787
1분 44초
159793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8
난이도
Extreme Demon

Neptune의 자작맵 Deadly Clubstep을 리메이크 및 극상향한 버전으로, Tartarus와 Silent Clubstep 등 Clubstep 계열 상위권 익데들의 게임플레이를 모아놓은 것이 특징이다.

노래는 다른 Clubstep 계열 데몬들과 달리 Clubstep의 풀버전을 활용했다.

2023년 10월 23일 베리파이되었다.

2024년 2월 19일, Zoink가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2.30. PSYCHOPATH[편집]

PSYCHOPATH
by DeniPol, verified by BONN GD
캡션

Uroven dushevnobolnogo || Psychopath || My 4 year old creation || verified by BONN || art of the woman "Esmy" drawn by NormDanchik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3925676
2분 03초
138040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9
난이도
Extreme Demon

2019년경부터 제작되기 시작한 DeniPol의 레벨.

4월 14일, CBF를 사용하여 베리파이되었다.

4월 26일, 레이팅되었지만 단 7시간만에 언레이팅되었다. 이로써 CBF 사용은 금지라는 것이 공인되었다.

5월 16일, CBF를 사용하지 않고 재베리파이함으로써 2일 후 다시 레이팅되었다.

2.31. SARYYX NEVER CLEAR[편집]

SARYYX NEVER CLEAR
by artos & more[38], verified by skzyl
캡션

Welcome to the Howling Abyss ! Verified by skzyl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5998005
1분 37초
52010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0
난이도
Extreme Demon

artos가 주최하고 SARY NEVER CLEAR의 영감을 받아 제작된 1.9 스타일의 레벨. SARY NEVER CLEAR와 겜플이 비스무리하게 생겼다.

2023년 10월 30일, skzyl이 베리파이하였다.

2.32. arcturu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cturus(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3. Sinister Silence[편집]

Sinister Silence
by Wahffle & more[39], verified by wwdonut
캡션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2249742
8분 45초
349421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1
난이도
Extreme Demon

현재 4번째 최장 길이의 익스트림 데몬.[40] 길이가 무려 8분 45초에 달한다. 게다가 순간난이도도 결코 쉽지 않은 편. 베리파이어는 Top 35로 평가했다.

재평가로 Tartarus보다 높은 순위에 랭크되었다.

2.34. Sonic Wave Infinit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onic Wave Infinit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5. Damascus[편집]

Damascus
Dzeser & more[41], verified by Timo
캡션

A montage of scattered memories projected from the creating era. Verified by Timo. 2.2 fix by Vikings.[번역]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3339534
5분 10초
34460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1
난이도
Extreme Demon

총합 68명의 크리에이터가 참여한 5분 10초의 대작. 각 파트마다 크리에이터 본인이 만든 레벨이나 합작 레벨 중 본인이 참여한 파트의 디자인을 따왔다.

크리에이터/디자인 모티브[ 펼치기 · 접기 ]
참여자
디자인 모티브
Jo2000
Titanity
Gusearth
Tempest Rift
Weoweoteo & Kruso
Lake of Fire
Lieb
Relativo, Dynasty, Electrotime
Fury0313
Saguaro
Nicki1202
Dire Dire Sea
Avery[43]
To the Top
TheJosiahTurner
Apache
Alter
OmegaPlex
Cookieszs
Ballfunk
Logik
Foxtrox
Megantwoo
Tech City
Sunset
PhantomX
Elysium
Toxic
Crimson Flare
AlrexX
BYE
IronDofus435
X Force
Thomartin
Posh, Retina
Wod & Dasher3000
Love
TheTrueEclipse
Volatile
Jaredkawaii
Beautiful Now, Imagination
Smokes
Plasma Purse Series(1, 2, 3, Finale)
Norcda Childa
Kimera
Dzeser
Kill Stealer
Tygrysek
The Ultimate Phase, Phobos
PG1004
PG Clubstep, Willy
Theory of Firepower
Blitzmister
Mang Game
Zimnior12
Infinite Travel
Mazl
Vee
Rob Buck
Buck Force
GDSkele
Omicron
iliRyanili
The Flawless
Ninetales
MetalWalker
Platnuu
Delta Interface
Obsidium
Digital Sensor
Allan
Quasar
Kazia
Atmosphere, Intricate
Surv
Breakout
Dehznik
Cosmic Dreamer
Ozix
Milky Ways
Ilrell
Haven
FozaeKitty
TeCH BliTz
KFAOpitar
Warmth
Wolfstar
Obscure Glow
Megaman9
Titanium
Brittank88
Ocular Miracle
VERSU5
Infrared
Loogiah
Molten Punch
WhitePythor
Highschool Days
Adiale
Promises
Nahuel2998
Utopian Delusions
ErisethSP!
Spilled Milk, Tempest
AirForce
Automation
Findexi
Incongruence
TDChris02
Lost Legends
SuperSNSD & GDSkele
Mr Mr
Disp & Koolboom
Star Chaser
Lassiboii
Running in the 90s
Chromatik
RanBoq
iBlade
Phobos
Yozyo
Endstage
Oskux
독자 디자인

2.36. Midnight[편집]

Midnight
by zYuko, verified by nei
캡션

Hi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6083028
1분 06초
8638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3
난이도
Extreme Demon

zYuko가 제작한 Twilight의 후속작.

2023년 11월 3일, nei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37. Tartaru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artaru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8. Jigsaw[편집]

Jigsaw
by Nekon & more[44], verified by Gokill
캡션

You think it's the living who'll have ultimate judgment over you, because the dead will have no claim over your soul... But you may be mistaken.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5031870
1분 35초
202025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5
난이도
Extreme Demon

Nekon이 주최한 합작으로, 유명 공포 영화 시리즈인 쏘우를 테마로 한 맵. 베리파이는 Gokill GD가 담당했으며, 현재 71%, 31-91%를 달성했다. 난이도는 Zodiac과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되고 있다.

2023년 10월 2일,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2월 9일, 피쳐드로 레이팅 되었다.

2024년 1월 22일, Zoink가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44위에 위치하기에는 저평가되었을수도 있지만 아마도 아니었을 것이라는???? 평을 남겼다.

1월 26일, 5계단 상승하여 39위에 재배치되었다.

2.39. Oblivion[편집]

Oblivion
by benji8080 & more[45], verified and published by dice88
캡션

please buy and try life cereal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71025973
1분 08초
79599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6
난이도
Extreme Demon

Cognition의 공식 후속작. 제목은 망각(忘却)을 의미하며 사용된 곡은 CreoIdolize이다.

2020년 4월 6일, Benji8080의 채널에 이 맵의 레이아웃이 공개되었으며, 공식적인 Cognition의 후속작이라고 한다.

2021년 1월 15일, Goobfrudla와 Eth의 채널에 완성된 Oblivion의 풀 버전이 공개되었다.
베리파이는 Dice88이 진행할 것이라고 한다.

현재 Swiborg가 72%, 49 - 100%, 26 - 63%, 47 - 89%를 간 상태이다.

2021년 7월 6일, Dice88이 베리파이하였다.

2022년 7월 8일, 베리파이된지 약 1년만에 레이팅되었다.

2022년 7월 31일, 6위에 등재되었다. 만약 베리파이되었을때 레이팅되었다면, 당시 1위였을 수도 있던 것이다. 다만 대부분의 유저들 사이에서는 과대평가라는 말이 많다. 심하게는 4순위 아래의 Mayhem보다 쉽다는 말이 나올 정도.[46]

2023년 1월 2일, Kyouki의 3위 등재로 10위권에서 떨어졌다.

2024년 3월 8일, 재평가로 6계단이나 하락하였다.

2024년 4월 30일, 모바일 유저 bemj80이 이 맵을 모바일로 클리어했다.[47] #

2.40. The Golde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Golde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1. Verdant Landscape[편집]

Verdant Landscape
by Nisha
캡션

FINALLY COMPLETE AND VERIFIED MY FIRST 2.1 SOLO LEVEL! From now on, welcome the scenery of spring when it rain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446799
76543324
2분 09초
11628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0
난이도
Extreme Demon

한국인 유저 Nisha가 제작하고 베리파이까지 손수 한 개인맵.

Windy Landscape에서 모티브를 얻은 맵으로 2021년 12월 14일에 업로드되었고 같은 달 26일 후광으로 레이팅 되었다. Windy Landscape에서 모티브를 얻은 맵 답게 여러모로 디자인이 비슷하다.[48]

어두운 분위기, 헬 테마 레벨 등이 리스트 최상위권을 꽉 잡은 상황에서[49] 녹색 계열의 매우 밝은 디자인과[50] 그에 걸맞는 노래 선정으로 상당한 호평을 받았고, 게임플레이 역시 많은 유저들한테 재미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좋은 퀄리티와 달리 난이도는 극도로 어렵다. 쉬워보이는 외관과 달리 칸들이 대부분 좁으며, 이따금씩 보이는 웨이브가 매우 좁다.

