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Leaderboard_Top1.webp
포럼 순위

클래식 / 플랫포머
Pointercrate 리스트
1위 ~ 150
151위 ~
AREDL 리스트
All Extreme Demon
NLW 리스트
No List Worthy

목차【 펼치기·접기 】
1. 개요2. Top 1503. 목록
3.1. 151위 ~ 250위3.2. 251위 ~ 350위3.3. 351위 ~ 450위3.4. 451위 ~ 550위3.5. 551위 ~ 650위3.6. 651위 ~ 750위3.7. 751위 ~ 850위3.8. 851위 ~ 950위3.9. 951위 ~ 1050위3.10. 1051위 ~ 1150위3.11. 1151위 ~ 1250위3.12. 1251위 ~ 1350위3.13. 1351위 ~ 1450위3.14. 1451위 ~ 1550위3.15. 1551위 ~ 1650위3.16. 1651위 ~ 1750위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NLW 리스트
Non-Listworthy(NLW), 즉 리스트[1]에 등재되지 못한 데몬을 나열한 문서이다. PC 환경에선 Ctrl+F, 모바일 환경에선 설정 > 찾기로 데몬명을 검색할 수 있다.

즉, 익데만 다루는 AREDL list, 신규 익데를 반영하지 않는 Pointercrate의 Legacy List의 통합 리스트로 볼 수 있다.

리스트를 앱으로도 볼 수 있다.[2]

2. Top 150[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포럼 순위/Main - Extended List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문서 참조. NLW 리스트는 150위까지는 Pointercrate 리스트를 따르고 그 밑의 순위의 경우 독단적으로 리스트를 운영한다.

3. 목록[편집]

  • 각 문단은 100개의 레벨로 구성됩니다. 만약 중간에 레벨이 추가되었다면 마지막 레벨을 한 문단씩 뒤로 밀어주세요.
  • 변동 사항은 위의 링크의 공식 Discord 서버 또는 웹사이트 메뉴에서 알림 받기로 알 수 있습니다.

3.1. 151위 ~ 250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포럼 순위/NLW List/151~250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251위 ~ 350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포럼 순위/NLW List/251~350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351위 ~ 450위[편집]

  1. Luxt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65332454
    1분 26초
    225703
    2020.11.22

    Luxtra - by TheGalaxyCat, verified by Zeronium
    A solo extreme demon that I worked very hard on and I hope you all can enjoy the level and have fun playing it! Verified by Zeronium ^^




    베리파이 된 지 약 1년 만에 별이 붙고 순위에 오른 레벨.

    2022년 1월 24일, 141위에서 118위로 23위나 올랐다.
  2. Occult Outc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Occuit Outcry - by Havok and more[3], published by Havok, verified by AeonAir



    2021년 3월 22일에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3. Aesthe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Aesthetic - by SyQual, verified by Rainstorm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7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8% 이상이 필요합니다.
    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Zeronium
    100%
  4. Yuh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lFritz, verified by Moosh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heUltraBlock
    100%
    Kotamon
    100%

    쉬운 인데로 유명한 1929의 제작자 Lfritz가 만든 맵이다.

    베리파이어인 Moosh를 제외한 클리어자들의 평가가 유난히 좋지 않은데, 특히 한국 최초 클리어자인 ysj1005는 1929가 레이팅만 안됐어도 이딴 똥쓰레기가 안나왔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사실 1929와 이 맵 모두 싱크 위주의 맵들인데, 재밌는 게임플레이로 호평을 받았던 1929와는 달리 Yuh는 싱크에 비해 게임플레이가 나쁜 편이라 평가가 매우 안 좋다.
  5. FIREPOW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Missing Benefi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Missing Benefits - Antares and more[4], Verified and published by TGI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3% 이상이 필요합니다.
    1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1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eptile
    100%
    Jaw IS
    100%
    Pablohh
    100%
    Dorami
    100%
    Enzeux
    100%
    RG
    100%
    Enzuu
    100%
    TheUltraBlock
    100%
    Waivve
    100%
    PoisoN
    100%
    Technical
    100%
    xBeNx
    80%
    KneeVan
    80%
    Tipp7
    77%


    원래 Factory Realm X와 Demonicat 위였으나 난이도 재평가로 인해 그 둘의 밑으로 떨어졌다.
  7. Mind Control
    [ 내용 펼치기 · 접기 ]
    Mind Control - by Deadlox and more[5] published by Deadlox, verified by xander

    익스트림 데몬 Crowd Control의 후속작이다. 베리파이는 전작과 같은 xander.

    2022년 1월 20일 zande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고, 1월 25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2월 26일, 129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4월 8일, 137위에서 133위로 올라갔다.
  8. Adeluc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Adelucid - by MannyHeffley
  9. Night Rid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Night Rider - LmAnubis & more[6], Verified by LuigiDB



    2018년 LmAnubis가 주최하면서 시작된 초거대 합작맵이다. 많은 유명인 참여와[7]비슷한 시기에 많은 주목을 받던 익데인 Ocular Miracle[8]과 대결 선상에도 오를 정도의 초고퀄리티로 꽤나 많은 인기를 누렸지만, 주최자인 Anubis와 그 외에도 참가한 유저 일부가 도중에 게임을 접거나 잠시 그만뒀기 때문에 2019년에는 합작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시피 했다.

    그러다가 2020년 4월 7일, Anubis의 채널에 첫 프리뷰가 올라왔는데, 유저들의 오랜 기대에 부응하듯이 맵의 디자인이 매우 뛰어나며, 맵 자체의 테마답게 도시 야경, 네오 시티 등등 각 파트마다 테마의 개성도 매우 뛰어나 유저들의 극찬이 끊이질 않았다.

    이후 제작과 멤버 추가모집, 그리고 마지막 CC 이후 2021년 1월 6일, 마침내 마지막 프리뷰가 올라왔다. 이후 2022년 1월 1일, 풀버전이 올라왔다.

    반응은 그야말로 매우 뜨거웠으며, 이전 프리뷰에서 보인 일부 파트들의 부족함이 완전히 채워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향후 베리파이어는 누가 베리파이하냐는 댓글러들의 공세를 맞이하며 심지어 롭탑도 트윗으로 언급했다 Anubis의 언급에 따르면 LuigiDB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맵의 테마, 배경 등이 미래 도시의 아름다움이나 야경의 불빛 가득한 네오 시티를 연상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루며, 일각에서는 최근 출시된 게임인 사이버펑크 2077의 배경만큼이나 아름답다며 극찬하기도 했다.[9]

    디자인이 매우 호평을 받는 반면, 게임플레이는 일부 지적이 보이기도 하는 편이다. 2018년에 제작을 시작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된 게임플레이를 대대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거의 대부분 그대로 내보냈기 때문.

    2022년 2월 10일, LuigiDB가 베리파이 했다.

    난이도는 어려운 편은 맞지만 아주 어렵지는 않으며, 130~150위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2022년 2월 26일, 레이팅 되었다.

    2022년 3월 9일, 131위에 등재되었다.
  10. rosedyna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rosedynamix - by rose;, Renn241
  11. reset your mi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set your mind - by fursona, verified by King Tosh
  12. Omicr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Omicron - Team Proxima[10], Verified by Nexus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7%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0% 이상이 필요합니다.
    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triked
    100%
    상천[?]
    88%
    Mix991
    66%

    Team Proxima가 만든 Epsilon의 후속작이다. 레이아웃은 2019년 9월 22일에 공개되었으며, https://youtu.be/ZlKLqn3e_Zg 참고.

    2020년 6월 9일에 완성되었다! https://youtu.be/VoP1tVl98Fw 베리파이어는 Nexus가 하려 했으나 Dorami에게로 권한이 넘어갔다.

    Dorami는 Omicron을 72%, 89%를 먹었지만, 2020년 8월 22일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https://youtu.be/f2LHF8YMXlk[12]

    2020년 10월 19일경 마침내 포럼에서 37위로 등재되었다.

    전작인 Epsilon에서 하차했던 Aquatias와 YakobNugget은 이번작에 참가해서 파트를 갖게 되었다.

    맵 제목의 어원은 그리스 문자 중 하나인 오미크론.[13]

    Omicron의 최초 클리어자는 Crazen인데, Crazen이 아동성범죄자의 행적이 드러나여 사실상 Striked가 최초 클리어가 됐다.

    2021년 4월 23일에 업데이트를 했으며 Nexus가 베리파이를 하였다. 주로 너프를 하였으며 초반의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혹평받아 왔다는 것을 의식했는지 초반부분들이 너프를 많이 받았다. 업데이트 이후에는 대부분의 파트가 밸런스도 잘 맞고 게임 플레이도 꽤 좋다는 호평을 많이 듣는다.

    2021년 말쯤 갑자기 이 맵이 유행을 타기 시작했는데 남아공에서 나온 변이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름이 오미크론 이기 때문(...)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3. DESOL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TURN THE LIGHTS OFF
    [ 내용 펼치기 · 접기 ]
    TURN THE LIGHTS OFF - by nikoberry, verified by MyntiFresh
  15. MISFI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MISFIRE - by Galaxxyss
  1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Hell Fiel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lectroman Adventures V2 문서
    2.2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Quantum Processing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Dole Dam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Dole Damos - by Jeyzor



    Matilda the Machine 이후 약 5년 만에 새로 등장한 Jeyzor의 비대칭 듀얼 레벨이다. 2020년 이후 Jeyzor의 스타일에 맞게 온갖 독특한 이펙트와 색감, 원래부터 악명이 높았던 비대칭 듀얼이 개성이 되는 레벨.

    2022년 5월 3일, Jeyzo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6월 19일, 113위에 배치됐다.
  20. Insane Techniqu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lodin da fish wash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lodin da fish washer - by koko43, verified by ButterFish



    koko43이 제작한 큐브, 로봇 칼타 레벨이다.

    2021년 8월 4일, ButterFi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6월 13일, 142위에 등재되었다.
  2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BBBBBBBBBBBBBBBBBBB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The Hell Z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Zone - Published by IStormflyI, Created by Sohn0924 & more[14]



    1.2때 한국인 유저 Sohn0924가 프랙티스 버그를 사용해 업로드한 The Hell Zone을 1234, Koreaqwer, Ryan LC, Cyclic이 디자인을 한 버전. 원래는 Cyclic이 Verify하였으나 핵이었다고 자백한 이후 서버에서 삭제되었었다. 그리고 Zelda, Overowned, Stormfly 각각 세 유저가 자신만의 버전(너프 혹은 버프된)을 업로드하려 했고, 결국 먼저 Stormfly가 Verify하게 되었다.[15] 다만 RobTop은 초반 타이밍이 너무 어렵다면서 이 맵에 별을 붙이는 것을 거부했다.
    Bedlet이란 유저도 디자인 추가 버전을 베리파이, 업로드했으며 https://youtu.be/ZNJsPayox2c Sonic Wave를 베리파이한 Sunix도 가장 어려웠던 버젼을 도전중이었다. 하지만 Krazyman50이 스트림 방송에서 RobTop에게 이 맵에 별을 주라고 직접적으로 얘기해서 The Hell World와 동시에 데몬이 되었다.

    몇몇 유저들은 같은 타이밍 데몬인 Conical Depression 과 Hatred보다 이 맵이 위라고 평가하기도 하는데, 이유는 비슷한 수준의 타이밍에 The Hell Zone의 길이가 더 길고, 디자인 때문에 장애물이 잘 안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포럼에서 Conical Depression 위로 승격되었으며 Bloodbath보다 위에 자리잡았다.

    venfy가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2021년 10월 24일 148위에서 107위로 무려 41위나 상승했다.
  24. Flyw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Lovestruck
    [ 내용 펼치기 · 접기 ]
    Lovestruck - by Tuna310 & more[16], verified by lillie
  26. EnCrypt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Belloq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5610687
    2분 19초
    212511
    2019.5.19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44.74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11.1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7.212

    Belloq - Skidel and more[17] published by Sminx, verified by BrianTheBurger
    thing with sand




    Pennutoh가 주도한 합작으로, 사막 테마의 싱크가 잘 맞는 맵이다. BrianTheBurger가 베리파이하였다. 베리파이 하는데 8633어템을 소모한 그는이 맵이 대략 30~60위쯤 위치할 것이라 예상했다.

    레이팅되어 53위에 안착하였다.

    최근 유튜브 등지에서 이 레벨이 매우 싱크가 잘 맞는다는 것을 이용해 상당한 싱크를 보여주는 다른 노래들과 섞는 밈과 55~56% 중간 꽃병같은 오브젝트가 깨지는 연출에 다른 장면을 끼워넣는 밈이 유행하고 있다. 싱크 면에서는 Moskau가 단연 최고로 여겨지며, 특히 69%가 제일 싱크가 잘 맞는다 하며 원래 음악 대신에 Moskau를 틀고 깨야 한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Hilo가 모바일로 클리어하는데 성공했다!

    1tzBee라는 유저가 60hz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다!(한국 최초이자 세계 두번째다.)[18]

    2022년 4월 8일, 144위에서 139위로 올라갔다.
  28. Glowy
    [ 내용 펼치기 · 접기 ]
    Glowy - Rob Buck & Galzo, Verified by BoldStep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5% 이상이 필요합니다.
    19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DiamondSplash
    100%
    WhiteDwarf
    100%
    Kevelia
    100%
    Sunix
    100%
    SrGuillester
    100%
    Stilluetto
    100%
    Kainite
    100%
    Railblazer
    100%
    Melodyst
    89%
    Naxrin
    67%
    Spamdrew128
    64%
    MagnusVN
    62%
    DaAlexSeed
    60%
    Acticath
    59%
    Tipp7
    55%
    Gojira
    52%
    lPiggyl
    48%
    adLiN
    48%
    ItzDeceptix
    45%



    한국계 미국인 유저인 Rob Buck이 무려 26만 오브젝트로 만든 맵이다. 레벨의 이름 답게 글로우 오브젝트를 모두 제거하면 6만개만 남는다. 고로 글로우 오브젝트가 무려 20만개.
    초반 1분 레이아웃은 Sunnet(현 Galzo)이 만들었고 디자인과 나머지 레이아웃은 Rob Buck이 하였다. 초반에는 1.9/2.0식 평범한 디자인의 맵같지만 뒤로 갈수록 눈아프게 떡칠해 놓은듯한매우 밝고 현란해지는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길이는 3분 20초 가량으로 3분 정도인 Fusion Z보다 길고 난이도도 매우 어렵다. 다만 BoldStep이 이 데몬은 어템 수보다는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데몬이라고 말한 것을 보면, 순간난이도는 이곳의 여타 데몬보다는 비교적 쉬우나 이걸 3분 20초동안 실수 없이 플레이하는 것이 난이도로 크게 작용하는 듯하다.

    Sonic Wave 81%, Yatagarasu 96%(...)를 간 BHFusion이 스트림에서 자신이 베리파이한다고 밝혔으나 한동안 소식이 없었고, BoldStep으로 바뀌었다. 그 후 오래 끄는 일 없이 맵을 베리파이했다. 그리고 나오기 무섭게 Sunix가 단 1700 어템프를 소모해 클리어했다...[19][20] Sunix가 클리어하고 나서 레이팅되고, 별을 받은지 얼마 되지 않은 9월 26일경, 포럼 17위에 올라왔다.[21] 그 후 한동안 클리어자가 없다가 몇 주 뒤인 10월 12일, DiamondSplash가 Glowy를 두 번째로 클리어했다.
    한국인 유저중엔 YoshinoDash라는 유저가 처음으로 클리어 하였다.
    재평가를 받았는지 Bausha vortex 위로 올라왔다.
  29. memor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memories - by ImMaxX1
  30. Cryst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12516
    73645039
    1분 8초
    87371
    2021.09.14

    Crystal - by Zeronium
    its a crystal cave or something idk




    Zeronium의 개인 맵이다.
  31. Boogie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MiniWheatDuo and more[22], published by DigitalZero, verified by Railblazer


    길이가 6분 37초로 익스트림 데몬 중 손에 꼽히게 긴 맵이다. 익데치고는 간격이 넓음에도 매우 긴 길이 때문에 쉽지않다.

    2021년 8월 24일, 베리파이되었다.

    2021년 10월 3일, Main List 끝자리인 75위에 배치되었다. 하지만 다음날 Kuzureta가 61위에 배치돼서 바로 Extended로 밀려났다.

    2022년 6월 16일, 112위에서 149위로 내려갔다.
  32. Quao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Quaoar - by Flosia and more[23], Verified by zPlasmaLust



    Flosia가 개최한 한국인 합작레벨이다.

    2021년 9월 4일, zPlasmaLus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6월 4일, 146위에 등재되었다.
  33. Rate Dem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Rate Demon - RoiMousti, verified by Dorami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1%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3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Kapinapi
    100%
    Zalgaryth
    100%
    Kainite
    100%
    robotchief
    88%
  34. Void 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01441
    59620684
    4분 18초
    366,022
    2020.02.10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25.87
    데몬리스트 점수(60%) (공식포럼)
    8.90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6.996

    Void Wave - CherryTeam[24], Verified by Dorami
    Gangster's Paradise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0월 18일에, Dorami가 데코를 고치고[25] Verify 한다고 밝혔다.[26] 그리고 2021년 1월 16일경, Dorami가 Void Wave를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마지막에 실수로 점프를 눌러 98%를 먹었다(...). 그 후 1월 17일경, 마침내 Void Wave를 깼다!
    현재 데몬리스트에 상주해있는 에픽맵들 중에 길이가 가장 긴 맵이다. 4분 18초.
  35.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ausha Vorte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Spectrum R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Spectrum Rave - by Ryder and more[27], published by Ryder, verified by Floppy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4월 경부터 시작되어 21년 8월에 완성된 합작으로, 이름답게 전체적으로 무지개색을 띄고 있다. 디자인을 잘하는 크리에이터들이 모인 만큼 파트 하나하나의 퀄리티도 수준급이고 게임플레이도 준수한 편이다. 여담으로 Duffz의 파트도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Eggnog의 파트로 교체되었다.
  37. Never Beat 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Never Beat It - by HeroZombie80, verified and published by Metalface221



    1.9스타일의 맵이다.