2021년 12월 31일 ThunderBT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최소 Renevant보다 어렵다고 한다. 그 다음날 두 번째로 클리어한 Spaceuk는 ZodiacKenos 사이라고 했다.

2022년 1월 18일, 11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6월 11일, Zodiac을 꺾고 10위로 상승했지만 6월 12일, Abyss of darkness가 1위로 배치됨에 따라 10시간(...) 만에 다시 11위로 내려왔다.

2.42. ATOMIC CANNON Mk III[편집]

ATOMIC CANNON Mk III
by LIEB & more[51], verified by Zeronium
캡션

The third installment in the ATOMIC CANNON tetralogy! Verified by Zeronium, as always! The final level, ATOMIC CANNON PRIME, is coming soon...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4672501
1분 16초
110379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40
난이도
Extreme Demon

LIEB이 주최한 ATOMIC CANNON 시리즈의 세번째 레벨.

베리파이는 Zeronium이 맡았으며, 현재 32-100%를 달성했다.

2024년 5월 1일, 베리파이되었다.

2024년 5월 2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43. Delta[편집]

Delta
by ArtsiBurn & more[52], verified by Doggie
캡션

Hosted by Artsi and Drakosa. Verified by Doggie. Thank you to all of our creators. #ForTheTingflarg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3917362
2분 25초
18777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5
난이도
Extreme Demon

Drakosa가 주최한 Mindcap의 그리스 문자 3부작[53]의 스핀오프 레벨.

2023년 8월 31일, Doggie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44. NETWORK[편집]

NETWORK
by Agat3 & more[54], verified by vulcanium4
캡션

"Black and white create a strange dreamscape that color never can." - Jack Antonoff || Sequel to Framework || Verified by vulcanium4.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5176417
2분 04초
172124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7
난이도
Extreme Demon

FRAMEWORK의 후속작. 전작과 동일하게 흑백 테마이나, 전작보다 더욱 발전한 디자인과 그에 걸맞는 게임플레이, 그리고 76~80%에 등장하는 버그성 듀얼 모드[55]가 인상적이다.

vulcanium4가 91%, 36-100%를 달성했다.

2023년 10월 7일, 베리파이되었다.

10월 21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11월 17일, 37위에 랭크되었다.

2.45. Shukketsu[편집]

Shukketsu
by zYuko & more[56], verified by Baeru
캡션

Welcome to the garden, please don't step on the flower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75286957
1분 05초
10617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9
난이도
Extreme Demon

Yuko가 개최한 합작맵이다.

2021년 11월 11일, 레벨이 완성되었다.

2022년 4월 3일, Baeru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TOP 15 정도라고 한다.

2022년 8월 3일, 레이팅되었다.

8월 27일, 19위에 등재되었다.

2.46. Terminal Rampancy[편집]

Terminal Rampancy
by Xyriak, verified by Bigthunder556
캡션

335,000 objects,19,000 attempts, constant revisions, countless hours, and 5 years. Thank you.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0057148
1분 40초
334647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4
난이도
Extreme Demon

Xyriak이 무려 5년이라는 개인맵 사상 역대급의 제작 기간을 거쳐 출시한 화제의 작품. 기간에 걸맞게 오브젝트 수도 33만 5천 가량으로 상당한 규모에 달한다.

베라파이어로 선정된 ThunderBT가 90%, 42-100%를 달성했다.

2023년 4월 14일 ThunderBT가 베리파이했으며, TOP 30-50급 정도의 난이도라고 한다.

2023년 5월 18일, Brumik이 최초로 클리어했으며, 27~30위로 평가했다.

2.47. Climax[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limax(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8. Trueffe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rueffe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9. Aerial Gleam[편집]

Aerial Gleam
by EndLevel & more[57], verified by Doggie
캡션

Verified by Doggie (Update 8/24/22)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789123
79771070
1분 04초
8807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10
난이도
Extreme Demon

Arctic LightsAquatic Auroras를 잇는 Endlevel 웨이브 3부작의 마지막 레벨.

EndLevel왈, Azure Flare와 Aerial Gleam을 마지막으로 더이상의 EndLevel의 웨이브 레벨[58]은 아마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59]

난이도는 가뜩이나 심하게 압박을 주던 특유의 웨이브는 어두운 디자인과 잘 보이지 않는 가시, 이전보다도 좁아진 간격이 합쳐지며 더욱더 어려워졌다. 맵의 길이는 동일인물이 만든 익스트림 데몬인 Cognition 정도로 짧지만, 초반 5초 뒤 바로 웨이브에 들어가서 43초간의 압박을 견디게 되는 구조인데다 초반부 웨이브는 Sonic Wave Infinity도 한 수 접어줘야 될 만큼 극악하다.

난이도 외적으로 특이할 사항이라면, 나써류의 구조를 따라가는 웨이브 레벨임에도 나써 특유의 이펙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 깜빡이는 것만 보면 나써류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써류는 여러 부분이 교차해서 깜빡이는 반면 이 레벨은 특정 부분이 한꺼번에 깜빡인다.[60] Endlevel 본인도 nc 레벨은 아니라고 설명란에 못 박았다.

또한 베리파이 권한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을 거친 레벨이다.[61]

처음엔 Riot이 베리파이를 할 예정이었으나 Lime에게 베리파이 권한을 넘겼고, 2021년 2월 3일에는 IRainstorm으로 베리파이어가 교체되었으며 이후 49-100%를 성공[62]하고 Alphanetic TTV[63]에게 베리파이권을 넘겼다.

그 후 Alphanetic은 42-100%, 87%을 성공하며 이 레벨을 베리파이 직전까지 끌고 갔지만, 안타깝게도 그의 멘탈 문제로 베리파이를 Slithium이라는 유저에게 넘겼다.

하지만 Slithium도 87%에서 죽은 후 결국 베리파이 권한을 또다시 Prolix에게 넘겼다.
Prolix는 맵이 Tartarus와 비슷한 수준으로 버프되었다고 언급했으며, 51%를 달성했다.

2020년 7월 9일, EndLevel의 유튜브 채널에 Aerial Gleam의 디자인 업데이트 프리뷰가 올라왔다.
EndLevel의 말에 따르면 CuLuC이 맵 전체를 전면 리디자인 중이라고.

2021년 7월 23일, CuLuC의 채널에 리디자인중인 Aerial Gleam의 티저 영상이 공개되었다.

8월 16일, CuLuC의 리디자인이 끝나 EndLevel과 CuLuC의 채널에 업데이트 버전의 Full Level이 공개되었다.##.

2022년 1월 10일, 베리파이어가 Chattative로 변경되었으며 현재 54%, 24-100%를 달성한 상태이다.

하지만 3월 19일, Chattative가 게임을 접으면서 베리파이어가 Doggie로 또다시 바뀌었다.

4월 26일경, Doggie가 클리어에 성공하였다. 난이도는 Arctic Lights보다 훨씬 어려우며 Promethean보다 어려운 16위로 평가했다.[64] Endlevel의 모든 웨이브 맵들 중 버프 버전 Azure Flare 다음으로 어려운 맵으로 평가받는다.

5월 14일, 마침내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12일, 13위에 등재되었다. 대체로 순위는 적당하다는 분위기이지만 개인차가 갈리며 일부 유저들에게서 Zodiac급이라는 말도 있다.

Zoink가 8400어템, Cursed가 9400 어템을 써서 클리어했다. Cursed는 첫번째/두번째 웨이브가 다른 파트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어려우며 47%에서 디자인때문에 자꾸 죽는 것을 깠으나 나머지 유저들은 나쁘지 않은 맵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8월 8일, 16위에서 10위로 순위가 상승하였다.[65] 그러나 4일 뒤 Silent Clubstep의 4위 배치로 10위권에서 퇴출 당했다.

8월 24일, 30위권 수준으로 너프되었다.[66] 해당 버전을 재 베리파이한 Doggie는 23위 근처가 적절하다고 한다. [67]

2022년 9월 7일 17위로 재배치되었다. 정확히 Kenos 위인걸 보면 Jeller와 BeMixZ의 의견이 반영된 듯하다.

2023년 4월 23일, 모바일 유저 VERTOP[68]이 맵을 모바일로 클리어 했다.[69][70]

2.50. Critical Heat[편집]

Critical Heat
by Zeniux & ZeusGD, verified by hstorm
캡션

It's heating up... Gameplay by Zeus, Verified by hstorm, Deco by me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8442157
1분 02초
3989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9
난이도
Extreme Demon

Zeniux가 게임플레이를 담당하고 Zeus가 디자인한 불타는 공장 테마의 레벨이다. Zeniux와 Zeus는 SZYSLAK이라는 익스트림 데몬을 공동 제작한 여력이 존재하며, 이 레벨의 전체적인 디자인과 레이아웃 또한 SZYSLAK과 매우 비슷하다.

2.51. The Paroxysm of Rage[편집]

The Paroxysm of Rage
by Zacanaii & Evil Buds, verified by turtle
캡션

After nearly 2 years, the Paroxysm remake is finally out. Thanks to Turtel1 for verifying this insane level. Thanks to everyone!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7071894
1분 38초
66654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49
난이도
Extreme Demon

Lemons의 Paroxysm이라는 익스트림 데몬을 Zacanaii와 Evil Buds가 리메이크한 레벨이다.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Paroxysm을 리메이크한 만큼 거의 비슷하며, Paroxysm보다 길이가 조금 더 길다.

여담으로 이 맵의 후속작으로 AnoX라는 레벨이 존재하며, 이 레벨 또한 Lemons의 Anoxysm을 리메이크한 레벨이다.

레이팅의 경우 레벨이 베리파이된 2022년에서 2년 지난 시점에 레이팅되었다.

2.52. Zodiac[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Zodiac(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3. Hard Machin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ard Machin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4. Esfera[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sfer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5. Keno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eno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6. Destruction 19[편집]

Destruction 19
by bosjoker, verified by razsta4ax
캡션

Prepare Yourself to Destroy this Destination! Verified by razsta4ax in 32538 attempt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9495619
1분 04초
61023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55
난이도
Extreme Demon

bosjoker가 Top 10을 노리고 제작한 레벨이며, 플레이테스팅 과정에서 현재 난이도로 낮춰졌다. 다양한 디자인 스타일이 인상적인 레벨이다.

2024년 1월 22일, 베리파이되었다.

2.57. NEUTRA[편집]

NEUTRA
by Jenkins & more[71], verified by AeonAir
캡션

dentist demon | verified by AeonAir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8611404
1분 27초
114990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8
난이도
Extreme Demon

Marwec과 ILRELL이 레이아웃을 짜고 Jenkins가 디자인한 레벨. 곡은 SixImpala의 LOVELOVELOVELOVELOVELOVE을 사용했다.

맵의 제목은 해당 곡을 작곡한 SixImpala가 개발한 보컬 신디사이저의 이름이기도 하며, 맵 중간중간과 엔딩 크레딧에 작곡가의 로고나 오너캐 얼굴 등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이를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Aeonair가 베리파이했으며 그는 이전까지는 약 15위로 평가했으나 생각이 바뀌었는지 베리파이 이후 이 맵이 Hard Machine보다 어렵지만 20-25위를 할 것으로 예측했다.[72] 비행기 프레임 퍼펙트가 2개 있으며, 프레임 퍼펙트는 25개로, Tartarus보다 많은 수준이다.

2023년 2월 28일, 에픽으로 레이팅 되었다.

2023년 3월 26일, 28위에 등재되었다. 이로써 인게임에서 두번째로 어려운 에픽맵이 되었다.[73]

2024년 1월 6일, 국내 유저 Alextop1231이 Bloodbath에서 점프를 해 231075어템 끝에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74]

2.58. Dry Out Copyable 2[편집]

Dry Out Copyable 2
by tenzk & more[75], verified by S3batr0nic
캡션

Megacollaboration hosting by mestupid but mostly tenzk verified by s3batr0nic // reddit demon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6522770
3분 21초
127338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57
난이도
Extreme Demon

tenzk와 mestupid가 주최하여 4년에 걸쳐 제작된 대규모 합작 레벨이다. 레벨 이름 때문에 맵이 비정상적일 것 같지만 4년에 걸친 합작인 만큼 여러 2.2 요소들과 매우 다양한 디자인 스타일을 볼 수 있으며 그에 반해 디자인 수준 또한 꿀리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2024년 6월 15일, 베리파이되었다.

2.59. Kere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ere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0. Fragil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ragile(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1. Frost Spirit[편집]

Frost Spirit
by DrayTM & more[76], verified by Varium
캡션

Quaybus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5767653
2분 51초
17091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42
난이도
Extreme Demon

DrayTM과 Halzion이 주최한 1.9 스타일의 얼음 테마 레벨이다. 레벨의 제작자로 표시된 Quaybus는 여러 합작원들이 만들어낸 가상의 인물이며 레벨에 전체적으로 표시된 Quaybus라는 이름도 합작원의 이름 대신 넣은 이름이다.

여담으로 이 레벨의 음악은 타 게임의 OST를 사용한다.

2.62. Crackhead Circles[편집]

Crackhead Circles
by AlrexX & more[77], verified by teraaa
캡션

dont do drugs - verified by teraaa - bugfix update for mac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5524621
1분 24초
94812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51
난이도
Extreme Demon

AlerxX가 제작한 무지개 테마의 나인 써클 레벨이다. 레벨의 이름만큼 음악부터 디자인까지 정신 나간 모습을 보여주며 이 레벨에 쓰인 음악도 매우 위험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레벨의 디자인이 매우 번쩍번쩍거려 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 레벨을 플레이하거나 시청하기 전 주의가 요구된다.

2023년 10월 17일, 베리파이되었다.

2.63. Promethea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romethea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4. Lotus Flower[편집]

Lotus Flower
by StarkytheSalad & zzzgecko, verified by BrianTheBurger
캡션

'Cuz all I want is the moon upon a stick'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75813671
1분 33초
39718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0
난이도
Extreme Demon

로봇 칼타와 인게임 최악의 비대칭 듀얼로 악명높은 맵. 비대칭 듀얼의 단순 순간난이도로만 치자면 인게임 내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로봇 파트의 난이도도 The Golden같이 비정상적인 수준을 제외하면 굉장히 어려운 축에 들고, 암기 요소도 많다.

길이도 별로 길지 않지만, 로봇 파트의 순간난이도도 상당히 높은데 비대칭 듀얼은 이견이 없는 현존 서버의 맵들 중 최고난이도이며, 역사상 가장 어려운 비대칭 듀얼로, 앞으로 오랫동안 깨지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흉악한 난이도를 자랑한다.[78] 비대칭 듀얼에 약한 유저라면, 이 맵을 어지간한 최상위권 익데보다 어렵다고 여길 수도 있다.

영상에 사용 된 음악은 RadioheadLotus Flower이지만 실제 레벨에 사용된 음악은 WaterflameCove이다. Lotus Flower는 Newgrounds에 올라오지 않은 음악이기 때문.

2021년 11월 18일, 베리파이 되었다.

2021년 12월 5일, 레이팅 되었다.

2022년 1월 4일, 21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3월 30일, Cognition과 순위가 바뀌어서 22위로 올라갔다.

2022년 5월 8일, msg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으나, 그가 핵을 사용한 유저라는 사실이 밝혀져 없던 일이 되어버렸다.

2022년 7월 29일 24위에서 20위로 올라갔다.

2.65. Thinking Spac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inking Spa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6. qoUEO[편집]

qoUEO
by GhostVandalf, verified by Franzy
캡션

Quite the mental torture experience... Thank you so much Franzy for sticking through and verifying this beast! TYSM <33333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886988
81721025
52초
38101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26
난이도
Extreme Demon

웨이브 버전 Promethean으로, 1분도 안되는 짧은 길이임에도 Crimson Planet보다 높은 순위에 위치하여있으며 그만큼 최악의 순간난이도를 자랑한다.

웨이브 챌린지에서 모티브를 따온 맵답게 웨이브 챌린지와 그 뒤의 추가 파트로 구성되어있다. 첫 25%의 웨이브는 어지간한 웨이브 챌린지 이상의 고난이도를 보여준다.[80] 뒤의 파트는 의외로 꽤나 긴 길이의 익스트림 데몬들과 비교해보아도 적당한 수준이지만, 앞부분이 너무 어려워서 애초에 그 파트를 넘는 것부터 어렵다.

게임플레이가 Lucid Nightmares와 자웅을 겨룰 정도로 최악으로 악명높으며, 아예 첫 클리어자인 Skycrab은 챌린지 맵을 해본 적 없는 익스트림 데몬 전문 플레이어들은 시도하지 말라고 할 정도로 끔찍한 게임플레이를 자랑한다. 디자인은 꽤 괜찮지만 무후광으로 레이팅된 이유가 게임플레이가 거지같아서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로 이 맵의 게임플레이는 혹평받는 편이다.