    2021년 10월 1일 Miro가 세계 최초로 클리어했다.
  38. STICKS FOR BON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Bass C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Bass Cave by Bloodshot, verified by nSwish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본래 핵으로 베리파이 된 맵인데, 어째서인지 레이팅이 되었고 그와 동시에 이 맵의 제작자인 bloodshot은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을 수정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본래의 게임플레이와 난이도에서 크게 어긋나지 않게 수정하겠다고 말했고 맵의 수정이 완성된 후 nswish에게 베리파이를 맡겼다. 초고수답게 베리파이는 빨리 끝났고 당시 nswish의 말에 의하면 infernal abyss의 바로 밑단계에 위치하는 난이도라고 한다.

    그후 distraught의 바로 밑에 배치되었다.
  40. distrau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distraught - alkali & more[28], verified by TGI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띄고 있는 맵. 드롭 시작부터 4배속이 난무하는 등 어려운 난이도지만 특히 alkali의 미친 큐브 칼타이밍이 매우 어렵다. 디자인을 잘하는 유명 유저들이 모인 만큼 맵 퀄리티는 좋은 편.
  41. Sinister Inci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Sinister Incision - by Yoshikawa and more[29], published by ItsHybrid, verified by MrSpaghetti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inds의 Night Terrors를 리메이크 한 맵.

    2021년 1월 25일에 86위로 등재되었다.

    2022년 5월 3일, Black Flag가 114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42. Static Igni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Static Ignition - Magmet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agmeta가 개인으로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 노래로는 Electroman Adventure의 리믹스 버전을 사용한다.

    2022년 4월 6일 Sparkling이 37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43. The Sulphur Se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Dual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IMOIST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IMOISTAR - by Fliqh, verified by Shween
  46. Berserk
    [ 내용 펼치기 · 접기 ]
    Berserk - Zylenox and TrusTa, verified and published by TrusT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Zylenox와 TrusTa의 극비(?) 합작.

    2021년 1월 25일, 116위에서 106위로 올라갔다.

    2021년 12월 10일, 레거시인 151위에서 133위로 올라갔다.

    2022년 4월 4일, Quantum Theory가 86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47. Black Blizza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Black Blizzard
    by KrmaL
    캡션

    My best and hardest level yet. Dedicated to nobody.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000006
    34057654
    1분 40초
    29,089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9
    난이도
    Extreme Demon


    Black Blizzard - Krm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Krazyman50의 마스터 피스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0% 이상이 필요합니다.
    7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SrGuillester
    100%
    rWooshi
    100%
    Kevelia
    100%
    DiamondSplash
    100%
    TrusTa
    100%
    Stealz
    100%
    RpgRaketti
    100%
    Swooker
    100%
    Powerbomb
    100%
    Herdys
    100%
    Luqualizer
    100%
    Poemi
    100%
    Dirisone97
    100%
    Th31
    100%
    DiamondDark
    100%
    Real
    100%
    Mix991
    100%
    Pablohh
    100%
    Plusxenon
    100%
    Waivve
    100%
    Coal56AB
    100%
    Frety
    100%
    BlackMG
    100%
    Skullo
    100%
    Snowr33de
    100%
    Atomic
    100%
    TomPP
    100%
    Sylz
    100%
    liPlatinum
    100%
    Sunix
    100%
    Wonderless
    100%
    Komic
    100%
    Rainstorm
    100%
    BrianTheBurger
    100%
    crohn44
    100%
    Enzeux
    100%
    ShapiroFan2006
    100%
    Enzuu
    100%
    xImJuliittoZ950
    100%
    GDonut
    100%
    Eiruni
    100%
    EroGamer
    100%
    Xavereth
    100%
    ValenQpr
    100%
    Zagros
    100%
    flukeNflaith
    100%
    alexi17
    100%
    LuigiDB
    100%
    leaflet
    100%
    Gamer Rocket
    98%
    Spectral
    95%
    Swithical
    95%
    Aviila RX2X
    92%
    ZhenthicOmega
    69%
    IIDustikII
    68%
    TrueOmega
    68%
    Lyal
    65%
    Chapo
    63%
    Plasmic
    60%
    Omega Stryker
    59%
    TheFrozenTide
    58%
    phatpig321
    56%
    ItsDoomeDash RB
    54%
    Minute29
    51%
    Galaxy GD
    51%
    Andies
    45%
    Guille1999
    43%
    Bigthunder556
    43%
    Freek323
    42%
    Dillon [GD]
    42%



    KrmaL이 만든 데몬이다. 제목답게 검은색이 많이 사용되었다.

    2.1 초창기 가장 유명한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로,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면에서 고평가를 받는다. KrmaL의 대표작 중 하나이기도 하다.

    시작하자마자 극악한 미니 큐브 공점 칼타가 나오는데, 이 칼타는 맵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로 평가받는다. 이후 대형 큐브 칼타, 암전된 UFO-볼-비행기-큐브 순서대로 나오며 매우 어려운 듀얼 파트로 이어진다. 비대칭 듀얼에 생각보다 타이밍이 빡빡하고 구성이 난잡해서 적응하기 어렵다. 이후 저속 비행기와 웨이브로 좁은 공간을 지나가면 클리어.

    원래 현 버젼보다 훨씬 어려웠으나 KrmaL이 모니터를 144Hz로 바꾸면서[30] 맵을 대폭[31] 하향시켰다. 5월 21일에 클리어되었다.

    별이 받은 후 10위가 되었다. 이후 Demonicat의 등장으로 20위권에서 퇴출되었다.

    여담으로 하향 전 버전에 비해 극후반부의 좁은 지형을 통과해야하는 비행기와 웨이브 부분, 칼타이밍 계단 부분 등 다양한 파트가 너프되었다.

    하지만 KrmaL의 언급에 따르면 자신은 너프를 한 것이 아닌 맵을 베리파이 했을 뿐이며 흔히 너프되지 않았다는 버젼들은 완성이 안된 버전이라고 했다. 가급적이면 너프된 맵이라는 말을 사용하지 말자.

    이 맵은 2017년 1월~2월 경에 있었던 해킹사건의 피해를 입기도 했는데, 해커가 KrmaL의 계정을 해킹하면서 이 맵의 복사본을 뿌렸다. 그 덕에 아직 나오지도 않은 맵이 복사본으로 돌아다니게 되었고, 출시 이전에 많이 어려울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출시 이후 하루만에 클리어자가 나오게 되었다. 심지어 Rulas라는 한 유튜버는 핵을 써서 풀영상을 올리기도 하였다![32]

    BoldStep은 나오자마자 60~100%을 갔고, Sunix는 40~100%을 갔다가 클리어했다. 심지어 SrGuillester는 76%이후 바로 클리어했다.

    2017년 12월 17일, 한국에서 Plusxenon이라는 유저가 7개월간의 고행 끝에 약 38000어템을 먹고 드디어 첫 번째로 클리어하였다!!

    2020년 6월 15일, Bradenbowl이라는 유저가 세계 최초 모바일 클리어에 성공했다!
    근데 이 사람은 그것도 모자라서 같은 해 12월 10일, 세계 최초로 완전 투명 버전의 Black Blizzard를 클리어하기에 이른다. 사용한 총 어템만 무려 74,099어템이라고...[33]

    2022년 3월 30일, Shutdown이 69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alengu Vorte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uditory Breake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0. FusionDyna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FusionDynamix - Twister&nukeiix, Verified by Fenix
  51. Supreme Demon 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Ziroikabi
    [ 내용 펼치기 · 접기 ]
    Ziroikabi - RoiMousti, Hacked by Endleve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34]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2% 이상이 필요합니다.
    2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Waivve
    100%
    batya13370
    100%
    Kapinapi
    100%
    Seturan
    100%
    Rain22
    100%
    npesta
    100%
    vart
    100%
    benji8080
    100%
    Blazer2
    100%
    zPlasmaLust
    100%
    Spouty
    100%
    lolwut
    100%
    Zagros
    100%
    Kainite
    100%
    Kay
    100%
    Rainstorm
    100%
    Cool Dash
    100%
    Zerviot
    76%
    alexi17
    61%


    한국인 크리에이터인 Zariku의 인세인 데몬맵 Zirokabi를 RoiMousti가 리메이크한 맵. 대부분 Zirokabi의 디자인을 따르고 중간에 미로 구간도 존재한다. 다만 베리파이어 Endlevel이 핵 익스포징을 받아 Hacked 처리된 비운의 맵 중 하나이다.

    전작 Zirokabi의 특성을 잘 살린듯한 맵으로 호평을 받고 있는데, 특히 후반부에 등장하는 공점 미로와 아이콘을 제외한 모든 화면이 가려지는 구간은 그 특성을 멋있게 살려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디자인도 Roimousti답게 매우 화려한 디자인을 자랑한다.

    초반의 웨이브 구간과 비행 구간이 굉장히 어렵다고 손꼽히는 구간이며, 정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한국 최초로 Seturan이 클리어했다. https://youtu.be/9WVkV3MtVA8
    또한 한국 두번째로 Chamchi가 클리어하였고,[35] 최근에 한국 세번째로 PlasmaLust가 클리어하였다.

    2022년 3월 8일, TheCinnyBun이 107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53. Pandemoni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Pandemonium - by Yakimaru and Terron, verified by knoeppe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Yakimaru와 Terron이 제작한 레벨이다. 맵은 Funnygame의 Death Moon과 비슷한 디자인과 구조로 리메이크 했다고 볼 수 있다.

    2022년 3월 4일, ATOMIC CANNON이 58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54. SECTOR 19
    [ 내용 펼치기 · 접기 ]
    SECTOR 19 - by Sillow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illow의 개인 레벨이다.

    2022년 3월 3일, Descent Into Exile이 26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55. Hatr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Hatred - AZuLer4 & SrGuillester, Verified by SrGuillest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7% 이상이 필요합니다.
    4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lassCFB
    100%
    JakeM2436
    100%
    rWooshi
    100%
    Pablohh
    100%
    Emerdy
    100%
    Mullsy
    100%
    Rainstorm
    100%
    Sungsu Kim
    100%
    DiamondDark
    100%
    iNeo
    100%
    ElFranz
    100%
    Edstar24
    100%
    Talios
    100%
    Skullo
    100%
    Sunix
    100%
    ShapiroFan2006
    100%
    TGM05
    100%
    BrianTheBurger
    100%
    DiamondSplash
    100%
    Colorbolt
    100%
    GDonut
    100%
    GunnerBones
    100%
    Gabs
    100%
    Eiruni
    100%
    Swithical
    100%
    Nimbus
    100%
    Zagros
    100%
    Luqualizer
    100%
    PoisoN
    100%
    GD Circles
    78%
    Saidek
    78%
    recillia
    63%
    Citrus Sinensis
    61%
    Cenos
    59%
    XGen26
    57%
    BlakeJM
    53%
    TomPP
    50%
    Hilo
    50%
    Pjoes
    50%
    KimCY
    47%



    44%의 3배속 5단가시 넘기를 제외하면 맵의 전부가 저속 모드로 이루어져있다. 그래서 Subsonic처럼 빠르고 현란함으로 난이도를 이루는 것 보다는 타이밍 위주의 데몬이다. 초반부터 엄청난 타이밍의 사이클, 큐브 모드로부터 시작하는데 저속모드이긴 하지만 웨이브와 소형웨이브의 틈을 보면 0.5칸 정도로 엄청나게 좁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아주 정확한 타이밍에 들어가지 않으면 죽는 UFO와 정말 조그만 틈만 벌어진 로봇[36]칼타이밍의 끝을 보여준다. 심지어 불규칙한 중력반전+1칸이라는 좁은 공간의 반칸가시를 피하는 소형 비행기, 마지막에 블럭의 위치를 암기해야 하는 소형 큐브 모드 부분도 있다. 초반 웨이브와 중후반 로봇모드를 맵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들 뽑는다. 또한 마지막 맵 제작자들의 이름이 나오는 블록 끝에 있는 가시에 죽는 사람들도 몇 있으니 조심하자.
    이미 익스트림 데몬에 포럼 순위권이긴 하지만, 타이밍 데몬을 소개하는 영상 등을 보면 요즘도 최상위권에 많이 들어간다. 길이가 많이 짧아서 순위가 조금 낮게 책정되었었으나 결국 1년 뒤에나 난이도를 재평가 받아서 여러 맵들을 제치고 19위에서 14위로 올라 Bloodbath까지 뛰어넘었다. 그러나 좀 더 높게 책정되어야 한다는 사람도 있다.

    현재 실력자 한국인 유저 Rainstorm8169어템을 사용하여 한국 최초로 클리어하였고,[37][38] 같은 날 Sungsu Kim29000어템가량을 사용하여 두 번째로 클리어 하였다.

    Hilo가 모바일 최초로 클리어했다!

    코인은 총 2개가 있다.
    첫번째 코인은 21%, 초반 미니 큐브모드 때인데, 2단 가시를 넘고 한 번 더 점프하면 중력반전 포탈을 타면서 먹어진다. 포탈을 탄 직후에 숨겨진 공점을 눌러야 한다. 안 누르면 그대로 죽는다.
    두 번째 코인은 66%에 중력반전 발판에 닿자마자 클릭을 하면 숨겨져있던 중력반전 공점이 눌러지면서 맨 밑바닥으로 순간이동, 후에 저속모드로 최대한 넓은 2단 가시를 넘으면 코인을 얻을 수 있다. 2단 가시 밑바닥이 가려져 안 보이기 때문에 먹을 때 조심해야 한다.
    여담으로 2번째 코인을 먹을 때 죽으면 언더테일의 짜증나는 강아지가 나온다.[39]

    여담으로 베리파이어인 생방송에서 SrGuillester가 마지막 가시에서 죽은 전적이 있다.[40][41]
    또한 SrGuillester가 맨 처음 이 맵의 프리뷰를 소개할 때 매우 쉬운 데몬(Very easy Demon)이라고 소개했다. 역시 칼타 성애자

    이 맵의 후속작으로 Deathwish라는 맵이 있었으나, 영상 코멘터리와 영상이 올라간 날짜를 보면 만우절 영상임을 알수 있다. 하지만 만우절 영상인건 둘째치고 맵 퀄리티가 좋아 현재까지도 이 맵이 나오길 바라는 댓글이 달리고 있다.

    2022년 3월 2일, Legacy로 떨어졌다.
  56. Furious Flam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Furious Flames - Failure444 & Demonic Platypus, Verified by BrianTheBurg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3% 이상이 필요합니다.
    4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ullsy
    100%
    DiamondSplash
    100%
    Pablohh
    100%
    Kapinapi
    100%



    Failure444라는 유명 크리에이터가 디자인하고, Demonic Platypus라는 무명인이 레이아웃을 제작한 합작맵이다. 초반부터 끝까지 눈 돌릴 틈을 주지 않으며, 특히나 칼타이밍과 비대칭 듀얼들이 이 맵을 더 어렵게 만든다. 일자비행은 기본이요, 비대칭 듀얼도 가히 Novalis급이기에 고도의 암기력과 정신력을 필수로 한다.[42] 또한 90% 이후 소고기 파트 또한 굉장히 어렵다는 평이 많다.[43]

    2.0때 시작해서 2.1때 마무리를 지었다는 대목에서 쉽게 눈치채기 쉽지만 합작이 정말 오래 진행되었고 그만큼 베리파이어도 자주 교체되었다.
    맨 처음에 이 맵의 레이아웃을 제작한 Demonic Platypus를 시작으로 DiamondSplash, Rampage의 손을 거치다가 최종적으로 BrianTheBurger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그러나 Geometry Dash에서 가장 게임플레이가 엉망인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평을 지겹도록 들을 정도로 게임플레이가 엉망이다. 말도 안 되게 버그가 많고 타이밍 구성도 매우 짜증나게 구성된 바람에 억지로 레벨 난이도를 올리는 것의 문제점을 그대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가 되었다. 이 때문에 DiamondSplash[44]가 바로 클리어한 뒤로 클리어 소식이 정말 띄엄띄엄 전해지며 비주류 데몬으로 전락했다.

    4월 11일경에 너프를 진행했으며 이맵의 Verifier인 BrianTheBurger가 그대로 진행했다. 너프와 함께 버그까지 수정했으며 이 영향으로 순위가 19위 하락했다.

    11월 16일경, 갑자기 핵으로 극상향을 먹어 레거시로 떨어졌다![45] 하지만 다음날 다시 원상복구되었다.
  57. The Hell Inferno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Inferno - by Sohn0924 and more[46], verified and published by Stormfl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ohn0924가 옛날에 제작한 The Hell 시리즈 맵 중 하나인 The Hell Inferno의 리메이크이다.
  58. Dusker Process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Chainsaw
    [ 내용 펼치기 · 접기 ]
    Chainsaw - by Moffe and more, verified by Lia
  60. Xroni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Xronier - by zJinoBeats
  61. ErebuS (Platnuu)
    [ 내용 펼치기 · 접기 ]
    ErebuS - by Platnuu, verified by Ozzy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latnuu가 만든 Erebus의 리메이크. 원작처럼 초록색 계열의 디자인을 사용하며, 마지막 5단가시를 뛰어넘는 파트가 없어졌다.
  62. Hyper Paradox
    [ 내용 펼치기 · 접기 ]
    Hyper Paradox - ItzHybrid & More[47],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yper Paracosm의 리메이크맵.