2022년 11월 15일 26위에 배치되었다.

2.67. SUPERHATEMEWORLD[편집]

SUPERHATEMEWORLD
by IcEDCave & more[81], verified by Cursed
캡션

Break... Hosted by Endlevel, Verified by Cursed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57571983
1분 06초
33228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30
난이도
Extreme Demon

과거에 Icedcave가 만든 SUPERHATEMEWORLD(구)를 게임플레이 수정 및 리메이크한 맵이다.

2022년 9월 30일, Cursed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10월 12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11월 13일, 30위에 등재되었다.

한국 유저 Pocle이 한국최초로 클리어하는데 성공했다!

2.68. Cold Swea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old Swea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9. Widestep[편집]

Widestep
by Demishio
캡션

The Lucky Potion Has No Effects On Gameplay. 5Months In Making, 66315 Attempts To Verify. -Demishio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69289606
1분 15초
86936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52
난이도
Extreme Demon

出見塩의 개인 레벨. 出見塩가 보유한 3개의 익데 중 2번째로 제작된 레벨이며 Kyouki가 레이팅된 이후 Ourwa와 함께 한거번에 레이팅되었다.

2024년 1월 4일, 74위로 내려간지 얼마 안되어 갑자기 61위로 13계단이나 올라갔다. 메인에서 이정도의 상승은 매우 이례적인 일.

2.70. Crimson Plane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rimson Plane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1. Renevan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Renevan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72. ConClusion[편집]

ConClusion
by DreamZoneGD, verified by BrowarKedawar
캡션

Get ready to be concluded.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6471171
1분 27초
99955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65
난이도
Extreme Demon

DreamZone이 제작한 Control 시리즈 3부작의 마지막 맵. 스토리 상으로 ConTroller와 ConFusion의 이후이다.

2.73. Scream Machine[편집]

Scream Machine - TMco and more[82], Verified by WatchPiggy

2023년 할로윈에 공개된 호러 테마의 레벨. 복고풍 디자인과 현대적인 디자인이 함께 보여진다.
여담으로 이 레벨에는 많은 이스터에그가 존재한다.

2.74. Sky Shredder[편집]

Sky Shredder - by Dorvict

1.9 GDPS에서 Dorvict가 1위를 노리고 제작된 익스트림 데몬. 출시 당시에는 1.9 GDPS 상에서 1위를 달성하였지만 현재는 아니다.

여담으로 베리파이 영상 설명창에 따르면, 블룬스 TD 6의 에이스 원숭이 A 루트 5티어 업그레이드인 하늘 파쇄기(Sky Shredder)에서 맵 제목을 가져왔다고 한다.

2.75. Calculator Cor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alculator Co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Extended List[편집]

데몬맵 중에서 난이도 76~150위를 차지하고 있는 맵들의 목록을 나열하는 페이지.

3.1. shimmer[편집]

shimmer - by Amplitron

Amplitron이 Zeronium의 크리에이터 콘테스트에 제출할 목적으로 제작한 레벨. 전체적으로 잔잔한 분위기이며 레벨의 컨셉은 원하는 꿈을 이루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

3.2. DIRECTIONS[편집]

DIRECTIONS - ryli06 and Nightning, Verified by SwordBx

ryli06과 Nightning의 합작. 밤하늘 배경에 경사면을 활용한 게임플레이가 대부분인 것이 특징이다.

3.3. Cognition[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iolence... 문서
1.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Cosmic Cyclon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Hydra(F-777)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Trotil[편집]

Trotil - Eiriley & more, Verified by ItzTayfun


러시아의 겨울 테마 합작. Tartarus보다 근소하게 어려운 난이도였으나 떡너프를 받아 Bloodlust보다 조금 어려운 수준이 되었다.

3.6. Amalgam[편집]

Amalgam - XLSpiral, Verified by Wooshi

과거 XLSpiral이 장난식으로 만들어 둔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맵이다. 맵의 거의 대부분이 반배속으로 진행되며, 웨이브 꼬리가 길목을 다 덮을 정도로 좁은 웨이브 파트가 특징이다.

베리파이는 Wooshi가 맡았으며, 2023년 10월 22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Crimson Planet보다 확실히 어려우며 Sinister Silence와 Thinking Space 사이인 32~48위 사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Paqoe가 3,613 어템을 들여 최초 클리어 하였으며, 난이도는 Crimson Planet 주변으로 평가하였다.

2023년 11월 2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포럼에 Crimson Planet보다 낮은 순위인 59위에 랭크되었으며 60위로 하루만에 이동하였다.

3.7. Guideless Goobering[편집]

Guideless Goobering - Akunakun & more, Verified by Zytrox

3.8. SARY NEVER CLEAR[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RY NEVER CLEA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Instinct[편집]

Instinct - Dysbelief, KrmaL, pocke & more[83], Verified by KrmaL

Dysbelief이 주최하고 KramL이 베리파이한 합작맵으로, Valor와 Mystic을 이은 포켓몬 고 3부작의 비공식 후속작.[84] 맵의 이름은 전작들처럼 Pokémon GO의 팀 인스팅트에서 따 왔으며, 그에 맞게 노란색 테마를 가졌고 맵 마지막 부분에는 썬더가 등장한다. 공식 후속작과는 다르게 전작들의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한 파트를 제외하곤 2.0 느낌으로 제작되었으며, 게임플레이도 그에 맞추어 독특한 것이 특징. 여담으로 KramL의 파트는 기존에 쓰였던 파트를 그대로 재탕했다(...).

사용된 노래는 AeronMusic - Sourcream으로, 전작들에 쓰인 곡과 같은 작곡가.

여담으로 이 맵은 Sonic WaveLegacy로 보낸 맵임과 동시에 BloodlustExtended로 보낸 맵이다. 이후 Tidal Wave의 등재로 인해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3.10. Lucid Nightmare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ucid Nightmare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1. Ykds1479ymdppr[편집]

Ykds1479ymdppr - Kapycta999, Verified by BONN

Kapycta999가 제작한 Kjdf8314jlfssf의 후속작. 전작과 비슷하게 키보드를 막 누른 듯한 레벨 제목이 특징이다.
여담으로 이 레벨의 제작 기간은 5일이다.

3.12. RUST[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1912451
1분 27초
39062
2021.07.29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11.07
데몬리스트 점수(51%) (공식포럼)
11.1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3.367
RUST - by neigefeu, verified by Keir
This is my hardest level, inspired by KrmaL and Crohn44. Good luck.



가장 쉬운 익데 중 하나로 꼽히는 Acu를 제작한 neigefeu의 새로운 맵. Black blizzard와 Sunset Sandstorm에서 영감을 받았다. 노래는 Sunset Sandstorm과 같은 Creo - Outlaw이나 Sunset Sandstorm보다 훨씬 어려운 게임플레이와 동타를 동반한 미쳐 돌아가는 칼타가 일품이다. 특히 후반부 큐브 칼타는 헛구역질이 날 정도. 다만 클리어 유저들의 평가는 재밌다는 의견이 많다.

세계 최초 클리어 유저인 Kelvin은 컨트롤러로 클리어했다.

한국 최초로 RedCraft가 클리어 했다.

3.13. CORRODERE[편집]

CORRODERE - Moosh & more[85], Verified by Gzeee

2021년경 Moosh가 Corrosion이라는 제목으로 주최한 익스트림 데몬. 클래식한 스타일의 메가콜라보 레벨이며 후반에 저중력 웨이브 게임플레이가 존재한다.

3.14. ATOMIC CANNON Mk II[편집]

ATOMIC CANNON Mk II - LIEB, verified by Zeronium

LIEB이 제작한 ATOMIC CANNON의 후속작. 전체적으로 게임플레이는 싱크와 잘 맞는 편이며, 드롭부터는 노래와 딱딱 맞는 싱크와 그에 따른 연타가 일품이다.

2023년 5월 27일, Zeronium이 59%를 달성했다.

2023년 6월 1일, 베리파이되었다.

3.15. Shardscapes[편집]

Shardscapes - by Kiba, Verified by eiruni



Kiba가 제작한 레벨이다. 맵의 100%로봇 모드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특이한 게임플레이를 선보인다.

매우 극악한 공점 칼타, 끝 점프가 맵 전체에 도배되어 있고, 큐브가 아닌 로봇 모드로 넘어가야 하기에 난이도는 더욱 어려워진다. [86]

2022년 5월 6일, eiruni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최소 75위라고 한다.

2022년 5월 21일, 레이팅되었다.

최초 클리어자는 theworldofme로, 29위 ~ 35위 사이의 난이도라고 평가했다. #

2022년 6월 13일, Bloodlust보다 한 칸 위인 33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7월 26일, 34위에서 30위로 올라왔다.

여담으로, 이 맵에 사용된 곡은 Creo의 Slow Down이다.

3.16. Akashic Record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kashic Record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RUTHLESS[편집]

RUTHLESS - Surjaco & more, Verified by LordVadercraft

Surjaco가 주최한 합작으로, RELENTLESS의 후속작. 난이도는 Top 10이라고 한다.

2022년 11월 12일, LordVadercraf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현재 20위에 배정 되었다.

2023년 4월 21일 40~60위권 수준으로 너프되었다.

2023년 4월 22일, Miro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같은 날에 Fh1r이라는 한국유저도 클리어하였다.

2023년 9월 24일, 한국유저 Seturan이 클리어했다.

3.18. Sides Of My Mind[편집]

Side Of My Mind - MaxxoRMeN, Verified by Polyatomic & TheyCallMeEvan

MaxxoRMeN의 2P 레벨.

2023년 5월 28일, Polyatomic와 TheyCallMeEvan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14일, Rqd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3.19. Horros[편집]

Horros - Shrc, Verified by Shrc & Sr3k.

Shrc의 2P레벨.

2022년 11월 14일, Shrc와 Sr3k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4일, Ryclix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3.20. Ragnarok[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그나로크 문서
7.1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1. Escape Room[편집]

Escape Room - SleyGD, Verified by MiniShoey


2023년 5월 27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3.22. TORN[편집]

TORN - Kyhros, Woom, para & more, Verified by DiamondSplash


2023년 6월 24일,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3.23. me when machine gang[편집]

me when machine gang - Akunakunn, verified by Motor8

3.24. Launchpad Labyrinth[편집]

Launchpad Labyrinth by Moffe, verified by WSCKR


Moffe의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어는 WSCKR이였는데, 이후 해커로 밝혀졌다.

게임플레이가 매우 좋지 않기로 악명 높으며 대부분의 클리어자들이 혹평을 아끼지 않았다. 디자인도 상당히 좋지 못한 편인데, 최적화가 심각해 LDM을 켜도 프레임 드랍이 걸리는 수준이다. 나쁜 게임플레이, 나쁜 최적화, 나쁜 베리파이어 삼위일체를 달성한 여러모로 레전드 맵. 순위는 Bloodlust급이지만, wPopoff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이 Tartarus, Oblivion을 상회한다고 주장했다.

2023년 9월 20일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간만에 하면서 엄청나게 열받았다며 설명창에 어마어마한 욕을 퍼부었다. 어지간히 끔찍했는지 영상 제목의 맵 이름도 Absolute Garbage[87]라고 적어 두었다. 설명창에는 맵 이름을 Shitty Silent clubstep이라고 적어 둔 건 덤. 그리고 체감 난이도 순위도 -1위로 매겨 놨다(...)

3.25. Silent Club[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ilent Club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6. Descent Into Exile[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518059
1분 39초
73707
2022.01.22
Descent Into Exile - by Riot, GrenadeOfTacos, Icedcave, and More[88], verified by BGram
DIE.



GrenadeOfTacos, Icedcave, Riot이 주최한 합작맵이다.

2022월 1월 22일, BGram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3월 3일, 26위에 배치되었다.

3.27. Omega Interface[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654380
1분 12초
134688
2021.04.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04.5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10.4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84.1
Omega Interface - by Platnuu and Zipixbox, verified by RG, published by Platnuu
void GiveHint (string& asName, string& asMessageCat, string& asMessageEntry, float afTimeShown);



Delta Interface, Sigma Interface에 이은 Platnuu의 Interface 시리즈 3번째 레벨. 사용된 노래는 onumi - NOSTALGIA이다. 전체적으로 회색과 빨간색이 어우러진 테마이며, 저속으로 시작하다 8%부터 배속이 자주 바뀌는 웨이브 구간과 칼타로 이루어진 미니큐브 구간이 여러번 나온다.

베리파이어인 RG는 이 맵이 CognitionSARY NEVER CLEAR 사이라고 하며 2021년 8월 17일 기준으로 Cognition 바로 위인 15위에 안착해있다.
최초 클리어자는 Dice88로 약 5900어템 만에 클리어하였으며, 한국인 유저 Jeller가 11280 어템을 사용하여 한국 최초, 세계 5번째로 클리어했는데, 무려 51%에서 플루크했다.

2021년 9월 29일, 재평가로 인해 22위로 떨어졌다.

3.28. Coral Cave[편집]

Coral Cave - Washed and awesomeme360, verified by Washed, published by awesomeme360

3.29. Congregation[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668045
3분 17초
23723
2021.04.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83.61
데몬리스트 점수(42%) (공식포럼)
8.3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4.349
Congregation - by Presta, verified by Floofle



맵 전체가 어려운 타이밍으로 돼 있는 맵이다. 맵의 길이는 3분으로 긴 편이지만 오브젝트는 약24000으로 적은 편이다.

2021년 9월 1일 한국 최초로 Miro가 클리어 했다.

2022년 1월 25일, 46위에서 37위로 상승했다.

여담으로, 드랍 파트가 노래와 함께 갑자기 튀어나오기 때문에 Congregation Jumpscares라는 밈이 생겨났다.[89] 이 밈 덕택에 2024년 만우절 위클리 데몬에도 등극했다(...)

3.30. Pandemonium[편집]

3.31. The Ruptur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Ruptu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2. Jupiter My Favourite[편집]

Jupiter My Favourite - Akunakun, Verified by LuigiDB

3.33. Kappa[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59800588
1분 49초
184350
2020.02.2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12.86
데몬리스트 점수(50%) (공식포럼)
11.29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5.462
Kappa - XLSpiral and more, published by Armadeus, verified by nSwish
My very first megacollab, featuring multiple amazing creators, verified by nSwish. EDIT: Visual bugs fixed.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0% 이상이 필요합니다.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0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5%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aeru[!]
100%
Moderns
100%
Spyrosh
100%
ArtsiBurn
100%
Consuno
100%
RicoLP
100%
Amza
100%
CringyDylan
100%
Maseh
100%
Swiborg
85%
Ryclix
50%
베리파이가 된 지 약 1년 6개월 만에 레이팅 되었다.

2021년 9월 9일 한국인 유저 Baeru가 8020어템을 사용해 세계최초로 클리어했다.

2021년 9월 29일 16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3월 14일, 28위로 하락했다.

3.34. The Art of the Blade[편집]

The Art of the Blade - mbed, Subwoofer, Zoroa & more, Verified by Kyoto

3.35. no jokes[편집]

no jokes - theParadoxTeam


길이가 39초로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이다. 웅장하게 전주를 깔아 놓고 드랍을 예고하는데 막상 드랍 파트는 평화로운 BGM과 디자인으로 흘러가는 게 특징.

3.36. Bloodlus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oodlu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7. Fog[편집]

Fog - Notes & Slayer, Pixll


모티브는 소닉 러쉬 어드벤처의 3번째 레벨인 코럴 케이브이다.

3.38. Asterios[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30420
60870688
2분 9초
211417
2020.04.1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96.63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9.6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75.042
Asterios - Exen & More[91], Verified By Atomic
I am very grateful to all the participants. Verified by Atomic. Thanks!



2018년경 Exen이 1년간 만든 Extreme Demon이다.

Aronia와 더불어 서버에서 몇 없는 최상위 싱크를 가진 익데이며, 본래 세미 임파서블급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Aronia 난이도로 너프되었다.

2021년 7월에 별이 붙었으며, 25위에 배치되었다.[92]

2022년 3월 30일, 39위에서 35위로 올라갔다.

3.39. Excruciation Chamber[편집]

Excruciation Chamber - spcreat

3.40. Jesse Pinkman[편집]

Jesse Pinkman - Renn241, Verified by Comlayze



Renn241이 제작한 레벨이다. 레벨의 제목은 브레이킹 배드라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제시 핑크맨이다.[93]

2022년 5월 2일, Comlayz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Lucid Nightmares와 The Rupture 사이라고 말했다.

2022년 5월 30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30일, 35위에 등재되었다.