    2022년 1월 22일, Storming Summit이 63위에 등재돼서 레거시로 떨어졌다.
  63. AB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JonathanGD 문서
    번 문단을
    BuTiTi II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Breakout Redux
    [ 내용 펼치기 · 접기 ]
    Breakout Redux - Mindcap, TheTactiq & more[48], Verified by Waivv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talemate Redux를 만든 TheTactiq의 새로운 Redux맵이다.
    원작 Breakout을 제작한 Nwolc도 참여했으며 콘테스트를 열어 Majkomar가 우승해 파트를 가져갔다.
    베리파이는 Mirq와 Waivve가 공동으로 맡으며 Waivve가 84%를 갔다.

    2018년 8월 17일 Waivve가 베리파이했다! 난이도는 Zaphkiel과 비슷하다고 했다. 하지만 초고수 유저 Rainstorm은 절대 그 정도 난이도가 아니라며, 25위권이 적당하다는 평을 내렸다. 그렇게 38위에 안착했다.
  66. Illu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Illusion - by Hero3210, verified by MikeTheMagicMan
  67. Prism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Dea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Death - by AleeXhey & more[49], verified by TheyCallMeEvan
  69. Reactor C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Free For All 2
    [ 내용 펼치기 · 접기 ]
    Free For All 2 - by Pennutoh & more[50], verified by Jif
  71. Ele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La Cuev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Black Flag
    [ 내용 펼치기 · 접기 ]
    Black Flag - by NekonGames, Avati and more[51] , published by NekonGames, verified by Asuith



    NekonGames와 Avati가 주최한 대규모 합작레벨이다. 해적을 테마로 하였으며,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만큼 뛰어난 퀄리티를 지니고 있다. 노래는 Boom Kitty가 작곡한 곡이자 비트 세이버 수록곡이기도 한 Rum n' Bass.

    2022년 3월 25일, Asuit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5월 3일, 114위에 등재되었다.
  74. Ziroikapi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6827411
    1분 22초
    110828
    2019.08.03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56.21
    데몬리스트 점수(43%) (공식포럼)
    14.0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42.673

    Ziroikapi by Davphla and more[52], verified and published by Kapinapi
    Ziroikabi but better. Co-hosted with Roimousti and ViralDl. Magnet Wave Gang.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번째 Zirokabi 리메이크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3% 이상이 필요합니다.
    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2%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echnical
    100%
    blazer2
    100%



    Ziroikabi에 이은 Zirokabi의 3번째 리메이크 데몬이다.
  75. DMG CTRL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No Copy
    73733373
    1분 2초
    53002
    2021.9.1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7.04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18.772

    DMG CTRL - by GhostVandalf, verified by Divade
    Stop saying this looks like Acheron or Crowd Control. Verified by Div - My first solo!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hostVandalf의 개인 레벨이다.

    2021년 9월 17일, 베리파이 되었다.

    2021년 10월 28일, 135위에 등재되었다.

    2022년 기준 수많은 데몬들의 포럼 등재로 레거시로 떨어지게 되었다.
  76. Surge of Memor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Surge of Memories - TMNGaming, Verified by Kevtom(41594507)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MNGaming의 어려운 맵이다. 2018년 1월 28일에 Kevtom에 의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원래는 Rando_da_camando 등 다양한 유저들이 베리파이 하려고 했으나 마지막엔 Kevtom으로 넘겨줬다. 퀄리티 및 디자인은 다른 Extreme Demon와는 차별화된 특징으로 호평받고 있지만 그다지 유명하지 않다.
    2019년 6월 18일, 베리파이된지 거의 1년 반만에 레이팅 되었다.
  77. Surge of the Shie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Surge of the Shield - Geo and more[53], published by Geo, verified by Gabs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맵에 쓰인 노래인 MADKID - RISE와 중간중간 나오는 방패 아트, 엔딩 아트 등으로 보아 모티브는 빼도박도 못한 이것. 프리뷰 공개 당시에는 Tate No Yuusha라는 가칭이었으나 완성 후 지금의 제목이 되었다.
  78. Galactic Shift
    [ 내용 펼치기 · 접기 ]
    Galactic Shift - by HelpegasuS and more[54], published by TeamSmokeWeed, Verified by jbmo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alactic Fraguility, Delibit Oblivio를 제작한 Team Smokeweed의 3번째 합작.

    이전작이 초반부이 헬 테마를 유지하다 갑자기 테마를 집어던진 드랍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호불호가 극심히 갈렸는데, 이번 합작은 아예 테마를 정하지 않고 작업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따로따로 만들어진 파트들에 의한 파트 핏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를 내재하게 되었지만, 파트 각각의 디자인은 아주 준수한 편이다.

    전작들과 달리 크게 홍보가 되지도 않았고[55] 조용히 베리파이되어 묻히는가 싶었으나, 오히려 Dorami와 Mulpan이 홍보한 Delivit Oblivio보다 빠르게 별이 붙어 포럼의 한 자리를 가져가게 되었다.
  79. Astral Divin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Astral Divinity - by knobbelboy


    Knobbelboy가 오랜 기간동안 공들여 만든 익스트림 데몬. 제작 당시에는 엄청난 인지도를 얻으며 Bloodlust 베리파이와 함께 Knobbelboy를 Geometry Dash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올려준 맵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이 맵이 만들어진 지 상당히 오래 지난 현재에 와서도 인게임 최고의 디자인을 가진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반드시 빠지지 않는 맵이 되었다.

    다만 의외로 이 맵은 Geometry Dash를 통틀어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평가를 많이 받지는 못하는데,[56] 그 이유는 역대급의 디자인으로도 커버 불가능한 처참한 게임플레이 때문.[57] 특히 Technical은 게임플레이에 대해 100점 만점에 7점을 주며 혹평했다. Knobbelboy가 댓글로 미안하다는 말을 남길 정도. Kainite 또한 worst extreme demon이라고 클리어 영상 제목에 떡하니 달아놓았다. 꾸준히 발전한 디자인과는 달리 게임플레이 자체가 2.0 초반에 만들어져 매우 오래되었다 보니 생긴 문제. [58]

    이전에는 God Eater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고 레이팅되어 포럼에 올라가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59]로 삭제되었고, Knobbelboy가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을 소폭 수정하여 다시 베리파이하였다. 이전 god eater보다는 조금 너프가 되어 나왔다고 한다. 너프가 되어서 나왔는데 너프되기전보다 순위가 높다
  80. 2 1 1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1 1 - SrGuillester & Etzer and more, Verified by SrGuillester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약 5년만에 나온 2.0 픽셀 스타일 익스트림 데몬

    2016년부터 제작을 시작해 2020년에 출시되기 까지 무려 5년이라는 시간이 걸린 데몬. Etzer가 시작한 프로잭트답게 디자인이나 아트, 이펙트로 분류되던 타 데몬들과 다른, 픽셀 및 검은블럭이라는 매우 독특한 컨셉을 보유하고 있다. SrGuillester가 만들고 Etzer가 디자인을 할 맵이었으나 Etzer의 사기 행각이 밝혀지고 소리소문없이 게임을 접게 되면서 출시가 많이 지연되었다. 베리파이를 할 유저를 구하는 과정도 어려웠는데, 처음에는 Andromeda가 베리파이를 맡았지만 포기, 이후 무명 유저였던 GigamiX가 도전한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지만 얼마 안 가 핵임이 밝혀지며 베리파이를 맡을 유저를 구하는 건 다시 오리무중에 빠졌다.[60] 마지막 파트의 디자인이 계속 만들어지지 않아 한때 platnuu가 리디자인을 시도하기도 했으나[61], platnuu 역시 느린 작업을 전전하다 게임을 접으며 프로잭트가 수렁 속에 빠지게 되었다. 그렇게 출시가 매우 지연된 211은 잊혀지는 듯 했으나... TheFakeFlame의 디자인이 마지막 파트가 되어서 그렇게 SrGuillester는 잊혀저가는 211의 마지막 프리뷰를 공개했다! 베리파이는 SrGuillester 자신이 직접한다하며 211이 부활을 하게 되었다. 마지막 프리뷰가 공개된지 일주일 정도 되자 베리파이 영상이 나왔다. 그렇게 업로드까지 었으며 계속 지연되던 211의 출시가 드디어 이루어지게 되었다. 여담으로 게임에서 211을 치면은 맵의 ID로 인식해 이 맵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제목이 211을 띄운 2 1 1이 되었다.
  81. Dol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Free copy
    58417850
    1분 40초
    131737
    2019.11.28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27.08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5.066

    Dolos by Enzeux and more[62], verified and published by Enzeux
    The master of cunning deception. Are you capable of outrunning his curse? Two-year-old megacollab by me and 9 friend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You are going to Brazil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 이상이 필요합니다.
    91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63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1% 이상이 필요합니다.
    28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ainstorm
    100%


    Enzeux의 레이아웃을 그를 비롯한 다른 브라질인들이 데코한 맵.
    2020년 8월 6일경, 너프 및 게임플레이를 고쳤다. 이후 50위권에서 69위까지 재평가를 받고 계속 떨어져 이 자리로 오게 되었다.[63]
  82. Glitched Memor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TCTeam[64], published by TCTeam, verified by Zagro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lubstep을 곡으로 사용했거나 테마를 가진 스테이지들을 글리치 형태로 삽입한 다중 오마주 스테이지. 전체적으로 Clubstep 특유의 악마 입 디자인이 꾸준히 나온다는 것과, 군데군데 유명 스테이지인 Ice Carbon Diablo X, Red World Rebirth, Clubstep Nightmares[65], Tartarus[66]등의 디자인을 모방한 것이 특징이다.
  83. Polygonal Paradox
    [ 내용 펼치기 · 접기 ]
    Polygonal Paradox - by AleeXhey, kreno and Hypno, verified and published by Hypno



    AleeXhey와 kreno, Hypno가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맵이다.

    2022년 6월 16일, Hypno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7월 29일 146위에 등재되었다.
  84. Audio Expul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Audio Expulsion - Goodsmile & more[67], Verified by Luqualizer, Published by Goodsmil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에서 돌아온 Audio 시리즈의 세번째 맵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8% 이상이 필요합니다.
    2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7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ullsy
    100%
    Stilluetto
    100%
    WhiteDwarf
    100%
    Technical
    100%
    Gabs
    100%
    Enzuu
    100%
    Dorami
    100%
    Kapinapi
    100%
    Humbler
    100%
    IIwapon77II
    100%
    Kainite
    100%
    Gizbro
    100%
    BrianTheBurger
    100%
    RG
    100%
    Aphorism
    100%
    Rainstorm
    100%
    UbiVoiD
    100%
    EroGamer
    62%
    Pushenka
    61%
    Golden
    60%
    Komic
    48%
    MrBudgie
    48%


    Goodsmile을 주최로 하는 극악 합작맵인 Audio 시리즈의 3번째 맵이다. 본래 Audio 시리즈의 베리파이를 담당한 Goodsmile이 게임을 접어 Luqualizer가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Luqualizer는 대략 20~30위권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한다.

    한때 고평가라고 말이 많았던 레벨로, 많은 유저들이 섭소닉보다 쉽다고 평했다.

    9월 1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Thonyell이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85. MONSTROS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MONSTROSITY - Snarlax523, verified by WSCK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6. Unfair Even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Unfair Evening - by Shrympo, Onvil, verified by exerity
  87. Anoxy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Anoxysm - Lemons, verified by Mix99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극악 익스트림 데몬 Paroxysm의 후속작이자 Lemons의 두번째 익스트림 데몬. Paroxysm과 마찬가지로 수려한 디자인과 상당한 난이도를 보여준다.

    처음 레이아웃이 올라왔을 때에는 Top 3[68]까지 노려볼 만하다는 평을 받았다. 하지만 베리파이 과정에서 여러 게임플레이 수정과 너프를 거치면서[69], 출시 이후에는 무작정 난이도만 높게 설정하고 내다버린 게임플레이를 가진 전작보다 훨씬 낫다는 평을 받는다. 물론 말이 전작보다 쉬운 거지 여전히 호락호락한 난이도는 아니니 주의. 비행도 0.5칸에서 1칸으로 늘어난 정도가 끝이며, 전작에서의 매서운 칼타는 여전히 남아있다.
  8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ubSonic(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9. Nightmare Cha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Nightmare Chasm - by Zeptoz and more[70], verified by BGram
  90. ikar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ikaros - by Andr1x and more[71], published by Pavlaxan, verified by Woosh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1. Mujigae
    [ 내용 펼치기 · 접기 ]
    Mujigae - by YGYoshi, verified and published by Freakli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72]


    한국계 미국인 유저 YGYoshi[73]의 무지개색을 사용한 극악한 나인써클류맵. 디자인에서 호불호가 갈리나, 처음 제작해본 맵이라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제목은 '무지개'를 로마자로 쓴 듯 하다. [74]

    10월 2일 ThatJ4ke가 Freaklin에게 베리파이되기도 전에 클리어하였다. # 다만 그에 의하면 Sonic Wave보다는 쉽다고 한다.

    결국 11월 3일에 Freaklin이 Verified하였다!

    그리고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Endlevel도 클리어했다. 난이도는 Bloodbath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고 했다.최근에 unrated demon list에서 DD위까지 떡상했지만 다시 DD아래로 내려갔다.

    2021년 2월 9일, 드디어 레이팅되었다!! 그리고 2월 16일날에 112위로 등재되었다.
  92. Betrayal of Destiny
    [ 내용 펼치기 · 접기 ]
    Betrayal of Destiny - by Straw and more[75], published by Splash, verified by FrostBur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Betrayal of Fate의 리메이크 맵이다. 2021년 1월 25일 업데이트를 했으며, 베리파이어는 FrostBurn이라는 유저가 했다.[76]
  93. Shock Therapy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71703
    57121503
    2분 26초
    118687
    2019.08.22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35.61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8.90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32.751

    Shock Therapy by Arb71703 and more[77], published by Arb71703, verified by LuigiDB
    Shocking isn't it? By Arb, Jenkins, Grax and RadiationV2. Verified by Luig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49% 이상이 필요합니다.
    3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4% 이상이 필요합니다.
    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0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ViewSonic
    100%
    Gizbro
    100%
    goldjojo
    75%
  94. i hate you
    [ 내용 펼치기 · 접기 ]
    i hate you - AlrexX verified by Blitz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5. SINGULAR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SINGULARITY - Bianox & Eclipsed, Verified by Knobbelbo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6% 이상이 필요합니다.
    2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8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Technical
    100%
    Hotball1
    100%
    Zeroya
    100%
    stardream999
    100%
    Kay
    100%
    Vyrtual
    100%
    rWooshi
    100%
    BrianTheBurger
    100%
    Kapinapi
    100%
    UbiVoiD
    100%
    Eiruni
    100%
    RG
    100%
    Metalface221
    100%
    lolwut
    100%
    steven
    100%
    MrSpaghetti
    100%
    Zagros
    100%
    Enzeux
    100%
    Railblazer
    73%
    vinny
    73%


    Kenos의 주도자로 유명한 Bianox와 Spacial Rend의 총괄자였자 에디터 중 한명인 Eclipsed의 합작이다. 전체적으로 보라색 테마를 가지고 있다. 맵 제목의 뜻은 특이점이다. God Eater도 그렇고, 노벨보이의 맵은 여러모로 테라리아칼라미티 모드와 관련이 있기에 이 Singularity라는 이름도 칼라미티 모드의 재료 이름인 Galactica Singularity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Knobbelboy가 God Eater를 제작하다가 이 맵을 베리파이한다고 했다. 난이도는 Bloodlust보다는 어렵지 않다고 한다. 다만 Bloodlust가 끝난지 얼마 되지도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진행하던 프로젝트를 끝내지 않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Knobbelboy의 태도는 호불호가 갈린다. 댓글에는 Knobbelboy가 해야 하는 프로젝트의 목록을 작성해줄 정도이다. 하지만 Knobbelboy의 말로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는 전부 잘 되어가고 있다고는 한다.

    4월 7일에는 34%와 46~100%, 4월 25일에는 81%를 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확실히 알렸다. 7월 5일엔 96%를 갔다! 마지막 점프에서 죽었다고... 소고기의 저주 Bloodlust때가 생각난다

    여담으로 Bianox가 Crazen에게 플레이해보라고 복사본을 줬었으며, 83%까지 갔다. 다만 Bloodlust를 Knobbelboy에게서 빼앗은 전적 때문에 이번에도 Knobbelboy의 프로젝트를 빼앗은 것으로 오해받고는 한국 커뮤니티에서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반면 다른 커뮤니티에서는 Knobbelboy의 프로젝트를 빼앗는 게 오히려 밈이 되었으며, 이제는 자신도 그 밈을 즐기고 있을 지경이다.[78]
  96. The Hell Wor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World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79]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때 한국인 유저 Sohn0924가 프랙티스 버그[80]를 사용해 업로드한 The Hell World를 1234, Koreaqwer, Zelda 등 여러 유저들이 디자인을 한 버전. 원래 Zelda 파트는 원작을 뜯어고쳐 비대칭 듀얼을 만들었었으나 원작대로 수정되었다. Krazyman50이 스트리밍에서 RobTop에게 이 맵에 별을 주라고 직접적으로 얘기해서 The Hell Zone과 동시에 데몬이 되었다. 브금은 Dry Out으로 공식 맵 브금이 쓰였다.[81]

    Swithi가 최초로 클리어했다.[82] 그 이후 Wooshi999가 2번째로 클리어했고 Wooshi999가 클리어한지 일주일만에 Sunix가 3번째로 클리어했다.