여담으로, 이 맵에 사용된 곡은 Let's Stomp!로, 비대칭 듀얼 데몬으로 유명한 Celestial Force와 같은 곡이다. [94] 또한 맵 제작자가 맵을 만드는 데 2일 밖에 안 걸렸다고 한다. [95]

3.41. Terminux[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271828
76865589
1분 17초
109669
2021.12.27
Terminux - VulgarisAerae, iRainstorm & More[96], verified by Jeller



Eternal Moment의 후속작으로 제작된 한국인 합작레벨이다.

2021년 12월 27일, Jeller에 의해 베리파이 되었다.[97] 그리고 12월 30일 Baeru가 최초로 클리어 했다.

2022년 1월 6일, Sakupen Circles와 함께 레이팅 되었다.

2022년 2월 5일, 42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6월 20일, Arctic Lights와 순위가 역전되며 41위로 올라왔다.

3.42. Twilight[편집]

Twilight - Yuko

3.43. Neon Skyline[편집]

Neon Skyline - by recillia

3.44. CITRA[편집]

Citra - Varse



Varse가 제작한 39초길이의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이다.

2022년 6월 13일, Vars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6월 15일, Jori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7월 23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8월 15일 40위에 등재되었다. 이로 인해 5년 넘게 메인리스트 자리에 있었던 Sonic Wave가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3.45. Sazerix[편집]

Sazerix - Zeptrus, Verified by Skycrab

3.46. BarbarosFinaleFinale[편집]

BarbarosFinaleFinale - awesomeme360, Moffe & Dep96

3.47. Gracefully[편집]

Gracefully - Nindy & more, Verified by vaen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별로 좋지 못했던 Graceful의 후속작이다. 모던 디자인이 특징이다.

3.48. Awedsy[편집]

Awedsy - Sink & SleyGD, Verified by Zeronium

3.49. Aronia[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oni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0. Deimo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eimos(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1. Pagoda[편집]

Pagoda by Seturan & more

3.52. Moving Forward[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99692910
2분 30초
80000
2024.01.2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6.26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9.105
Moving Forward - crohn44, Verified by LuigiDB
Glide sequel; 80000 objects not fun to make. 2.1 level out in 2.2 yippee. My final Geometry Dash level. Verified by Luigi. Good Luck!



Glide의 후속작이자 Glide, Sunset Sandstorm을 만든 crohn44의 마지막 레벨. 전작인 Glide에 비해 길이가 매우 길어지고 난이도가 어려워졌으며[98] 디자인이 풍성해졌다.

LuigiDB 전에 2명의 베리파이어가 거친 레벨이다.[99] 이전 베리파이어인 무명유저 zipi와 KNOEPPEL이 베리파이를 시도하려다 접은 것으로 보이며 그들은 마지막의 Special Thanks의 명단에 올라가있다.

3.53. ATOMIC CANNON[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7681476
1분 00초
65396
2022.01.28
ATOMIC CANNON - by LIEB, verified by Zeronium
After all this time, I have never released a solo. That changes today after EIGHT YEARS. Good luck, you'll need it! Verified by Zeronium.



LIEB가 제작한 레벨이다. Viprin의 Intercept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고 한다.

2022년 1월 28일, Zeronium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7-79위 라고 한다.

2022년 2월 3일, 레이팅 되었다.

2022년 3월 4일, 58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4월 2일, Baeru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4월 4일, 58위에서 48위로 올라갔다.

3.54. Sigma[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igma(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5. Knights of Thunder[편집]

Knights of Thunder - HangerLord, Verified by Helix

3.56. Atmos[편집]

3.57. Ploink[편집]

3.58. IthacropoliX[편집]

IthacropoliX - BIGMAC77 & more, Verified by cobrablitz

Ithacropolis의 후속작.

2022년 6월 6일, Zeronium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3.59. Nhelv[편집]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8353244
2분 34초
177932
2021.04.15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82.07
데몬리스트 점수(57%) (공식포럼)
8.2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63.322
Nhelv - by Notlsa, Dienid and SrGuillester, verified and published by SrGuillester



SrGuillester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Notlsa와 Dienid가 디자인한 합작이다. 많은 데코와 디자인[100], 그리고 암기가 플레이어를 어지럽게 만드는게 특징이다. 인게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로 평가된다.

2021년 9월 26일 한국 최초로 Lumived가 52521어템을 사용해 클리어했다.

3.60. untitled unmastered[편집]

untitled unmastered - para, Verified by vinny


Para의 개인맵으로 익스트림 데몬중에 오브젝트 수가 947개로 가장 적으며,[101] 적은 옵젝임에도 수준급의 퀄리티를 가지고 있다.

한국 유저 Minyong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으며, 그 다음으로 silicosis가 2번째 익데로 한국 2번째로 클리어, 민트초코가 한국 3번째로 클리어했다.

맵의 대부분이 비행기 파트이며 60Hz 유저들을 입구컷하는 초반 와리가리, RUST의 그 와리가리 비행기를 여러번이나 박아넣은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보이는 것보다 어려운 레벨의 예시.

3.61. Cicatrize[편집]

3.62. DsinK[편집]

3.63. SAND SAILOR[편집]

SAND SAILOR - Custi & ked, Verified by nei

3.64. FRIDAY[편집]

Friday - by Metalface221

3.65. Farthest Outpost[편집]

Farthest Outpost - Jghost, Verified by Kyoto


2023년 10월 6일, 베리파이되었다.

3.66. Ouroboro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uroboros(Geoma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7. CONNECT[편집]

3.68. Ourwa[편집]

Ourwa - 出見塩 (Demishio)

3.69. kowareta[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kowareta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0. XRAY[편집]

XRAY - Jo2000 & more, verified by GMDElite, published by GDSkele

3.71. Dump[편집]

Dump - by GiggsRH, Koopazu

3.72. Visible Ray[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Visible Ra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3. Th3Dev0n[편집]

3.74. The Yander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Yander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5. Arctic Lights[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ctic Light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순위 미정[편집]

150위 안에 들수 있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레이팅이 되었지만 아직 순위가 정해지지 않은 맵이다.

4.1. Main List[편집]

4.1.1. ORDINARY[편집]

ORDINARY
by vit12 and more[102], verified by wPopoff
캡션

HUGE thanks to Wpopoff for verifying this level. Also, thank you HugoLA, Rafabirds, Gustavov3 and Viwi for helping me with small things. Enjoy!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5593215
1분 18초
62156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난이도
Extreme Demon

Vit12의 개인 레벨. 예상 난이도는 Top 50-60이다.

2024년 5월 23일, wPopoff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4.1.2. Natural Disaster[편집]

Natural Disaster
by GammaReXx & more[103], verified and published by iIiLaseriIi
캡션

Respect the planet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7741051
1분 21초
177488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난이도
Extreme Demon

4.2. Main List or Extended List[편집]

4.2.1. Viprin UFO[편집]

Viprin UFO - by hawkyre, Verified by TheGoldenBo

4.2.2. DISSONANCE[편집]

DISSONANCE
by ImMaxX1, verified by zSquidKnight
캡션

My first 2.2 classic solo level and my best level by far, verified by zSquidKnight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108141323
1분 46초
54677
2.2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난이도
Extreme Demon

4.2.3. Axinie[편집]

Axinie - by SaturMan

4.2.4. Checked Steam[편집]

Checked Steam - by gruzy, verified by Whizkid05

4.3. Extended List[편집]

4.4. Extended List or Not List Worthy[편집]

4.4.1. Pootis Engage XTREME[편집]

Pootis Engage XTREME - by AAAAAlex, verified by falloostic

5. Legacy List (151위~)[편집]




[1] fmn04는 너무 독창적인 나머지 어떤 스타일로 불러야될지 모르겠다며 그냥 그 자체라고 언급했다.[2] 리스트 레벨 최초로 스윙에 프퍼펙이 존재하는 레벨이다.[3] 파일:menace2퍼.gif[4] 이로써 메인-익텐에서 2017년 레벨이 모두 퇴출되었다.[5] 1번째는 Sinister Silence.[6] ItsHybrid, Pocke, Wespdx, Isane, Max, Iris, Polli, Enixy, Cersia, Skele, Platnuu, Loltad, Killa, Yonaka, Smokes, Tygresek, Juhou, Licen, Lieb, PokeChatt, River, Alkali, Antares, Zipixbox, GrenadeOfTacos, Parallax, End[7] Sakupen Circles와 arcturus의 간극은 매우 크다. arcturus는 Tartarus와 난이도 개인차가 갈리는 반면 Aod와 사써는 Tartarus급 맵들과 난이도를 섞지 않는 Firework급 맵과도 난이도 격차가 나기에 arcturus보다는 두 단계 이상 어려운 맵으로 평가받는다.[8] UDL에서도 11위, 레이팅된 맵 중 딱 Firework 바로 아래 순위로 예상했는데 이보다도 낮은 순위이다.[9] Doggie는 Slaughterhouse급, ZoinkTartarus급, TrickFirework급으로 잡았다. 초고수들 사이에서 개인차가 발생하면 보통 Zoink가 맵을 저평가했다는 결론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는 약 5천밖에 되지 않는 어템 수로 매우 빨리 클리어해 버렸기 때문에 포럼도 Zoink의 평가가 더 신빙성 있다는 쪽으로 최초 순위를 산정했다.[10] 이쪽은 Zoink가 깨는데 10000어템 언저리를 사용했다.[11] Renn241, Quacduc, Joojmiguel, loltad, DreamTide, GhostVandalf, MercuryDT, NukeIIX[12] 괴물 오브젝트 두 마리가 가로막고 있으며 0.5배 축소된 모습이다.[13] 파일:사울굿맨 사클텝 듀얼.png[14] hawkyre, ImMaxX1, Bli, skywalker14, darksteelflame, Arithean[15] 엔딩 아트 마지막 클릭에서 죽었다. 심박수가 순간 158까지 올라간 상태에서 98% 소고기를 먹고도 예상했던 일이라며 별다른 동요를 보이지 않는 담담한 리액션으로 화제가 되었다.[16] 참고로 이때는 Solar Flare와 Walter White가 Tartarus 아래에 있던 시절이었다.[17] WATER 글자에서 T에서 E로 점프하는 구간 [18] 영상이 업로드된 건 4월 2일이지만 4월 1일 밤 10시 30분경에 클리어했다. [19] GaidenHertuny, Konsi, Peroxide, Arceus, AutumnLotus, Zent, Hko, Cotchy, Delta, Carloz, StarkytheSalad, ViralDL, Licen, CesDroid, Isane, Xyl, Xaren, Artos, Jhreen, para, Tom, Yuki, Keyblade, Cultrix, Woom, Pingui, Astion, Eridani, Yoonsrdynamix, Brittank88, Floppy, Hadeon[20] Duelo Maestro도 각각의 구간 자체는 Easy Demon도 받기 어려운 수준으로 쉽지만 2 Player 레벨이라는 점에서 Extreme Demon으로 상향되어야 하는 맵으로 자주 언급된다.[21] 2018년에 최초로 공개된 레이아웃 영상의 설명창에서도 2명이서 플레이할 것을 상정하고 만들어 혼자서는 불가능한 맵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래도 미래에 어떤 사람들이 나올지 모른다며 가능성 자체는 열어 두었지만 SrGuillester를 비롯한 대부분의 유저들은 단지 농담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게임의 유저층이 5년 사이에 급속도로 상향평준화되면서 결국 이를 혼자서 클리어하는 유저가 나와 버렸다.[22] conski는 2 Player 맵의 솔로 클리어에 특출난 실력을 보이는 유저로, 이 레벨이 그가 처음으로 클리어한 Main, Extended List 내의 익스트림 데몬이다.[23] 2017년 1월 14일에 47위로 등재되어 17일에 재평가로 최고 37위까지 올라가 봤다.[24] 공교롭게도 Codependence가 11위로 떨어지고 얼마 안돼서, Trick이 Top 10 클리어 영상을 올렸다.[25] 때문에 Kapinapi와 ViralDI의 클리어 당시에는 포럼에 등재되지 않았다가, Pukklez의 솔로 클리어 시점부터 포럼 순위 논의가 시작되었다.[26] 이때 Zoink가 행복해하는 트윗을 올렸다(...). 예의에 어긋난 행동이긴 하지만 Zoink가 얼마나 고생하는지 다들 알기에 대부분 봐주거나 이해해주는 상황이었다.[27] 이 결정으로 인해 Zoink는 트위터에서 또 얼마나 더 뺑이쳐야 하느냐며 한탄하는 트윗을 올렸다.[28] Multition, Bang Gang 솔로 클리어 등 뛰어난 2P 실력을 갖추고 있다.[29] Vernam, vit12, Synd, Konsi, DMSD, Sauzzeth, Enely, Thrasher, Vitchrose[30] 이때문에 난이도 대비 쉬워보이기도 한다.[31] 물론 실제로 그 난이도였다면 순위가 20위권이 이니었을 것이다.[32] Cursed -> RicoLP -> LordVadercraft[33] 마지막 클릭에서 죽었다.[34] 저 당시 4위는 Firework, 8위는 Tartarus였다. Tartarus보다 근소하게 어렵다고 하였다.[35] 이 맵은 비슷한 수준의 맵들 중 압도적으로 프레임 퍼펙트 수가 많다. 무려 약 40개나 있을 정도. 참고로 Tartarus는 20개 정도이기는 하지만, 그 맵들은 비행기가 어려운 반면 이 맵은 칼타이밍 맵이라 실제 난이도 차이는 별로 크지 않다는 의견도 존재한다.[36] 레벨 마지막에 나오는 얼굴이 이사람이다.[37] HeroZombie80, Realvet, Solarion, Valentine, Pla, X2K, nab, CloverPhoenix, caro, SnapNK[38] artos, Axxorz, Voltex, Realvet, Deadlox, spcreat, Graded, Pla, Indra[39] Wahffle, CairoX, BloodyDemon575, Bluestone, GDTombstone, DrRobin, Tunax, Alanjx, Fakeiwnl, Corvii, Zeronium, Jeremy Clarkson, SnowBallerr, Pandaa, Laniakea, Etheriall, Zeroxy, Ech0, Consuno, foody, Pike, T'im, Kloone, Dorvict, Remy, Amza, EleKrt1X, Teraaa, Urk, MiniShoey, RedMatrix, Teno, Solarion, Almohadaless, chara, ArtsiBurn, IIZynnsII, Skycrab, Bibu, 12_Kelvin, Crispy, Enzeux, ViewSonic, Xapia, Vulcanium4, Zenkabi, Muffy, Seany, Stilluetto, Imi, Doggie, Azuvy, D3ltex, Dorvict, RpgRaketti, Axel996, JHdash77, Snbbit, Kv082, hstorm, HugoHMF, Gokill, noodleshelf, Magmeta, Nicor77, GamerKnight750, vaen, Elevens, rose;, !Fenniko, DiamondSplash, rewrt, crumche, Fitatfi, skzyl, DTDom, Cersia, Xeox, Stratonymous, Cheezy, SmokeScream, Ked, IceConey, BlazerWolf, VoVocado, Sledge, Vikings, Chaotrix, Chee2y, Presty, Zink, Gruzy, ViperVenom95, VamP, Johnfree, Cheyne, RicoLP, functionxd, Luksa, Weenside, GDonut, Seturan[40] 1위는 길이가 무려 55분인 Eon.[41] Dzeser, Jo2000, Gusearth, weoweoteo, Kruso, Lieb, Fury0313, Nicki1202, Avery, TheJosiahTurner, Alter, Cookieszs, Logik, Megantwoo, Jeyzor, PhantomX, Toxic, AlrexX, IronDofus435, Thomartin, Wod, Dasher3000, TheTrueEclipse, Jaredkawaii, Smokes, Norcda Childa, Tygrysek, PG1004, Dorami, Blitzmister, Inactive, Mazl, Rob Buck, GDSkele, Platnuu, iliRyanili , Ninetales, vArctic99, Obsidium, Allan, Kazia, Surv, Dehznik, Ozix, Ilrell, FozaeKitty, KFAOpitar, Wolfstar, Megaman9, Brittank88, VERSU5, Loogiah, WhitePythor, Adiale, Nahuel2998, ErisethSP!, AirForce, Findexi, TDChris02, SuperSNSD, Disp, Koolboom, Lassiboii, Chromatik, iBlade, Yozyo, Oskux, FlaksY, Metsho[번역] 크리에이팅 시대로부터 투영된 흩어진 기억의 몽타주. Timo에 의해 베리파이. 2.2 수정은 Vikings가 하였다.