    난이도는 Bloodbath와 엇비슷하다고 했다. 그래서 Bloodbath와 비슷하거나 그 아래라고 평가받았었으나, 타이밍 구간들이 재평가되면서 Bloodbath와 Phobos까지 제치고 처음 나왔을 때는 6위까지 올라갔었다.

    여담으로 1.2때 맵인 만큼 순수하게 공점, 발판 타이밍과 4단가시, 1칸비행, 볼 타이밍 등으로만 난이도가 결정된다. 몇몇 유저들은 2.0 ~ 2.1 데몬들이 너무 이펙트에만 열중한 나머지 난이도는 그냥 0.5 ~ 1칸 비행이나 좁은 웨이브 구간 또는 로봇 타이밍과 여러 가지 포탈 도배로 결정되니 개성이 없다고 평가하고, 오히려 1.2때부터 해온 슈퍼 고인물올드비들은 이런 맵이야말로 진정한 익스트림 데몬 난이도를 부여받을 자격이 있는 맵이라고 한다. 정작 플레이해보면 두 쪽 다 암걸린다

    Cycles가 가장 어려운 레벨 취급받던 1.2에 Bloodbath를 쌈싸먹는 난이도의 맵을 무더기로 만든 Sohn0924 역시 대단하다고 평가된다. 다만 이 사람은 국내에서 프랙티스 버그를 처음으로 발견했음에도 그 버그를 악용했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비판을 받았다.[83]
  97. Low Dea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Low Death - by Migueword and KrmaL, verified and published by Krm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5년에 제작된 Insane 맵인 Migueword의 High Life를 극버프시킨 맵. 5년이 지난 2020년에 베리파이 되었다. 5년전에 바로 베리파이 되었으면 메인 리스트까지 노려볼만 했으나, 5년이라는 긴 세월로 이미 실력은 심각하게 상향 평준화되었고, 이것보다 어려운 맵이 많이 나오면서, 100위권 밖으로 밀려나간 상태이다. 이 맵은 사실 만우절 기념으로 올린것이라고 한다.

    2021년 5월 15일에 144위에서 135위로 올라갔다.

    2021년 10월 5일 재평가로 152위에서 149위로 올라갔다.
  98. CHROMA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CHROMA II - by Renn241, Verified by saturn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HROMA 시리즈의 2번째 맵.
  9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thanato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0. Rememb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member - by Hypno74 & more[84]

3.4. 451위 ~ 550위[편집]

  1. xuser morelike lus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Adrenal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drenaline - Hosted and Published by okjongmin, Made by okjongmin & More[85], Verified by MrSpaghett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국내 유저 Wapon77이 지금으로부터[86] 1년 6개월 전인 2019년 6월 부터 합작의 존재를 알린것이 이 대규모 합작의 전신이다.[87]
    합작 초기부터 내로라하는 레이아우터들과 디자이너들이 총집합한 합작이라 그런지 세간으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게 되었고, 그에 맞춰 Wapon은 유저들의 파트영상을 유튜브에 올림으로서 계속해서 이 합작의 존재를 커뮤니티에 퍼트렸다.

    중간에 크리에이터 콘테스트도 2회씩 개최하면서 점점 규모가 커져갔고, 참가한 유저들의 기막히는 솜씨에 세간의 관심이 점점 커지면서 인기는 절정에 달해갔다.

    그리고 2020년 12월 12일, 모든 과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Full Level 영상이 Wapon의 채널에 올라왔다. 1년 6개월의 노고를 알려주듯이 맵의 퀄리티는 다른 어떤 합작들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정도의 수준을 보여주며[88], 깐깐한 플레이테스팅과 버그 점검, 디자인 점검 등 수많은 장인들의 손길이 오고갔다. 그 결과 최종 오브젝트 개수가 약 45만개로 최근 나오는 합작들에 비해서도 굉장히 많다. 최종 쇼케이스 이후에는 드롭 구간의 임팩트가 아쉽다거나 검은 화면이 트랜지션에 지나치게 자주 쓰인다는 일부 지적[89]이 나올 뿐 전체적으로는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전부 기대대로 잘 만들어졌다는 평가가 많다.

    맵의 퀄리티하며, 길이, 테마, 게임플레이 등 첫 프리뷰가 올라왔을 당시 한창 유명세를 타고 있던 Ocular Miracle과 비슷한점이 은근 많다. 사용된 노래인 Sharks의 Adrenaline 또한 Ocular Miracle에 사용된 노래인 Camellia의 Exit this earth's Atomosphere과 전개가 비슷한 것은 덤. 차이라면 어마어마한 크리에이터 라인업으로 초기부터 광풍을 타며 유저들의 핫 이슈로 한순간의 자리잡았던 Ocular Miracle과는 달리 초기 유명세가 OM보다 적었으나 꾸준히 존재감을 알려 가며 인지도를 높혀 이슈가 되었다는 점이 있으며, 디자인 지향점이 OM과 다른 편이고 그에 따라 오브젝트 역시 훨씬 줄어들었다는[90] 점 등이 있다.

    2021년 3월 7일 MrSpagetti가 베리파이했으며, 2021년 5월 31일 시간이 꽤 지나서 레이팅되었다. #

    베리파이어인 MrSpagetti는 이 맵의 난이도를 130위권으로 평가했으며, 최초클리어자인 zPlasmaLust는 120위권 후반대#, L0ckvide0s는 140위권으로# 평가했다.

    2021년 6월 29일, 132위로 등재되었다.
  3. The Cellar Pa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Cheyen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Cheyenne - TheJosiahTurner & more, Verified by VersionSNOWKEO
  5. SPEEDR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SPEEDRUN - Kaito, verified by Cinc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nnards를 만든 Kaito의 마지막 맵.

    Innards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던 제작자인만큼 이 맵에서도 독특한 색 조합과 픽셀 컨셉의 블럭 및 이펙트가 조화를 이루는 높은 퀄리티의 디자인을 보여주었다. 다만 맵을 시도한 사람들에 의하면 번쩍거려 눈이 아프다고 말한다.
    시작부터 끝까지 쉬는 구간이 거의 없이[91]전체적으로 빠른 게임플레이가 특징. 가뜩이나 빨랐던 초반 이후 드롭으로 지나가면 대부분을 4배속으로 지나가야 하며, 그 4배속 안에서도 비대칭 듀얼과 각종 어려운 구성들이 난이도를 높이는 요소. 맵의 인지도가 높은 편이 아니라서 간과되지만 듀얼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고 평가받으며 Bass cave의 밑, Athanatos의 위에 배치되었다.

    2020년 3월 22일에 모더들이 평가한 Top 5 익스트림 데몬 중 3위에 선정되었다. 사유는 Kaito 특유의 색 조합과 이펙트에 어우러지는 글리치 테마.

    2020년 11월 22일경, 난이도가 너프되고 게임플레이가 일부 수정되었다.
  6. Io
    [ 내용 펼치기 · 접기 ]
    Io - by l4tezk & more[92]
  7. Last Stop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Kinetic Bypa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Kinetic Bypass - by Sminx, verified by Luqualizer
  9. Collap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Freedom19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MadMan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dMansion by Rainstorm and more[93], verified and published by GunnerBone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참여한 데몬 합작.

    첫 프리뷰부터 검정/하양을 테마로 한 수려한 디자인과 2.1 익스트림 데몬 트랜드와 다른 암기형 게임플레이, 그리고 네임드 유저였던 MajackO[94]의 복귀로 화제몰이가 되기도 하였다. 여러모로 기존과 다른 노선을 택한 맵.
  12. aeth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ULTRA VIOL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Wild Ro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ld Rose - by Galaxxyss & more[95], verified by Leslie
  15. Shock 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Shock Breaker - by WormFodder and more[96], published by Spectex, verified by Technic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MOTOR MOGOK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Faded D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Faded Dream - by DreamTide
  18. Endless D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Endless Dream - by DreamTid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최고의 모바일 유저 제작맵으로 평가받는 맵으로, 디자인, 게임플레이, 최적화 모든 것을 놓치지 않아 현재 인게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빠지지 않는 맵이 되었다.
  19. Infernal Aby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fernal Abyss - Published by swithi, Created by Gboy, Manix648, Bianox & Rustam[97]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가장 유명한 2.0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이자 당대 최고난이도 맵 중 하나로 꼽힌다.

    원래 Gboy가 개인 맵으로 내려 했던 맵인데, https://www.youtube.com/watch?v=oja6x84yNFk 무빙 오브젝트에 오류가 나서 업로드 여부가 불투명해졌었던 맵이다. 무빙오류를 고치면서 Gboy가 디자인이 마음에 안든다는 이유로 Manix와 Bianox에게 부탁해 디자인을 강화하였다.

    원래 TrusTa가 Verify하려 했으나, TrusTa가 Yatagarasu로 넘어간 이후 Brandon Larkin에게 맵이 넘어갔다. 하지만 Brandon이 자신이 Verify하려던 맵을 모두 포기해 DuaL KiKi에게 넘어갔다가 Mince에게 도착하는 등 여러모로 우여곡절이 있었다. swithi가 10월 말쯤에 클리어했지만 심심풀이로 클리어한 것이고 Verifier인 Mince를 위해 업로드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Mince와의 합의로 클리어한 영상도 2달간 비공개 처리됐었다. 그런데 Jacob Firestone이라는 사람도 이 맵을 클리어하고 업로드했다. 그러자 제작자중 하나인 Manix648이 swithi에게 맵을 업로드해달라고 했다.(즉 swithi버전이 공식 버전이다.)[98] 한편 현재 swithi는 핵 사용을 자백하였고, 그의 이름은 'forget'으로 바뀌었었으며, 그의 채널의 동영상이 모두 삭제되었었다. 지금은 일부 영상들이 swithical이라고 채널 이름이 바뀌어 있으며 복귀한듯하다. 자세한 내용은 이곳이나 이곳참고.

    난이도는 길이가 짧지만 순간적인 난이도가 극악이기 때문에 Bloodbath보다 어렵다는 유저들이 많았고 결국엔 BB를 추월한 상태. 현재는 Bloodbath보다 두 티어 정도 더 어렵게 여겨진다.[99] 사실 초반에는 처음부터 좁은 비행구간에 칼타이밍 등으로 무장했다. 또 웨이브모드와 UFO모드에서 잘 죽으니 조심.

    코인은 맨 마지막에 1개 있는데, 좁은 톱니바퀴 사이로 45도로 비집고 들어가야 한다. 97%에 있기 때문에 여기서 죽으면 망한다. 그래서 이 코인을 지나치고 그냥 클리어하는 유저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rainstorm. 그는 mulpan이 코인을 먹고 깨지 그랬냐고 하자 먹다 죽으면이라고 답했다.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인데, 사실 이 맵은 Gboy가 Cataclysm의 공식 후속작으로 만든 맵이다. 다만 Bloodbath에게 공식 후속작 자리를 뺏기고, 맵에 오류가 생겨 완전히 망가져서 버려졌다가 Manix가 부활시킨 것이다. 당시 Manix가 가장 좋아하는 맵이였다고.

    Sunix가 이맵을 클리어하면서 당시 포럼 20위까지 전부 클리어를 하였다.

    현재 클리어자는 Jacob Firestone 외 17명이다. 한국에서는 Xeon이 86~89% 사이에서 무려 8번씩이나[100] 죽어 그는 결국 이 맵을 50%를 간 또다른 국내 유저 Rainstorm에게 한국 최초 클리어 자리를 양보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진전이 없는 듯 하다가 한참 후 Rainstorm이 다시 이 맵을 파기 시작하여 결국 클리어하였다.

    2018년 12월쯤 재평가를 받아 33위로 떡상했으나, 가면 갈수록 도를 넘는 상향 평준화의 피해를 받아 Extended로 떨어지고 말았다. Athanatos와 난이도 비교가 상당히 많이 이루어졌으나,둘을 다 깬 유저들이 입을 모아 Infernal Abyss가 더 어렵다는 의견을 내놓으며 순식간에 논란이 종결되었다.

    전반적으로 게임플레이가 좋지 않고, 매우 저평가된 레벨로 여겨진다. 레벨을 클리어한 수많은 유저들에게서 게임플레이 혹평 및 저평가론을 쉽게 볼 수 있으며, 특히 Technical은 가장 역겨운 레벨, 정신건강을 생각해서라도 하지 말라는 평을 남 긴 뒤 그 이후로 레벨을 평가할 때 인퍼널보다는 겜플이 낫다는 말을 아주 많이 사용하기도 했다. Mr Spaghetti 역시 자신이 깬 레벨중 최악의 레벨이라 평했으며, 포럼 23위에 위치하는 spacial rend를 깨는데 들인 어템수와 infernal abyss를 깨는데 들인 어템수가 거의 비슷하다는 후일담을 남기기도 했다.

    모바일 초고수 Hilo는 이맵은 모바일로 할시 celestial force보다 어렵다고 평했다.
  20. Cadrega Mo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Cadrega Mode - Pennutoh, Designed by TCTeam[101][102], Verified by EroGam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1% 이상이 필요합니다.
    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OlmoZ
    100%
    clumpshh
    100%
    Floppy
    100%
    Hilo
    100%
    temp
    100%
    Kapinapi
    100%
    MrBudgie
    100%
    Tipp7
    85%
    StarhaGD
    65%



    Pennutoh가 만든 레이아웃을 그가 속한 팀인 TCTeam이 디자인한 맵이다.
    베리파이는 원래 무명유저 Lit이 하고 있었으나 EroGamer에게 넘어갔다. 그리고 98%를 갔다...[103]

    여담으로 TCTeam이 처음 디자인을 마쳤을 때 Pennutoh가 재디자인을 부탁했다. 본인의 마음에 안 들기 때문이라고. 그래서 몇몇 파트를 수정한 후 엔딩아트도 수정되었었다.

    이후 9월 16일 베리파이했다.

    Sepheid가 모바일로 클리어했다!

    처음 공개되었을 때는 Top10안에 든다고 평받았었으나 노멀모드에서 플레이했을 때 의외로 쉬워[104] Top40 안에도 못 든다고 하는 사람도 존재한다.[105]

    2021년 1월 31일에 80위에서 94위로 떨어졌다.

    2022년 2월 5일, Terminux가 42위에 등재돼서 Legacy로 떨어졌다.
  21. Worse Trip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RASH
    [ 내용 펼치기 · 접기 ]
    RASH - by Loltad, Verified by crumch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Ithacropol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159357
    41149984
    1분 47초
    64852
    2018.01.17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7.95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23.073

    Ithacropolis by BIGMAC77 and more[106], published by BIGMAC77, verified by Skulzi
    In a far away land forgotten by time, there lies an ancient, ominous city. Level by Me, 00Zero, Jowi and Joltic. Verified by Skulz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가 필요합니다.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8% 이상이 필요합니다.
    1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BrianTheBurger
    100%
    Dellinger
    100%
    RG
    100%
    Gizbro
    100%
    Skullo
    100%
    Kainite[!]
    100%


    Necropolis의 보라색 테마 리메이크 레벨. 이따구로폴리스
  24. Spectrum Spl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My Worst Demon Le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TeaM Z
    [ 내용 펼치기 · 접기 ]
    Team Z - 99Percent & more[108], Verified by Rain22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20위대에 안착한 대규모 합작으로, ZAPHKIEL 등을 클리어했지만 유명하지 않은 유저인 Rain22에게 베리파이되었다. 한때 Best Unrated Extreme Demon에도 자주 들 정도여서 99Percent가 유명 유저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운이 좋게 별을 받았다. 안타깝게도 Rain이 91%를 먹고 나서 클리어했는데 그 클리어 영상이 녹화가 안 되었다고 해서 현재로써는 91% 영상밖에 찾아볼 수 없다.[109]이 때문에 핵이 완전히 아니라고는 할 수 없는 상황.

    2018년 5월 4일에 다시 클리어하여 정상적으로 베리파이했다.

    Kainite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클리어 영상.[110]
    그에 이어 Dorami가 2935 어템으로 스트림에서 클리어했다.
    그후 [ND]GD Canaras가 7654어템으로 클리어했다.
    그 외 Rainstorm, Ohdangs란 유저조 클리어했으며, ItsDoLove란 유저는 59%를 갔다.

    여담으로 국내유저들은 Team Z를 팀ㅋ라고 부르는데, 이는 전술한 Ohdangs가 처음 발언한 이후 Tipp7이 언급을 하면서 퍼진 것이다.
  27. Mys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Mystic - Published by EndLevel, Created by Krazyman50 & more[11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If you're ever looking for something to beat do not try this. Ever. Almost all parts are aids as fxxk.
    (당신이 클리어할 레벨을 찾고 있다면 이건 하지 마라. 거의 모든 파트가 X같으니깐.)

    - 최초 클리어자 Sunix[112]

    EndLevel이 핵을 써 Verify한 극악 13인 합작맵이며 예전 Krazyman50외 13명의 합작맵 Valor의 후속작이다.
    "신비로운"이라는 뜻의 제목에 걸맞게 음악도 그렇고 디자인도 그렇고 꽤 판타지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유명한 이지 데몬 Sidestep과 노래가 같다.
    다른 극악맵들에 비해서 디자인이 깔끔하고 장애물이 잘 보여서 맵이 상대적으로 쉬워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 상당히 어려운 익스트림 데몬이다. 또한,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나빠서 많은 지적을 받는다.