[43] 인겜 파트를 보면 Cirtrax로 표기되어있다.[44] Nekon, LengthyRat, CreatorMY, Kerrrez, Shtaba, JuzGiew, ViralDL, Mordroc7, Asuith, PegasusZ, Chaldy, Adrift, Viper, Yoosr, Cynvic, Helpegasus, BlasterRobotz, Vit12, Kivvvi, Liu, Bli, MothEye, Kake, Tito, Cynixx, Mag, Dyubin, Cdpre, Texic, Galofuf[45] benji8080, eth, goob, silver, deadlox[46] 다만 이건 그쪽이 저평가되었음도 감안해야 한다.[47] 이로써 모바일 하디스트는 Aerial Gleam에서 Oblivion이 되었다.[48] 듀얼도 최상위권에서 많이 쓰이는 비대칭이 아닌 대칭이다. 이 부분도 Windy Landscape에서 영감을 받은듯.[49] 이러한 분위기에서 확실하게 벗어나 있다고 할 수 있는 데몬은 SWI나 Zodiac, Lotus Flower, Cosmic Cyclone, RUST, poocubed, kyouki, codependence 정도이다.[50] 그냥 밋밋한 연두색이 아니라 The Golden을 연상시키는 듯한 황록색~녹색이다.[51] LIEB, Giron, FrostBurn, ZeroSR[52] ArtsiBurn, Drakosa, DiamondSplash, npesta, Loogiah, Ryder, Zanna83, Doggie, DTDom, Gizbro, Enzollz, crumche, goob, UltraCharge, Kelvin, Ked, Blitzer, CDMusic, DreamZoneGD, AppleCr, rynoxious, Consuno, MercuryDT, Novaach, Tamori[53] Gamma, Sigma, Omega[54] Agat3, Amza, theworldofme[55] 경사면 버그를 이용한 것으로, 이 버그를 사용한 대표적인 맵이 Neliswave이다. 따라해보고 싶다면 이 영상을 참고.[56] zYuko, Gablor, Duke, arekushi14, Zentraa[57] EndLevel, CuLuC, Antares, deadlox, El3cTr0[58] 챌린지는 예외.[59] EndLevel이 커뮤니티에 QnA를 하겠다고 했을때, 어떤 유저가 한 질문의 답이다. 현재는 그 게시물을 지워서 볼수 없다.[60] 단순히 깜빡이는 웨이브 디자인을 나써류라 칭한다면 나써와 동시에 나온 Scarlet Surge나 웨이브가 존재하기도 전에 나온 Wave Wave도 나써류라 봐야한다.[61] Riot→Lime→Rainstorm→Alphanetic→Slithium→Prolix→Chattative→Doggie[62] 당시 Rainstorm은 10위권 안쪽의 난이도라고 언급했다.[63] 이하 Alphanetic[64] 참고로 Promethean도 짧은 길이의 Endlevel 익데이다. 다만 그 맵은 비행기 위주 맵인 반면 이 맵은 웨이브 맵이다.[65] Zoink가 8위라고 고평가한 것이 영향을 준 듯 하다.[66] 맵의 난이도 분배 및 재미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라고 했으며, 언너프 버전을 이미 클리어한 세 명에게는 양해를 구했다고 한다.[67] 다만 Jeller와 BeMixZ는 Kenos보다 어렵다고 하는 등 개인차가 꽤 심한 듯 하다.[68] Crimson Planet 등의 맵들을 모바일로 깬 유저이다.[69] 심지어 어템이 5만~7만으로 모바일에 높은 순위대 레벨에 쓴 어템치고는 적은축에 속한다.[70] 이 맵을 클리어함으로써 모바일 Hardest는 Crimson Planet에서 Aerial Gleam이 되었다.[71] Jenkins, Ilrell, Marwec[72] Zodiac 등과 비슷한 난이도이다.[73] 하지만 Edge of destiny 의 등재로 3번째로 어려운 애픽맵이 되었다[74] 영상 설명창을 보면 그동안 정말 마음고생이 심했음을 알수 있다.[75] tenzk, mestupid, Sean124, TheZinkYT, DashyBois, fragi7e, TropoGD, Lundshurk, Moisty, Drakosa, parasol, Robtobfreak, mkdk_yay, shakenworm, greencuber, Rathbuc, yubi, JoshTheB, Dant876, Desenkton, rawtire, calzone, Tilx, parollac, RobTop[76] DrayTM, Reda, Zipixbox, Realvet, River, silver, AlrexX, Valentine, Linear, Pla, Mercury, InfiniteStyles, GDIris, Halzion, ConnectedGD, Manu[77] AlrexX, TriplasH, rynoxious, Linear[78] 비대칭 듀얼의 경우 컨트롤보다는 암기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해 일정 수준 이상의 난이도를 만들기 어렵다. 그러나 이 맵은 비행기-볼 듀얼에서는 끔찍한 비행 간격과 볼 타이밍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므로 난이도가 흉악하며 비행기-비행기 듀얼에서는 무려 양쪽 비행기의 관성을 계산해야 하기에 오랫동안 인게임 최악의 비대칭 듀얼 자리를 놓치지 않고 있다. 그나마 Kyouki, Silent Clubstep, Abyss of Darkness 정도가 이 맵의 순간난이도에 비견되는 흉악한 비대칭 듀얼을 보여주나 Silent Clubstep의 비대칭 듀얼 파트는 정말 극악하지만[79]매우 짧고, AoD의 파트도 어렵기는 하지만 짧은데다 웨이브 실력이 좋다는 가정 하에 대체로 웨이브에만 집중하면 원활히 클리어 가능하다. 그나마 비대칭 듀얼의 순간난이도나 길이에서 이 맵과 비견되는 맵은 Kyouki 정도가 끝인데, 그 맵은 무려 3위라는 순위에서 알 수 있듯 다른 파트의 난이도가 매우 극악하다.[79] 모든 클릭이 60fps 프레임 퍼펙트다. [80] Trick은 Top 50 챌린지로 평가하였으며, 실제로 그 정도 순위의 챌린지들과 동급이다. 물론 Flutterwonder 등 상위권 챌린지보다는 아득히 쉽지만, 그 맵들과 달리 뒤에 추가 파트가 있어서 결코 만만한 맵은 아니다.[81] IcEDCave, Realvet, Doop, EndLevel, Loogiah, River[82] TMco, HelpegasuS, nikroplays, Zipixbox, ItsHybrid, Realvet, Wesp, Siv, Connected, Culuc, GD Iris, rynoxious, SwagMasta001[83] Nightning, Zendayo, reshiria, Valentlne, Pennutoh, pocke, DogGoesWolf, KrmaL, ryli06, talia, SleyGD, krisking, gamingmaster310, Dysbelief, IIKugelBlitZII, S3rios[84] 공식 후속작은 ItsHybrid가 주최한 동명의 맵이다. Varium에 의해 베리파이되어 똑같이 익스트림 데몬으로 레이팅되었으며 난이도는 더 쉽다.[85] Moosh, Hinds, Zeostar, Vlacc, GrenadeofTacos, Kiba, Giron, goob, Licen, FrostBurn, ewop, Deadlox, Lieb, Skrypto, silver, neoraptor, TheZinkYT, Blitzer, Awedsy, 64x, Starbom[86] 큐브는 점프하는 구간만 잘 맞추면 되지만, 로봇은 점프하고 떼는 것도 타이밍을 맞춰야 한다.[87] 근데 Absolute Garbage는 네덜란드 유저 bli의 고퀄 위클리 맵이다...[88] Vermillion, spcreat, Theorical, Awedsy, Cersia, Viprin, maxfs, ewop, Loogiah, zDeadlox, Pokechatt, weoweoteo, artos, RealVet[89] 주된 패턴은 아예 다른 맵 드랍 파트에 연결되거나, 무서운 장면에 대신 등장하는 것.[!]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91] Exen, Kentakiman, Buragoz, Hantein, Maelstorm, DiamondBlade, Pineapple Cat[92] 비슷한 난이도인 Aronia는 당시 23위였다.[93] 레벨 마지막에 나오는 얼굴이 이사람이다.[94] 차이점이 있다면, Celestial Force에선 나오지 않는 후반부를 사용했다는 것.[95] 학교를 이틀동안 쉬게 되어서 그 틈에 제작했다고 한다.[96] 1374, SyQual, TheCdPre, ZenthicAlpha, lnex, iEstia, Flosia, Mintjelly[97] 무려 68%에서 플루크 하였다![98] 현재 Glide는 레거시에 등재된 상태이다.[99] 2023년 8월에 LuigiDB가 바로 베리파이어를 맡을 수 있었지만 그 당시 Zodiac을 파느라 바빴고 그 직후 커뮤니티를 쉬었던지라 거부하였다.[100] 곡의 BGA를 구현하려 한듯하다.[101] 무려 1단계인 Stereo Madness보다 적다. stereo madness는 약 1400옵젝이다.[102] vit12, Birds, GustavoV3, Hugo[103] GammaReXx, TheRealPeng, FreddyDash, XeNith, CairoX, Nyoom, AVRG, Szilu, Isem, PugDomination, feijoa, awesomeme, Cantis, Dreamlight, Dutchi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