    초반부터 극악한 로봇 칼타이밍으로 시작해 초중반 극악의 4배속 1칸 소형 웨이브구간[113], 어지러운 볼모드, 벽타기 및 마지막 볼 타이밍[114]어지간한 데몬들을 뛰어넘는 어려운 파트들로 도배되어 있다. 아예 처음부터 Bloodbath보다 어렵다고 깔았으니 난이도를 알 만 하다. 그리고 Jonathan, Zendayo 파트가 후살이 심하다. 코인은 총 3개가 있으며 맵 난이도에 비해서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나 HexHammer의 파트의 2번째 코인 등 꽤나 까다로운 부분이 있다.

    2017년 10월 25일 9시 4분, 스트림에서 한국 유저 Xeon이 4737어템을 들이고 클리어했다. 또 Y75라는 무명 한국유저도 약 한 달 뒤 클리어했다. 이후 2018년 3월 3일 쯤, Dorami도 클리어했다!
    그 뒤, 2018년 9월 16일자로 Latent라는 무명 유저도 클리어했다.
    현재 클리어자는 DiamondSplash, Sunix[115], Skullo, BrianTheBurger, Xeon, Y75, Wooshi999, BeanyBean, Kainite로 9명.
    여담으로 Mystic(미스틱)은 이 게임의 진영 중 하나다. 이전에 Krazyman50외 13명(총 14명)이 Valor(발로)라는 합작맵을 만들었는데 그것도 이 게임의 진영 중 하나다. 베리파이어인 EndLevel도 Valor의 후속작이라고 했다. 후속작은 Instinct(인스팅트)일 것이라는 반응이 많았는데,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SEA의 영상에 따르면 업데이트가 있을 예정이라고 했다. JonathanGD, Sleepy, Ziel, Megaman, iBlade의 파트가 리메이크 될거라고 한다.
    사용한 음악은 Sidestep.

    여담으로 영상에 나오는 멍한 얼굴을 한 괴물 형태의 장애물은 해외에서 밈이 되었다. Clubette라는 의인화도 있는 모양(...)
  28. Beg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Begin - by BaimDaKing, verified by RenZ
  29. The Hell Orig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Origin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116]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he Hell 시리즈의 원작자로 유명한 Sohn0924가 1.2 시절 프랙티스 버그를 이용해 베리파이한 맵을 이후 Tsukifuto, Azuler 등이 재디자인 하고 Stormfly가 재 베리파이한 맵이다.이쯤되면 진짜 1.2 시절에 이정도 난이도를 뽑아낸 Sohn0924도 대단하다 베리파이된 후 상당한 시간동안 별이 붙지 않다가 결국 별이 붙고 그러자마자 포럼에 등록된 맵이다.
    초반부터 일자비행에 중력반전을 넣는, 일명 ICDX형식 비행이 존재하며, 볼 모드에서도 극 칼타를 요구하는 것이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이후에도 Bloodbath 초반 비행보다도 좁은 1자 곡선비행, 미치건 구간, 연타 구간 등등 정말 어려운 패턴이 맵 전체를 감싸고 있다.

    Stormfly가 이 맵을 베리파이하다가 84%를 먹었을 때 자신이 해본 맵중 최악의 맵이라고 하며 12시간 안에 클리어 소식이 없으면 이 게임에서 만들어진 최악의 맵들 중 하나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원문] 같은 날 90%도 먹었으나 다행히도 하루 뒤 클리어했다. 그리고 한동안 The Hell시리즈는 하지 않을 것이라 했다.

    여담으로 한국인 크리에이터가 없는 유일한 The Hell 시리즈이다.[118]
    현재까지 클리어자는 Herdys, Luqualizer,Sunix 총 3명이 클리어하였다.

    Mike139115가모바일로 클리어했다.
  30. DARKEN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DARKENED - by Uneskladovae and more[119],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Yoshikaw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분정도의 짧은 길이를 가졌지만, 무자비한 칼타로 플레이어를 압박한다.
  31. Advanced AirSt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Advanced AirStream - by ZephiroX and more, published by Zekke,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2. PROTOFLIC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PROTOFLICKER - by ewop & more[120], verified by swiborg
  33. multi a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multi arm - by SnowEye
  34. OneAttemp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EnvY
    [ 내용 펼치기 · 접기 ]
    EnvY - DanZmen, Verified by Dorami(4541136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lap Squad 시리즈, Running in the 90s와 같은 유명 데몬 맵을 대거 속출하던 DanZmen의 첫 번째이자 어쩌면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익스트림 데몬맵.[121][122] 디자인은 DanZmen의 맵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는 글로우 & 펄스 스타일의 형식을 띄고 있다.

    맵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다른 모드들도 충분히 어려우나 초반 웨이브가 미쳐돌아간다! 정말 순간난이도는 유명 웨이브 맵인 Zaphkiel 이상 수준. 그 외에도 칼타를 꽤 요구하는 편이다. 맵이 대체적으로 4배속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마지막에 저속파트도 있어서 다양한 모드, 속도에서의 실력을 요구하는 맵이다.
    처음에는 인세인 데몬이였다가 최근에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하였다.

    [SD] AngelBaton이 한국 최초, 세계2번째로 클리어하였다!

    현재 클리어자는 Schuld, zPlasmalust, SP VaLuE, Temp, Rainstorm, VoTcHi, Magellan, Kainite, Interchange, Kowoo, YoungUng2
    1 Sparky, ddddr, Plue2007, kongback25, hangookin, 순북이, menace, Jeller, Alphaine, RedCraft 등등이다.

    여담으로 한국인 유저들은 이맵을 이명박이라고 부른다. EnvY와 MB(..)의 발음이 비슷해서인 것으로 추정된다
  36. Tunn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Tunnel - by akunakunn & more[123], verified by Fleym
  37. Coolie Mazie Palooz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Le Midd Mapperoon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Carnage Mo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Carnage Mode - Findexi & more[124], Verified by SrGuillest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rGuillester가 7월 24일 베리파이한 극악맵. 에픽맵인 만큼 디자인이 많이 좋다. 맵 내의 웨이브모드가 꽤나 극악하다. 베리파이 된지 6일만에 DiamondSplash가 처음으로 클리어했다. 그 뒤, 8월 2일, Sunix도 스트리밍에서 클리어했다. 저평가를 받는다는 멥치고는 길이가 최초클리어자가 빨리나온편이다
    블오저를 생각하자
    순간난이도가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지만 길이가 무려 3분이나 되는 데다 세세한 컨트롤이 많이 요구되기까지 한다. 그래서 3분대나 될 정도로 긴 맵 길이에, 다른 데몬 못지 않은 난이도까지 겸비하고 있어 이 맵이 저평가받았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맵이 나왔을 때 시점으로 10위권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사람도 상당수. 여담으로 Sunix가 이 맵을 스트리밍에서 클리어했는데 영상의 문제때문에 노클립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는데 유저들이 노클립을 쓰지 않았다고 착각했을 정도로 플레이를 잘했다... 한국인인 GD Canaras가 79%를 갔다.그리고 2018년 4월 18일 결국 클리어해냈다!
    여담으로, 이 합작맵이 Juhou가 참가한 첫 합작맵이다.
  40. Removed Submis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moved Submission - by WHErwin, verified by Gablo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Newgrounds를 테마로 한 맵.
  41. miss you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The Hell Dign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Dignity - Published by Stormfly, Created by Sohn0924 & more[125]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극악한 칼타이밍을 가지고 있는 맵이다. 원래 오리지널 The Hell Dignity는 포럼에서 한참 윗순위인 전작 The Hell World보다도 어렵지만 Stormfly가 칼타이밍과 비행을 대부분 삭제, 너프해 The Hell Zone보다도 쉽다고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건 Stormfly가 The Hell Dignity를 극하향시킨 게 아니라 The Hell Zone과 The Hell World를 미친 듯이 극상향시킨 것이다.[126] The Hell World도 버프를 왕창 먹였다가 좀 너프시킨 것이 현재 버전이다.
  43. Volt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Fusion Z
    [ 내용 펼치기 · 접기 ]
    Fusion Z - by Manix648 and more[127], published by PlebKingdom, verified by LuigiDB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anix가 재개최한 Fusion Z의 1.9 버전. 길이가 4분 후반대로 길고 순간난이도도 높은 편이어서 한때 저평가라고 어마어마하게 비판받았던 맵이었다. 인게임 저평가 맵 1위로 자주 꼽힐 수준. 그러나 지금은 순위가 조금 올라서 나아졌다.

    2020년 11월 9일에 버그 픽스겸 업데이트를 했다. 주로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45. Abandoned Plan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Abandoned Planet - by Metalface221
  46. ruber cash 22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Air Fry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hot rod
    [ 내용 펼치기 · 접기 ]
    hot rod - by stcubing, verified by DozenthLeaf
  49. Show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Falcon16
    [ 내용 펼치기 · 접기 ]
    Falcon16 - by Isane and more[128], published by Lieb, verified by Zeronium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하늘을 테마로 한 배경과 신나는 음악이 특징. Extreme demon 중에서는 테마를 갖고 있는 몇 안되는 것 중 하나로, 디자인에 대한 호평이 많다. 11퍼까지의 큐브 구간은 그리 어렵지 않으나 32%이후의 4배속 구간은 극악함 그 자체이다. 4배속 웨이브가 45%정도까지 2차례 등장하는데 그 부분만 넘어가면 뒷부분은 전반부에 비하면 난이도는 다행히(?) 쉬운 편. 그래도 겜플 자체는 꽤 재밌는 편이라는 평이며 전반적으로 뛰어난 퀄리티에 비해 상당히 인지도가 낮아서 제대로 된 Auto 버전이나 Shitty 버전도 없는 데몬이다.
  51. Gatew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Alpha Baa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Alpha Baa X - by Swithical and Eggnog, verified by kota, published by Eggnog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lphabet X의 리메이크 맵이다.
  53. VendetTa
    [ 내용 펼치기 · 접기 ]
    VendetTa - ZenThrix24 & more [129], verified by Farzz Zinjj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ardest demon 50위에 위치해있다가 Dark Flare 순위 결정에 의해 Extended로 떨어졌다.
  5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hobo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Disentomb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YakobNugget and more[130], published by YakobNugget,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Unearthed의 후속작.
  56. Shibui
    [ 내용 펼치기 · 접기 ]
    Shibui - by Kaz Va, verified and published by Xani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akupen Hell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8. Ancestral Calam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Ancestral Calamity - MrSpaghetti & more[13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테라리아 Calamity Mod를 기반으로 제작한 레벨.
    2018년 8월 29일 Mrspaghetti가 베리파이하였다.
  59. help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Zinhwa
    [ 내용 펼치기 · 접기 ]
    Zinhwa - by MaLiaN
  61. Silentium Gradas
    [ 내용 펼치기 · 접기 ]
    Silentium Gradas - Stormfly & mor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etalface221의 Silent clubstep 리메이크 맵이다.
  62. Vertigo
    [ 내용 펼치기 · 접기 ]
    Vertigo - by PAHC, verified by Gecko
  6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ade of Justi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Crippled Depres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Advent Auro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Advent Aurora - by Ultimxte, verified by Warrion004
  66. Loose Screws
    [ 내용 펼치기 · 접기 ]
    Loose Screws - by Aeyooo
  67. SnowFall Fiest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Snowfall Sto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Betrayal of F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Betrayal of Fate - Weoweoteo & Xcy-7 Verified by -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 Bizzare Phantasm과 배경음악이 Betrayal of Fate로 같다. 40%대 UFO 미로와 78% 큐브 암흑미로가 백미. 미국 유저 Weoweoteo가 이 맵을 클리어하는 영상을 찍지 않았는데, Extreme Demon을 깬 적이 없는 Weoweoteo가 업로드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맵이라는 논란이 일어 핵이라고 의심을 받았다. 현재 Weoweoteo는 핵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다시 이 맵에 도전하고 있는 중. 그러나 지금은 소식이 전혀 없는 걸로 보아 그냥 본인과 유저들 모두 잊어버리고 넘어간 것 같다. 다만 여러 플레이어들은 암묵적으로는 weoweoteo가 핵을 썼다고 생각하는 듯. SrGuillester는 이 영상에서 자신이 97%의 황당한 버그에 죽는 것을 보여주면서 "게임플레이도 제대로 테스트하지 않고 핵쓰지 말고, 그냥 핵쓰지 말라"고 비꼬는 듯이 말했다. 그러자 weoweoteo는 해당 영상에 이 맵(bof)를 플레이하면서 재미를 못느꼈다면 미안하고, 자신은 핵을 쓰지 않았다고 댓글을 남겼다.[132]

    현재 클리어자는 Surv, BlassCFB, GoodSmile, Sunix외 23명이다.
    한국인 유저 Koreaqwer이 최초로 클리어에 성공하였다.
  70. Novasphe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Biohaza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Kains and more[133], published by Artumanka, verified by Artumank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과거 1위 데몬이었던 Stalemate Redux의 리메이크맵. 타 리메이크 맵과는 다르게 구성을 제외한 게임플레이, 디자인, 노래 등을 모두 뜯어고쳤으며 주황색이던 전작과는 다르게 초록색을 테마로 하였다.

    2021년 2월 22일경,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이런 이유로 ikaros가 112위에 등재되어 Betrayal of Fate가 레거시로 갔었으나, 자리가 뒤바뀌어 레거시로 갔다.
  72. Disaster D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Disaster Dive - by Rustam & more[134], verified by LaserGD
  73. Intrusive 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trusive ID - by pasiblitz, verified by mbed
  74. Artifi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7520174
    2분 48초
    219539
    2019.09.21

    Artifice by f3lixsram and more[135], verified and published by f3lixsram

    My biggest project, took 1.5 year. XXL extreme demon megacollab, creators listed in the comments, video on my youtube channel.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150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50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8% 이상이 필요합니다.
    46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32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MrSpaghetti
    100%
    kota
    100%
    Golden
    100%
    Asdner
    100%
    D3m0nDash3r
    100%
    Enzuu
    100%
    ultracauaHD
    100%
    Gabs
    100%
    Gizbro
    100%
    jbmoon[!]
    100%
    Technical
    100%
    Tipp7[!]
    100%
    Nexus
    100%
    Magellan[!]
    100%
    Kainite[!]
    100%
    Dorami[!]
    100%
    RG
    100%
    Evilseph83
    100%
    blazer2
    100%
    zPlasmaLust[!]
    100%
    Novart
    100%
    Extravagon
    100%
    KaiWells
    100%
    Stilluetto
    100%
    Hikari[!]
    100%
    zMarc
    100%
    AlexDIRO
    100%
    combi
    100%
    Kowoo[!]
    100%
    Temp[!]
    100%
    HealthyDawson
    100%
    pyh4476[!]
    100%
    Rainstorm[!]
    100%
    Dolphy
    100%
    ElectroLight7
    100%
    MiniShoey
    100%
    JakeN2436
    100%
    Titanias
    100%
    ItzApex
    100%
    PokSson
    100%
    HuYu[!]
    100%
    BeCruX[?]
    100%
    Kurumi
    100%
    paqoe
    100%
    DiamondSplash
    100%
    kamurutii
    100%
    Seturan[?]
    100%
    Jeller[!]
    100%
    Pakki
    100%
    Zeronium
    100%
    akinawoo
    100%
    ddddr[!]
    100%
    YakobNugget
    100%
    Spaces
    100%
    Nimbus
    100%
    Aether22
    100%
    SpirteX
    100%
    Luciela[!]
    100%
    nSwish
    100%
    foundmyball
    100%
    Vurz
    100%
    Zeth
    100%
    Striked
    100%
    Adr1anGD
    100%
    1qawsz[!]
    100%
    Ozzy
    100%
    NoobLookingPro
    100%
    A11egiance
    100%
    Roby
    100%
    Topseq
    100%
    BlakeJM
    100%
    DalOwO
    100%
    Youngwoong2[!]
    100%
    Bleamer
    100%
    kylerocket06
    100%
    Surv
    100%
    Xanii
    100%
    LinelTheKnight
    100%
    bopsi
    100%
    knexhawk
    100%
    Aeidux[!]
    100%
    SyQual[!]
    100%
    StarPrint[!]
    100%
    LuigiDB
    100%
    LegionofBaum31
    100%
    LSoftphila[!]
    100%
    Victurkey
    100%
    SebasLopez
    100%
    Johnfree
    100%
    Gochujang[?]
    100%
    Harg_Chucu[?]
    100%
    GMDElite
    100%
    Brumik
    100%
    GDonut
    100%
    OnlineplaY
    100%
    xInf3rn0
    100%
    Timo
    100%
    Kotamon
    100%
    Suno
    100%
    KandyMan
    100%
    Luqualizer
    100%
    PlatnismTheWolf
    100%
    BlueTomcat[!]
    100%
    Gap2003
    100%
    Ecl1psed
    100%
    a n t
    100%
    lappwv
    100%
    Monitor
    100%
    MarshMarlow
    100%
    Cewew
    100%
    x1MimoxUx
    100%
    Pouche
    100%
    GDHoliday
    100%
    Ryth
    100%
    Deados35
    100%
    Auyen
    100%
    Fakechun661
    100%
    TheTerrBonnie
    100%
    Sunpouncer
    100%
    clock0822[!]
    100%
    knoeppel
    100%
    harmyko
    100%
    gerskooga
    100%
    PLUE[?]
    100%
    [GD] Heath
    100%
    luna!
    100%
    dice88
    100%
    Volplay
    100%
    CuatrocientosYT
    100%
    MineFord
    100%
    Bood
    100%
    FigTheCat
    100%
    JaaBZ
    100%
    Redredman[!]
    100%
    TheFishDuke
    100%
    AlejandroGD
    100%
    Arveal
    100%
    Dorvict
    100%
    Blathers
    100%
    DartHole
    100%
    cluckwork
    100%
    Aeyooo
    100%
    iThunder12
    100%
    saturn
    100%
    RevoltZy
    100%
    Candy
    100%
    RedCraft[!]
    100%
    Robin[!]
    100%
    ZaroGMD
    100%
    JHdash77
    100%
    Didjimon
    100%
    AstroFox
    100%
    lsj612[?]
    91%
    Sowun[?]
    86%
    HyoJung[?]
    82%
    TheRealMap[?]
    64%
    Chosbar[?]
    60%

    공개 당시부터 F3lixsram이 본인의 가장 큰 프로젝트라고 밝혔고, 그에 호응하듯이 게임플레이와 전체적인 디자인이 완벽에 가까운 수준으로 등장하며 모든 유저들의 찬사를 이끌어냈다. 익스트림 데몬에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개인차 문제를 벗어날 수는 없었지만[172] 개인차를 제외하면 2019년까지의 모든 익스트림 데몬들 중에서도 최고를 논할때 절대 빠지지 않을 정도로 등장 당시 Artifice의 평가는 절정에 달했다. 오죽하면 ViPriN 및 여러 인플루언서들이 선정한 2.1 Awards의 합작 카테고리에서 그 전에 등장한 수많은 명작들을 제치고 당당히 후보로 선정되는 모습을 보였을 정도. 게임플레이, 디자인 양면에서 명작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Artificial Ascent, Ouroboros, Nhelv 등과 함께 최고의 익데 논쟁에서 빠지지 않는 맵이다.[173]

    이 레벨의 등장 이후 디자인에서 우수한 완성도를 보이면서도 게임플레이까지 챙기려는 시도가 늘어갔고 Adrenaline, Virtual Collapse, Seraphim 등의 대형 프로젝트들이 모습을 드러냈으나, Artifice는 이러한 유행을 이끌어 냈으면서도 아류작들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좋은 평가를 받는 경우도 많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5. THE PRI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PRINCE - by JustWaaf
  76. Sysmique 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ew Recor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8. A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Epsil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57520174
    2분 48초
    219539
    2019.09.2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9.529

    Epsilon - By Drift and more[174], published by Team Proxima, verified by DiamondSplash
    Definitely not named after the Greek letter. Team Proxima's first megacollab! Made by a bunch of idiots. Verified by DiamondSplash.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13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3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54% 이상이 필요합니다.
    37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29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Hotball1
    100%

    그리스 문자 엡실론에서 이름을 따온 맵. Team Proxima를 커뮤니티에 널리 알린 매우 빼어난 퀄리티를 보여주는 합작맵이다. 초기에 Splash의 채널에 올라온 레이아웃 영상을 보면 원래 난이도는 인세인 데몬으로 기획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이후 합작이 진행되면서 파트 교체 및 유저 변경 등을 거친 결과 지금과 같은 Epsilon이 탄생하게 되었다.[175]

    이 맵의 엔딩 크레딧을 자세히 보면 오른쪽 밑부분에 "Fallen Creators" 라고 쓰여진 묘비가 하나 나오는데, 이 묘비를 들여다보면 합작 도중 하차한 유저들의 닉네임이 주욱 나온다.[176]

    2020년 8월 22일, 후속작인 Omicron이 출시되었다.
    영상 보기
  80. Masochi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sochism - by XinpA, verified by ked
  81. GewErb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GewErbiX - by Wintter, verified by MaFFaKa
  82. Atmosphe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tmosphere - By Wombat and more[177], published by VoidSquad, verified by BrianTheBurg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VoidSquad의 합작맵이다. 2017년 6월 30일, Wombat의 채널에서 Atmosphere의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참고. 지금 완성된 모습과는 달리 많은 합작 인원이 바뀌었으며 베리파이어도 바뀌어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현재 베리파이어는 BrianTheBurger이며, 2018년 2월 23일에 베리파이에 성공함과 동시에 이 맵이 세계적으로 공개하였다.

    세계 최초로 Epsilonic라는 유저가 클리어 하였으며, SP ValuE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 또 한국 유저 SuperSNSD R가 81%에서 한 번에 성공했다.
  83. Triadic Trial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Vortex of 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Carcano
    [ 내용 펼치기 · 접기 ]
    Carcano - by Asuith and TomsoN, verified by Kapinapi, published by Asuith
    Cognition inspired, made by Asuith & TomsoN. Verified by Kapinapi. Dedicated to Endlevel.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gnition에서 영감을 받은 레벨. 그래서인지 맵의 구조가 Cognition과 비슷하다.
  86. Ouroboros Startpos 2
    [ 내용 펼치기 · 접기 ]
    Ouroboros Startpos 2
    Ouroboros Startpos 2 - by foodynooby
    캡션

    ur thirst 4 startpost continues?? okay then, let the startpos overflow. let the ouroboros feed off your megahack.... my first solo level, made 4 the zeronium cc in 2months!!!![번역OS2]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94410319
    1분 00초
    54000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No List Worthy
    난이도
    Extreme Demon

    Extreme Demon 레벨. Dry Out Copyable 2처럼 제목만 보면 정상적이지 않은 레벨이라 생각할수 있지만 맵 자체는 재밌다는 평이 많다.[179]
  87. Twilight Coexist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Asmode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Asmodeus - VeXioN & more[180], Verified by Sonic8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나온 지 1년이 거의 다 돼서야 별이 붙은 맵이다.

    이름의 어원은 아스모데우스.
  89. milo
    [ 내용 펼치기 · 접기 ]
    Milo - by xSlendy, verified by murderrr
  90. cytokines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Vivacio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loodbat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3. mom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moment - by icedcave & more[181], verified by Johnfree
  94. Fabricated Though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MaxiKD, verified by YakobNugge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5. Monstercat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비밀번호 없음
    60810066
    1분 09초
    94511
    2020.04.11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

    Monstercat - by Tartofrez and more[182], published by f3lixsram, verified by Golden
    Extreme demon MC by Tartofrez, Nottus, F3lixsram, Spark, Bransilver, Mezzo, Nexander and Vrymer.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12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12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 이상이 필요합니다.
    ?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Rainstorm
    100%[!]
    ddddr
    100%[!]
    Jeller
    100%[!]
    RG
    100%
    Moosh
    100%
    ViewSonic
    100%
    Fenix
    100%
    CaveMelv
    100%
    shadow159951
    100%
    CraZDemonX
    100%
    GDonut
    100%
    Xylitol
    100%[!]
    Masol
    94%[?]
    상천
    94%[?]

    Demonicat의 후속작.
    2021년 1월 21일날에 149위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1월 23일날엔 Shibui가 138위, 1월 25일엔 Sinister Incision가 86위에 배치되면서 레거시로 떨어졌다...
  96. Barbaros Fina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Glacial Torr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MiniWheatDuo and more[189], published by Nell, verified by MiniWheatDuo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모바일 유저들의 합작 익스트림 데몬.
  98. Anahita
    [ 내용 펼치기 · 접기 ]
    Anahita - by Yuko and more[190], published by Yuko, verified by Oriz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9. Molten Mercu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Molten Mercury - ItzHybrid & More,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empered Steel의 후속작.
  100. Under lavala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Under Lavaland - N R G and more[191],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독특하고 높은 퀄리티의 디자인과 달리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

3.5. 551위 ~ 650위[편집]

  1. Hateful Refle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Hateful Reflection - by YoonsrDynamix, Skrypto and GD Iris, verified by zDemented, published by GD Iri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빨간맵에다 나인써클이라는점에 저평가 당하는점이 있지만, 독특한 디자인을 가진 나인써클 레벨이다.
  2. Astrophob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Azuri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devo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Dimension 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Dimension Breaker by Konsi and more[192],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Gab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alaxy Breaker의 후속작. Dimensional Breaking이랑은 이름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른 맵이니 혼동하지 말 것.
  6. OPSM1
    [ 내용 펼치기 · 접기 ]
    OPSM1 - VARSE, verified by Harr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Dream C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Ecstasy
    [ 내용 펼치기 · 접기 ]
    Ecstasy - by SleyG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dm을 키지 않거나 ldm,uldm버전을 따로 사용하지 않으면 소위 말하는 눈뽕이 있다.
    겜플은 좋지 않다고 평이 나오는 편이며 그래서 그런지 클리어자가 한국기준 Dorami, ddddr, jentro 3명 뿐이다.
  9. Tenth Circ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Tenth Circle - DeniPol,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청백색의 나써류로. 최초 클리어는 Luqualizer로, 자신이 깼던 Thinking Space보다 최악이다이라는 평가를 했다.[193]

    여담으로 데스 아트랑 엔딩 아트에 아헤가오(클릭주의)가 있다(...) 물론 Tenth Circle의 시작부분에 Toggle Death MEME (EFFECT)라는 글이 써져있는 공점을 클릭하면 없앨 수 있다.

    사용된 노래는 러시아 가수 아르카디 우쿠프닉의 I'll never marry you(DJ KoKo Remix)이다. 원곡 듣기

    클리어자들의 대부분은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안 좋다는 평을 했다. 하지만 업데이트 후로는 좋은 평을 받는다.

    2021년 6월 2일날에 버그픽스겸 업데이트를 했다. 버프한 부분이 있지라도 대부분이 너프를 당해 2021년 6월 8일, Legacy로 떨어졌다.
  10. Azure Fiesta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Geonox and more[194], verified and publish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초고수 유저 Dorami의 여름 테마 합작 익스트림 데몬이다.
    겨울 테마 합작이자 후속작인 Snowfall Fiesta가 만들어지고 있다.

    평가가 극히(?) 갈린다. 유저들 대부분은 고평가되고 있는 맵이라고 주장한다.
  11. The Hell Bi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Bird - Published by Havok, Created by Arb71703 and more[195], verified by Gizbro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0월 21일경, 갑자기 151위에서 142위로 재평가받아 레거시에서 구제되었다.
  12. Poltergeist Reborn
    [ 내용 펼치기 · 접기 ]
    Poltergeist Reborn - by ThePrimeEvil & Pennutoh

    지오메트리 대시의 레벨들 중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레이팅에 오랜 시간이 걸린 레벨이다.
  13. Down Ba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Down Bass - Exterys Valyrie(TheRealSpectra), Verified by TheRealSneaky


    연두색 도시를 컨셉으로 잡고 만든 연두색 나인서클류. 2.0 시절에 'Crimson Clutter', 'Catastrophic'[197]과 함께 나인서클류 3대장을 이루었고, TheRealSneaky의 업데이트 후[198] Sonic Wave, Bausha Vortex와 함께 2.1 초기 나써 3대장을 형성했던 네임드 데몬이다.

    비록 2019년 이후부터는 인플레의 희생양 중 하나가 되어 메인 리스트 퇴출, 익스텐디드 퇴출 직전까지 가서 서서히 잊혀지고 있지만, 자체 난이도는 여전히 어지간한 고수들도 손대지 못할 정도로 흉악하며, 라임색 도시 컨셉으로 이루어진 나써라는 특유의 개성과 괜찮은 노래 덕분에 구 나써 중에서는 꽤 기억되는 편이다. 그러나 2021년 1월 8일, 기어코 레거시로 강등되고 말았다.

    업데이트 후 TheRealSneaky가 손캠 인증을 하긴 했으나 스피드핵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고, Down Bass는 다시 핵맵 딱지가 붙게 되었다.

    극버프 업데이트가 임팩트가 강해서 그렇지 업데이트를 굉장히 자주 하는데, 알려진 것만 12번이다.
    모든 버전들: #
    상향 전 버전 1: #
    상향 전 버전 2: #

    2018년 이후부터 Down Bass Incarnate[199] 라는 리메이크가 제작되고 있었으나, 호스트에 의해 취소되었다. 그리고 현재 후속작으로 Deep Bass가 레이팅 되었으며, Extented List에 등재되었다.
  14. corrupted volu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Idols
    [ 내용 펼치기 · 접기 ]
    idols - ZafkielGD & more[200], verified by DoSh7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Virtual Riot의 idols를 사용한 거대 합작. 사용된 오브젝트 수가 무려 256648개인 만큼 엄청난 퀄리티를 자랑한다! 본래 crazen이 베리파이하려고 했으나 Dorami에게 넘어오고 96%를 갔다! Zaphkiel 때가 생각난다 이후 방송에서 버그 수정 밎 약간의 버프를 했고, 며칠 뒤인 8월 12일 12시 20분 경 베리파이했다!

    여담으로 원곡이 인게임에서 사용 불가능하여 Kolkian - Catalyze로 대체한 상태이다.[201]
    난이도가 엄청나게 저평가를 받고 있다. 대부분의 유저들은 이 레벨이 Conical Depression 이상이라고 생각하고, 베리파이어인 Dorami도 이 맵이 3~40위권이라 평가했기 때문에 51위는 저평가가 아닐 수 없다. 결국 재평가를 받아 순위가 상승했다.
    이후 ThatJ4ke가 클리어했는데 Phobos보다 어렵다고 한다.
    이후 한국유저인 Enichi 가 73% 나비모드 구간에서 14번을 죽은 후 클리어했다.

    2021년 2월 16일에 업데이트를 했다. 주로 버그픽스, 밸런스 업데이트를 했다. 밸런스 업데이트에서 대부분 너프를 했다.
  16. Conical Depres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Conical Depression - Krazyman5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원래 챌린지 맵으로 업로드했던 맵[202]을 더 늘려서 만든 맵이다. 1.0 스타일로 만든 맵인데 Krazyman50이 업로드하는 데 45600어템 넘게 소모했다고 한다.

    맵은 소형 웨이브로 시작하는데 매우 비직관적인 레이아웃과 좁은 간격이 더해져 매우 높은 순간난이도를 자랑한다. 30%대 이후 비행도 앞의 소형웨이브보다는 아니지만 그래도 막장이다. 1칸비행이 밥먹듯이 나오고, 파란공점+노란공점[203]비행에, 소형화 파란공점 1칸비행[204] 등 막장스러운 타이밍+컨트롤 패턴들이 넘쳐나고, 그 이후도 일반 모드로 분홍공점을 타야 하는데, 분홍공점 바로 위에 블럭이 있어서 너무 빨리 누르면 박는다! 정확한 타이밍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길찾기적 요소도 조금 포함되어 있어 매우 힘들다. 이렇게 전부 클리어하고 나면 90%대는 거의 안전하다. Stereo Madness의 후반 비행구간을 소형 웨이브로 바꿔놓은 거만 빼면 말이다. 앞부분에 비해서는 매우 쉽기 때문에 가다가 실수해서 죽을 경우 정말 빡침을 느낄 수 있다.[205]

    Thinking Space와 Silent clubstep 등과 함께 최악의 익스트림 데몬으로 거론되는 맵으로 디자인은 레이아웃과 다를 바 없는 1.0 그 자체인데다 게임플레이도 좋지 않은 편이다.

    한국에서는 LIFE가 부계정으로 최초 클리어, 그리고 Luciela가 두번째, Seturan이 세번째, Rainstorm이 네번째로 클리어하였다. 그 후 Life가 클리어하기도 전에 85%를 먹었던 Cutter가 5번째로 클리어하였다.#

    그리고 Netcortix라는 유저가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206]

    여담으로 Conical Depression의 뜻은 원뿔 우울증이다(...)
  17. phosphoresc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Phosphorescent - by LimeTime31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Cau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Incandesc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EMPTIN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burn to du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NeRU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i hate renn
    [ 내용 펼치기 · 접기 ]
    i hate renn - by Renn241, verified by skzyl
  24. MINIM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Prismatic Haze
    [ 내용 펼치기 · 접기 ]
    Prismatic Haze - Cirtrax and Gizbro, verified by Moosh


    Gizbro의 레이아웃을 Cirtrax가 데코한 것으로, 싱크가 잘 맞는 맵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12월 2일에 업데이트를 했다.
  26. Tempest Tornado
    [ 내용 펼치기 · 접기 ]
    Tempest Tornado - by Colorbolt and more[207], verified by Nimbus, published by Colorbol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현재 국내 클리어자는 LSoftphlia, StarPrint, ddddr, BLS, [GD] Baeru, TherZ, Ohdangs, 민용, Grey749 이렇게 9명이다.
  27. Zurb
    [ 내용 펼치기 · 접기 ]
    Zurb - by rito & more[208], verified by AWESOMEME360, published by CrazyGonzalez
  28. ATMarbl
    [ 내용 펼치기 · 접기 ]
    ATMarbl - Pennutoh & more[209],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ennutoh가 레이아웃을 만들고 그와 친분이 있는 여러 크리에이터들이 디자인한 맵.[210] 역시 게임플레이를 잘 만들기로 유명한 Pennutoh답게 게임플레이가 좋다. 베리파이어는 Golden[211]이다.
    2018년 4월 13일에 베리파이했으며 베리파이된지 한달만에 별이 붙었다.

    현재 Top 50 순위에서는 40위권을 차지하고 있는데, 너무 저평가되었다는 의견이 많다. 최소 2~30위권으로는 올라가야 한다고 평가받는다.
    베리파이어인 golden은 이 맵이 subsonic보다 확실히 어렵다고 했다. 그러나 초고수유저인 jbmoon은 이 맵이 개인적으로 블러드배스보다 쉽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다른 초고수유저이자 국내별갯수 1위인 sowun은 infernal abyss보다 훨씬 쉽다고 하였다. 파기 시작한 처음날 atmarbl을 81퍼를 갔다고....
    다른 많은 유저들도 블러드배스보다는 어렵지 않다고 평가하고 있다. 결정적으로, srguillester도 또한 이맵이 너무 고평가되었다고 했고 재미마저 없다고 했다. 파다가 azuler에게 디스코드 전화가 와서 93퍼에서 죽은 건 안비밀..... 결국 2020년 7월 11일 기준 125위에서 129위로 떨어져 Bloodbath 밑으로 떨어졌다,[212]

    한국 클리어자는 Dorami, temp, Tipp7, zPlasmaLust, Kainite, Fuyu, SP VaLuE, Woo Hwang, Jbmoon, Kati4zMJ
    1 Sparky, Bluerigel, Rainstorm, Schuld, TherZ, Itz두부, YoungUng2, Chosbar, ysj1005, ddddr, RedCraft, Prini, StarPrint
    pyh4476, plue, 1tzBee, GyulGod, lsj612, 1qawsz, TheRealMap, JRainBowlX, sandstormy, venfy, DGG D70 등으로 [213]많다

    이 맵에 쓰인 곡 Marbl의 작곡가인 Schtiffles가 곡을 업데이트하면서 싱크가 맞지 않게 되어버렸다...
    싱크를 맞춰 플레이하고 싶다면 에디터에서 곡의 시작 부분을 1.7초가량 뒤로 늘리거나 PC버전일 경우 https://youtu.be/zMJ7S6oqJVc에서 곡을 다운로드받는 것을 추천한다.

    2021년 1월 11일에 Eternal Moment가 28위에 등재되어 레거시로 떨어졌다.
  29. Auro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Aurora - TheKri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적으로 디자인 등 맵을 만드는 것을 ugetsu, Alex084가 도와주었다. 난이도로 보면 전체적으로 맵이 어렵지만, 그중에서도 거미와 웨이브를 활용한 흥미로운 듀얼 모드들이 존재하는데 초반 부분과 큐브+큐브, 큐브+웨이브, 웨이브+비행기, 비행기+볼, 로봇+거미, 큐브+웨이브, UFO+거미, 거미+거미, 거미+웨이브로 이루어져 있는 매우 다양한 듀얼이 있다. 드롭파트[214]는 4배속 비행모드와 ufo이지만, 드롭 앞뒤가 전부 까다로운 와중에 오히려 맵에서 가장 쉬운 부분이라는 소리를 듣는다. 후반 보스전으로 넘어가면 한숨 돌릴 만 하긴 한데, 마지막 부분에서 보스가 내뿜는 레이저 기둥 외 장애물들이 갑툭튀하므로 암기와 컨트롤을 요구하게 된다.

    2.1의 첫 익스트림 데몬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걸맞게 디자인이 훌륭하다는 감상이 많았다. 중반부의 투명한 듯한 블럭과 뒷배경인 오로라와의 조합이 2017년은 물론이고 시간이 꽤 지나도 쉽게 찾아보기 힘들기도 했고, 여전히 장관인 후반 보스파이트[215]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TheFenixU라는 유저가 첫클리어를 하고 이후 HaNsUpZ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 클리어의 업적을 세웠으며, 그 이후 다른 한국 유저인 Angelbaton가 이 맵을 클리어하였다.
    원래 Carnage Mode보다 한 단계 위였지만 갑자기 재평가를 받아 36위에 안착했다.

    국내 유저 soulcontrol이 모바일로 클리어했지만 마지막 보스파이트 구간에서 가시에 닿는 모션 때문에 포럼 등록은 되지 않았다. 자신은 포럼의 입장을 존중한다고.

    2017년 중 해킹으로 인해 잠시 1위로 상승했었다.
  30. Omorf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Empyre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Empyrean - by kivvvi, verified by Rivet
  32. Goldcrest Pal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Goldcrest Palace - by GrenadeOfTacos & royen, verified by YakobNugget
  3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Eo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OOPZ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SHAT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SHATTER - by efext
  36. Untitl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Untitled - iiLuna and more [216]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onvie가 제작한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맵으로, 노래는 레오루No title을 사용하였다. 익데에서 쉽게 볼 수 없는 푸른색 계열의 디자인과 싱크가 딱딱 맞는 게임플레이가 일품이다. 다만 게임플레이 대부분이 연타나 웨이브로 이루어져 있는 등 난이도가 있는 편.

    후속작으로 Retitled가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서버에 레이아웃 버전만 올라와 있는 상태.
  37. Arctic Are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Arctic Arena - Eclipsed and more[217], published by Eclipsed, verified by Suni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Aquatias와 Orion이 만든 1.9 시절 맵인 Frozen Space의 리메이크로, 브금은 ToE2를 사용했으며 상당히 큰 규모의 대형합작맵이다. 특유의 분위기와 화려한 청색 디자인이 일품이다. 또 극악한 비행기 파트와 칼타이밍등 여러 모드들로 이루어진 맵이다. 14인 각각의고유의 디자인이 들어가 있어 레벨의 구성과 완성도를 높인게 특징. Verifer인 Sunix가 난이도가 애매해 확실하게 블베보다 어렵다고는 말 못한다고 하였지만 바로 위 순위인 23위를 차지했다. 여담으로 공식 노래를 사용한 몇 안되는 익스트림 데몬이다.

    최초로 BrianTheBurger가 클리어했다. 그 후 26일 DiamondSplash도 클리어.

    한국에서는 게임을 접었던 유명 유저 Seturan이 9월 26일 갑자기 복귀 소식과 함께클리어 영상을 올렸다

    여담으로 Unnerfed버전이 있는데 Combined랑 Sunix가 Yatagarasu보다 어렵다고 했다!

    7월 8일경에 디자인을 고치고 너프를 했는데 대폭 너프를 한 거라 레가시로 떨어질 정도의 큰 너프를 했다. 그러나 이맵을 깬사람들은 레가시정도는 아니고 그냥 Extended 최하위권에 속한다라는 평을 했다. 그러나 Omicron이 37위에 등재됨에 따라 레가시로 내려갔다.
  3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rtificial Ideology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A Bizarre Phanta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A Bizarre Phantasm - TeamN2[218], Verified by GoodSmile

    TeamN2의 2번째 맵. 오랫동안 Bloodbath 아래서 계속 2위를 지켰던 맵이다.
    원래는 Cyclic에 의해서 업로드된 맵이지만, GoodSmile이 버그를 수정하고 다시 업로드했다. 여담으로 이 맵의 두번째 웨이브 파트에서 미니 포탈을 스킵할 수 있지만, 난이도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Koreaqwer의 중력반전 포탈이 계속되는 3배속 미니웨이브와 매우 좁은 공간을 빠져나가야 하는 일반웨이브, Miner의 웨이브가 맵 내 컨트롤적 요소로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꼽힌다.

    이 맵에는 다른 요소로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바로 암기력이다. 마지막 부분에 있는 Minus(Yuri) 의 키 미로는 중력반전 웨이브키(Key) 가 3개씩 있는 것 21세트를 지나가야 하는데, 하나라도 잘못 먹으면 97% 에서 죽기 때문에 극도로 떨리는 상황에서의 냉정한 암기를 요구한다. 실제로 GuitarHeroStyles 가 97%에서 죽은적이 있다... 그러니까 왜 눈을 가리고 해[220][221][222]
    키 순서는 1을 맨 위로 하면 다음과 같다. 1-2-1-3-2-2-3-1-3-2-1-2-3-2-1-3-1-2-2-1-3

    한국인 유저 LIFE가 클리어 하는데 굉장히 고생한 맵이기도 하다. 무려 8개월의 기간동안 플레이를 했고, 4차례나 클리어한 기록이 사라졌었다. 그리고 결국엔 영상을 정상적으로 찍고 클리어. 또다른 국내 유저 Rainstorm 역시 클리어하였다. Cutter와 Koreaqwer, Seturan, Plusxenon, Danger도 클리어에 성공했다.
  40. The Hell Fact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Hell Factory - TeamN2[223], Verified by Powerbomb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eamN2의 첫 번째 맵. 이탈리아 유저 Powerbomb에 의해서 업로드되었다.
    과거 1.9 시절 어느 날, Reple이라는 한국의 한 유저가 Temporary라는 제목으로 자신이 제작하고 있던 맵의 프리뷰 영상을 올렸다. 이 유저는 이 맵을 만들기 위해 실력 있는 한국인 플레이어와 제작자들을 모아서 'N2'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그리고 스테이지를 제작한 후 'Hell Factory'라는 제목을 붙이고 Enigma[224]라는 유저에게 업로드를 맡겼다. 하지만 Enigma는 핵을 사용했고, 결국 별을 받지 못했다.

    그 후 2.0 업데이트 후 TeamN2는 이 맵에 데코레이션을 추가하고 제목을 'The Hell Factory'로 바꿔서 맵을 업로드할 사람을 찾다가 Powerbomb이라는 유저를 선택하였다.[225][226] Powerbomb는 결국 이 맵을 클리어하고 TeamN2 계정으로 업로드하였다. 그리고 이 맵은 2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랫동안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49위로 떨어졌다가 재평가를 받아 44위로 올라왔다.

    여담으로 Powerbomb이 Verify한 후 기쁨에 겨운 비명을 지르는데 이 비명을 들으려고 영상을 보러 오는 사람도 많다.(...) 오마이갓 오마이갓 끼아아아아 오마이뻐깅갓

    Ryan LC의 파트인 53%~54%구간은 Neptune의 Doomsday의 디자인을 사용했으며 버프가 되며 너무 좌우변환포탈이 많은 나머지 십자가 디자인이 망가진다. 이렇게 해서 맵을 잘 안보이게 하는 방법은 1.2때부터 이용돼오던 방법이며, 좌우포탈의 맹점.

    2020년 9월 5일날, Disentombed가 110위에 등록되며 레거시에 갔다.
  41. Electric Fore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Electric Forest - by MothEye, verified by swiborg
  42. Le Fish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Annihilation N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Annihilation Nation by Zyleno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Zylenox의 공장스타일이 돋보이는 맵이다. 익데치고 많이 쉬운 맵. 다만 게임플레이가 별로고 순간난이도가 높아서 많이 플레이되지는 않는다. 디자인 좋고 조금 어려운 버전 Acropolis라고 봐도 될 듯.

    고평가라 생각했는지, 2020년 9월 22일 기준으로, 148위에서 153위로 떨어졌다.
  44. Sigma Interf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Sigma Interface by Platnu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elta Interface의 후속작이다. 1분 근처 정도로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지만, 근데 풀버전이 아니다. 원래라면 풀버전을 만들어야 하지만, Platnuu가 지메를 접는 바람에(...) 이렇게 되었다.

    어느날 Sigma Interface가 업데이트 되었는데. 맵속엔 모든 오브젝트가 뼈대로 남아있으며 3칸위로 올라가있는 이상한 업데이트였다. 이에 사람들은 해킹이 아닌가라고 생각을 했지만, Platnuu가 직접 업데이트를 한 거다. 그리고 게임 설명엔, unrate Plz라고 적혀있다. 이에 맵은 복구 되었지만, 35% 부분에 버그가 있다.
  45. Extin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Extinction - by SlimJim and more[227], published by Chom, verified by Extravag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원래 핵맵으로 올려져 있었다. 그러나 2019년 3월 31일, Kapinapi라는 유저가 할 수 있게끔 바뀌였으며 2019년 4월 16일에 54위로 등재되었다.

    2020년 5월 4일날에 너프 업데이트를 했다. 2020년 7월 1일에 116위[228]에서 144위로 떡락했다...
  46. Want 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Gli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Glide by crohn44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nset Sandstorm으로 유명한 crohn44의 개인맵이며 디자인과 게임플레이가 특이한 편이다.
  48. Warn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arning - by TwisterDude161
  49. Wave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WaveBreaker - by MarEng and more[229], published by Lemons, verified by Golde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oxysm을 만든 Lemons의 합작맵이다.
    2018년 4월 2일날, 레이아웃으로 처음 공개하였다. 참고. 그후... 2018년 7월 20일날에 공식 프리뷰가 올라왔다. 참고. 그리고 시간이 흘러... 2019년 7월 22일날 드디어 완성했다! 베리파이어는 Golden이 맡았으며, 2019년 7월 31일날에 베리파이에 성공한다! 그리고 2019년 8월 27일에 98위에 등재되었다.

    게임 플레이는 호불호가 갈리나, 대체로 재밌다는 평이 많다.
  50. limitl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481516
    56321709
    1분 42초
    72074
    2019.07.01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10.87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18.108

    limitless by Konsi, verified by Syndrome GMD
    Thanks to Vapen and Darwin for moral support, verified by Syndrome, I did not spend much time on it, but I hope this lvl will up in history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포럼 등재 기록 [ 펼치기 · 접기 ]
    공식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100%가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5개가 100%입니다.
    한국포럼
    기록 등재를 위해서는 60% 이상이 필요합니다.
    5개의 기록이 등재되었으며, 이 중 4개가 100%입니다.

    유저명
    퍼센티지
    영상
    ItzBuvettu
    100%
    Lumbo :/[!]
    100%
    PlasmaLust[!]
    100%
    jbmoon[!]
    100%
    Marius333
    100%
    Kainite[!]
    100%
    BlueRigel[?]
    64%


    2019년 10월 1일에 제작자 Konsi의 계정이 해킹당하고 동시에 이 맵까지 해킹당해 꽁맵이 되어버려서 잠시 레거시 제일 밑 순위로 떨어졌으나
    이후 복구되고 다시 116위로 제 자리를 찾았다.

    10월 8일에 해외 유명 고수 nSwish가 해킹이 아닌 방법으로 비밀길을 찾았다. 그런데 그 과정이 상당히 복잡한데, 14% 웨이브 상태에서 정말 아슬아슬한 간격으로 큐브 포탈을 타지 않고 17%에 위치해 있는 볼 포탈과 그 직후 위치해있는 소형 포탈[235] 그리고 21-22%에서 밑으로 빠져나가면 그대로 끝까지 깰 수 있다. 어째 비밀길 타는 게 그냥 깨는 거랑 난이도가 비슷하다
  51. GANGIMARI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Penultimate Pha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Penultimate Phase - by nwolc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베리파이 된지 1년이 지난뒤 별이 붙었다.
  53. Aureo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ureole by ItsXZ and more[ItsXZ, Moosh, Sting871, Satrix95, Lumina, Haminopulus, Vex01, MazZedy, IZann, Epdjip, Accelec, ItsLZ, Whata, Asuith, Mojitoz], verified by plimbus
  54.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ftermath(Geometry Dash)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Metal Requiem
    [ 내용 펼치기 · 접기 ]
    Metal Requiem - by CairoX, verified by JoeL
  56. PanaSo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Panasonic - ItsAdvyStyles & more[236]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uitarHeroStyles가 주최한 콜라보맵. 참고로 정규 Sonic 시리즈는 아니다. 재미있게도 SubSonic과 같은 날에 업로드되었다. 이후 Insane, Extreme을 넘나들다가, 8/17를 기준으로 Extreme Demon 상태이다. 상당히 난이도가 저평가되었다는 말이 많은 맵이다. 클리어자에 따라서는 Retention보다도 어렵다는 사람이 있다.

    여담으로 맵을 클리어하기 전 타이틀과 크레딧 롤이 TV 화면에서 나오는 걸로 보아 빼도박도 못하게 이거 패러디. 그러다 난이도 급추락으로 Legacy로 왔다.[237] 결국 다시 올라오며 몇 단계를 더 뛰어넘어 Hypersonic을 넘어 Cosmic Calamity 위로 안착.

    원래 이맵은 하이퍼소닉보다 어렵다는 반응이 대다수였고 실제로도 맵 중간중간 자잘한 칼타로 굉장히 골치 아픈 데몬 중 하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이맵이 심각하게 저평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포럼 61등이 되며 자신이 저평가되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57. Grid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Gridlocked - Team Umbra[238], Verified by wormfodder(50226022)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 사람 아니다.
    - Spacial Rend를 제작한 Team Umbra의 그 후속작이자 마지막 맵이다.
    Spacial Rend를 베리파이한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한다고 했으나 Failure444가 베리파이하게 되었으며 여러번 스트리밍 했다.

    이후 11월 9일 wormfodder에 의해 베리파이 되었다.
  58. Plasma Pulse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Plasma Pulse III - xSmoKes & Gir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iron의 Plasma Pulse와 Plasma Pulse II를 잇는 레벨. 다른 요소들도 물론 어렵지만 특히 극악의 볼과 로봇, 그리고 큐브 구간이 이 레벨의 난이도를 상승시키는 주 원인이다. 이 모드들은 상상을 뛰어넘는 타이밍을 자랑한다. 영상에는 Insane Demon이라고 써있지만 처음 등장했을 당시 5위를 함으로서 명백한 Extreme Demon이라고 판결났다.[239] 물론 여러 데몬들이 많이 등장한 현재는 43위.

    국내에선 Handsupz라는 유저가 97%를 먹고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그뒤 Seturan도 클리어했으며, 이후 Dorami가 12월 6일 1405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240]
    그리고 2018년 2월 18일 vbnfgh231라는 국내 유저가 세계최초 모바일로 이 맵을 깨는 데 성공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6O3A0-5g8Kg&list=PLLPG-R9oBaz6FMI56cJDVy_EXIZ1RIp2k&index=1 이후 audio extraction을 꺾고 hilo의 Celestial force 모바일 클리어 기록이 올려지기 전까지 모바일 포럼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59. Inflect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Texic and more[241], published by Mojitoz, verified by Vorgogn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0. EKO
    [ 내용 펼치기 · 접기 ]
    ACU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된 익스트림 데몬. ACU와 같은 음악인 Creo의 Epilogue를 사용하며, ACU 엔딩 이후의 부분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레벨이 ACU보다 이 목록에서 한참 위에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무작정 덤벼들었다가는 자비없는 한칸비행과 웨이브, 훨씬 긴 플레이타임에 박살이 날 수 있으니 주의.
  61. Noval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Novalis - Grylle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GrylleX의 가장 어려운 데몬맵. 맵의 대부분이 비대칭 듀얼로 이루어져 있다. 문제는 이 듀얼들이 하나같이 미친 난이도를 자랑한다는 점. 비대칭 듀얼만 놓고 본다면 Cadrega City와 Celestial Force가 나오지 않았을 시점에 가장 어려운 비대칭 듀얼 맵으로 불렸을 만큼 그 명성이 자자하다. 비대칭 듀얼을 제외하고도 웨이브 모드가 꽤나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특이하게도 유저코인을 맵 내에서 열쇠를 준 다음 맵 끝에서 몰아준다. 그러나 이 열쇠루트도 절대 쉬운게 아니라서 주의할 필요가 있다.

    2017년 10월 17일, 한국 유저 Angelbaton이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62. Marath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rathon - WeoWeoTeo and Hinds, Verified by Luqualiz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맵에서 나오는 1~26까지의 숫자는 26마일인 마라톤의 마일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1마일은 약 1.6km이다)
    그냥 암기만 제대로 익히면 쉬운 데몬이 되기에 모바일이랑 60hz 클리어자가 많다.
  63. Libertas
    [ 내용 펼치기 · 접기 ]
    Libertas - by WOOGI1411, Koreaqwer and SunSet, verified by Seturan, published by WOOGI141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업데이트로 인하여 레거시로 떨어져 Blade of Justice가 다시 Extended로 올라갔다.[242]
  64. N0
    [ 내용 펼치기 · 접기 ]
    N0 - by Metalface22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꾸준히 발전하던 Metalface221의 크리에이팅 실력이 정점을 찍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게임플레이와 디자인 양면으로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제작자 자신도 역작이라고 평가했고 대부분의 유저들이 동의할 정도.

    좋다고 평가받는 퀄리티나 곡의 분위기와 별개로 Metalface221의 솔로 맵 답게 난이도가 매우 어렵고 구성도 쉴새없이 지나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2020년 5월 후반쯤, N0의 제작자인 Metalface221가 해킹을 당하여 맵이 비워졌다. 후에 원상복구 되었다.
  65. Maybe Possibly Th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ybe Possibly Thing - iNubble, verified by YakobNugge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per Probably Level의 리메이크맵. SPL과 마찬가지로 디자인과 난이도가 따로 노는 맵이지만 SPL에 비해 디자인과 게임플레이가 좋다고 평가받는다. 암기맵인 만큼 외워야 할 구간도 많고 칼타이밍 요소도 있다. 이 맵만의 특이점은 맵 중간중간 여러 밈들이 때려박혀 있다는 것.

    또한 2022년 만우절에는 지오메트리 대쉬 한국포럼에서 장난으로 2위로 내려간 바 있다.
  66. Triple S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Triple Six[주의]
    By Zylenox, Verified by Zylenox
    캡션

    666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666666
    56460850
    1분 47초
    194254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난이도
    Extreme Demon

    • 베리파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44]


    유명 유저 Zylenox가 만든 공포맵. 게임플레이 속에서 암기와 번쩍거리는 요소가 있다. 또한 잔인한 요소가 많기 때문에 플레이하거나 시청할때 주의. 이름의 유래는 악마의 숫자라고 불리워지는 666이다.
    여담으로 이 맵을 리메이크한 Triple K[245]가 있다.
  67. Deflect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To The Stars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Niflheim
    [ 내용 펼치기 · 접기 ]
    Niflheim - Vismuth, Verified by Koreaqw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국내 크리에이터 Vismuth[246]가 만든 익스트림 데몬. WOOGI1411과 함께 만들었던 Endorphin이라는 레벨의 자신의 파트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디자인면에서 상당한 호평을 받기도 한다.

    초반에 등장하는 볼 모드가 까다로운 편이고 그 이후에 나오는 일반/소형 웨이브 및 소형/일반 UFO, 일반 큐브 모드, 잠깐 나오는 비대칭 듀얼[247] 이 많이 어렵다. 여러 모드가 휙휙 지나가는 드롭은 말할 것도 없고 마지막 큐브에서도 안타깝게 죽는 사람이 나온다.

    Verifier는 닉네임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한국인이다. 한국유저 Cutter가 베리파이어인 Koreaqwer 다음으로 클리어하였다. MaChine17이라는 국내유저가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Bloodlust에 의하여 Extended로 추락했었으나, 재평가로 다시 50위권에 입성했다. 그 후 Asmodeus 입성으로 다시 Extend.
  70. Audio Extra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Audio Extraction - Published by GoodSmile, Created by more[248]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eam TouchArcade의 2번째 합작맵이다.[249] 8월 7일에 Verify됐지만, 10월 말이 되어서야 데몬이 되었다. 원래 Audio Excursion의 뒤를 잇는 맵을 만들려고 했지만, 2.0이 되기 전까지 작업이 되지 않았다. 여담으로 잘 보면 Goodsmile의 듀얼 웨이브 파트가 무척 흥미롭다.[250]
    High Detail Version : # 제목을 잘 보면 EXTREME LEMON이라 되어있다.[251] 2.1 패치로 58%파트의 겹공점이 거의 불가능해졌다.[252] 그러나 DiamondSplash 라는 유저가 2.1에 들어와서 불가능하다는 이 겹공점을 최초로 성공시켰다. 그 이후 plusxenon이라는 한국 유저도 겹공점을 성공시켰다.
    그리고 업데이트로 겹공점 버그를 패치시켰다.

    국내에서는 Rainstorm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또 국내 모바일 유저 Soulcontrol이 버프한 버전을 마침내 깼다!클리어영상

    재평가와 Factory Realm X로 인해 52위로 떨어졌다.
  71. Neon Mixtape Tou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Empress Blad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Cromul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Cromulent by Pleoslim and more, published by RelayX,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엔딩까지 합치면 6분이상이 넘어가는 익데다.
  74. Elite Z Rebir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Elite Z Rebirth
    by KrmaL & Airswipe, Published And Verified by KrmaL
    캡션

    Updated version of Elite Z by Play 4075365, redesigned by Airswipe and me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미공개
    26157409
    1분 8초
    25111
    2.1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난이도
    Extreme Demon


    Elite Z Rebirth - Published by Krazyman50, Original by Play 4075365, Designed by AirSwip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과거에 불가능한 맵이라 여겨졌던 Play 4075365의 Elite Z를 디자인을 다시 해서 Krazyman에게 업로드된 맵.
    초반부터 Michigun의 챌린지 수준의 넓은 3단가시부터 시작해 극악한 장애물들이 많이 나온다. 디자인이 그렇게 좋지 못한데도 불구하고 데몬에다가 Featured도 받아서 롭탑의 Krazyman 편애 논란이 다시 생겨났다.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ICE Carbon Diablo X보다도 순위가 낮았으나 여러차례 재평가로 인해 많은 맵들을 제쳤다.

    원래는 게임플레이와 디자인이 애매해서 그런지 클리어자가 별로 없었으나, 유명세를 많이 탄[253] 현재는 리더보드 기준 128명이 클리어했다. 그러나 이것도 적은 편이다
  75. Over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INNARDS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nards - Kaito, Verified by Cinc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저들에게 흔히 알려진 극버프 버전. Blade of Justice 등과 함께 최고난이도 업커밍 데몬 중 너프 베리파이된 예시로 자주 언급되는 맵으로,[254] 대부분의 내용이 이 극버프 버전이 공식 버전으로 여겨졌을 때 작성된 것이다.

    - 평화롭고 은은한 분위기였다가 갑자기 분위기가 급변하는 맵.[255] 익스트림 데몬 중 유일하게 창의적이고 개성있는 테마를 썼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디자인 면에서 호평을 받는다.

    언너프 Innards는 지금 등장한다 할지라도 Tartarus보다 어려울 것이라는 소리가 나오는 맵이다. 이게 베리파이될 당시 모든 업커밍 데몬중 압도적 1위급 난이도의 맵이었고, 베리파이어인 Cinci는 이 맵이 Erebus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했지만, 너프 전의 이 맵은 Erebus는커녕 Tartarus보다 어려운 맵이다. 즉, 2.1 초기에 Tartarus보다 어려운 맵이 만들어진 것이다.[256]

    이 레벨 디자인 특성상 겉으로 보기에는 쉬워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Sea가 이 영상에서 본인도 이 레벨이 그렇게 어려운지는 몰랐는데, EndLevel이 Practice Mode 조차 못 돌릴 정도로 말도 안 되게 어렵다고 말했다고 한다. 심지어 현재는 그 버전에서 더욱 더 버프된 버전이다![257] 극초반의 2칸짜리 넓은 가시부터 타이밍을 극도로 정확히 재야 한다는 특성에서 범상치 않고 그 다음 진행도 전부 극한의 칼타이밍 실력이 아니면 통과가 불가능하다. 분위기가 변해서 속도가 급작스럽게 빨라지는데 그 시점에서 나타나는 웨이브 간격은 충격과 공포를 자랑하는 난이도이며 4배속 1칸비행까지 등장하고 칼타이밍까지 합쳐져 지옥이 무엇인지 보여주며 보스 파이트가 나타난 후에도 막판에 극한의 칼타이밍의 검은 공점이 나타난다. 킬링 파트는 49~64%로 나타나나 모든 영역의 길이 극도로 좁은데다 모든 구간이 칼타이밍으로 도배되어서 킬링 파트가 의미가 없는 수준...

    이후 베리파이어인 Cinci가 몇몇 초고수 유저들에게 맵을 복사해 준 듯 한데, Bloodlust급 난이도라는 Sakupen Realm을 베리파이한 MeatiusGaming이 이 맵의 프렉티스 모드를 459어템만에 클리어하고 내가 역대 해 본 맵중 가장 어렵다고 평했다. 댓글에서는 Orochi, Tartarus 보다 2배는 가볍게 더 어렵다라고 하기도 했다.[258] 다만 Meatius의 말에 따르면 운빨을 좀 타는 레벨이라는 듯 하다. 또한 Nwolc는 52어템만에 프랙티스 모드를 클리어 했으며, 48어템으로도 클리어했다! 그 때문에 만약 Cinci가 포기한다면 Nwolc가 베리파이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이 많다.

    Cinci는 50%를 간 이후로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Unnerfed 버전을 프랙티스 모드로 90어템에 클리어했다. 그 후 2018년 1월 9일 업데이트가 되었다. 그리고 44%를 갔다.

    DollarC의 해당 레벨 노클립 영상의 댓글창에서, 이 레벨의 제작자인 Kaito에 의하면 원래 7성 Harder로 만들 것을 폭풍상향시킨 것이라고 한다.(...)[259] 뭔가 Devil Vortex 때가 생각난다... 그래도 걔는 일단 데몬은 잡고 시작한 거잖아...

    Kaito가 원래는 7성 Harder로 만들려고 한 것을 Viprin cc8에 제출하기 위해 Medium Demon 정도의 난이도로 버프시켰고, 이후 Cinci의 손에 들어오면서 Erebus급의 난이도로 버프되었으며, 최종적으로 Kaito에 의해서 여러번 수정 및 버프되면서 지금의 괴물급 난이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맵 자체는 2.0에 만들어졌다가, 2.1 업데이트 이후 거미모드와 새로운 공점, 데코 등이 추가됐다고 한다. Kaito는 이 맵의 연장 구간까지 만들고 있다고 했지만 취소되었다.

    구 버전에는 일자비행 구간의 가시에 작은 가시가 들어 있었는데, 지금은 일반 가시로 돌아왔다. 이게 난이도에 큰 영향을 준 이유가, 지메는 일반 가시 판정이 애매해서 가시 끝에 닿아도 아슬아슬하게 사는데, 일반 가시보다 판정이 훨씬 더 엄격한 작은 가시가 위에 박혀 있으면 말 그대로 완벽한 일자비행을 해야만 넘어갈 수 있었다. 다만 현재 버전은 가시 폭을 좁게 해서 난이도를 조정했다.

    또한 극악 타이밍이 필요한 마지막 검은 공점 파트가 있는데, 그 공점을 최대한 늦게 치지 않으면 98%의 가시에 박는다.[260] 가시에 박으면 Oof라는 문구가 나타난다.[261] 저걸 저대로 내버려 둘거냐는 질문에 Cinci는 "지금까지는 저 구간을 연습하면서 죽은 적이 없으니 일단은 저대로 두겠다"고 했다.(...) 이봐요... Dorami도 Yandere 98%가 너무 쉬워서 극버프하면서 음흉한 미소를 짓다가(...) 제꾀에 자기가 넘어갔는데...

    Cinci는 앞부분의 난이도를 너프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고 했다. 오히려 일부 구간을 재미로 버프 중이다.[262] 하지만 결국 버프를 또 다시 하게 됐는데, 대표적으로 37%와 63%가 있다. 37%의 코인 루트 가시가 반 칸짜리에서 1칸짜리로 바뀌었으며, 63%는 바로 위 영상 링크에 나온 간격과 버프 이전 간격의 중간 정도로 웨이브 간격을 좁혔다.

    무명 크리에이터와 무명 베리파이어의 만남으로 한참이나 빛을 보지 못했던 맵이기도 하다. 2016년부터 Cinci가 베리파이를 시작했고, 무명맵을 유튜브에 올려주는 DollorC가 영상을 올려줬음에도 불구하고 2018년 1월에 Sea가 이 맵에 대한 영상을 올리기 전까지는 유저들이 이 맵의 존재조차 잘 몰랐고, 사람들이 관심을 갖든 말든 방송을 보든 말든 상관없이 Cinci는 생방송으로 묵묵히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Sea의 영상이 나오고 나서 알지도 못했던 무명맵이 다른 유명 극악맵[263]들을 난이도로 누르는 것을 보고 사람들의 관심이 갑자기 이 맵에 쏠리게 된 것이다. 이후 1000명도 넘지 못했던 Cinci의 구독자수는 금세 3000명을 돌파했다. Cinci는 갑작스러운 Innards와 본인에 대한 관심에 당황을 표하기도 했다. 현재는 생방송을 보는 인원이 훨씬 늘어났지만 여전히 과거와 다름없이 생방송으로 묵묵히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다.

    2018년 3월 25일자로 이 맵에도 Bloodlust와 비슷한 케이스의 논란이 발생했다. Exen이라는 유저가 Kaito나 Cinci의 허락 없이 맵을 플레이하고 있으며, Cinci에게 "일주일안에 44%를 넘지 못하면 이 맵을 베리파이하겠다"고 협박한 것이다. 지금까지 이 맵은 서버에 올라온 적이 없었는데, 이 맵의 구버젼이 서버에 풀려 Exen이 나서게 된 것이다.
    다만 Bloodlust때와의 차이점도 상당히 많이 있다. 우선 Bloodlust의 베리파이어였던 Knobbelboy가 동기를 잃어 1달간 베리파이를 진행하지 않았고, 이에 대해 호불호가 많이 갈렸던 것과는 달리 Innards의 베리파이어인 Cinci는 2016년 말부터 현재까지도 매일같이 생방송으로 맵의 진행 상황을 보여주었다. 또 Exen은 이 맵의 가장 큰 의미나 마찬가지인 난이도를 하향시켰으며, Bloodlust에서 논란을 일으켰던 Crazen과는 달리 Exen은 몇 번이나 해커로 지목을 당한 전과가 있다.[264] 무엇보다도 현 베리파이어인 Cinci는 Knobbelboy보다도 더 많은 시간과 어템을 소모해서 현재의 자리까지 온 것이다.
    다행히도 이 상황은 5일 만에 끝나게 되었다. Exen이 먼저 Innards를 그만뒀다는 내용의 영상을 업로드했고, 금세 Cinci도 드라마가 종결되었다는 영상을 올렸다. 완전히 파탄나버린 Crazen과 Knobbelboy의 관계[265]와는 다르게 Cinci와 Exen은 서로의 영상에 서로를 응원하는 댓글을 달았으며, 서로의 댓글을 고정해주는 것으로 훈훈하게 마무리되었다. 하지만 Exen은 이제 커뮤니티의 완전한 배척을 받는다. 해커 전적에 현재도 핵 의심을 받으면서 멋대로 시비 걸고 커뮤니티에 파장을 일으켰기 때문에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4월 24일, 60%~98%를 간 후 마지막 가시에서 죽어서 드디어 마지막 가시를 너프했다.[266] 팬들은 Cinci가 너프를 하다니 놀랍다는 반응이다(...) Wooshi는 가시를 너프시켜서 Bloodbath보다도 어렵지 않은 레벨이 되었다고 했다.

    국내에서는 VoTcHi라는 유저가 오리지날 버전을 클리어했고 버프버전 18%를 갔다.

    한동안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 최근 올라온 영상에 따르면 Nwolc가 가지고 있는 버전으로 Innards를 롤백하겠다고 한다. 현재 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이후 2018년 11월에 오면서 Cinci가 본격적으로 베리파이를 시작했는데, 베리파이를 진행할 때마다 너프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물론 이전 버전은 불가능에 가까웠던 만큼, 별로 놀랄 일은 아니다.

    베리파이어인 Cinci는 지금까지 20만이 넘는 어템이 들었다고 했다. 유저 간의 실력 차가 있겠지만 Bloodlust가 약 12만 어템을 소비해서 클리어됐다는 사실이 이 맵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해준다.

    이후 2019년 3월 13일, 결국 Cinci가 Innards의 베리파이를 포기했다. 다음 공식 베리파이어는 미정.[267][원문] 하지만 이는 본인이 베리파이하던 극버프 버전을 포기하겠다는 말이였고, 이후 3월 18일 Kaito의 공식 버전을 베리파이하는 데 성공했다. 난이도는 최강급 데몬으로 불렸던 과거 극버프 버전보다야 쉽지만 여전히 어려운 편으로 Cinci는 하드 데몬, 공식 버전 첫 클리어자인 Wooshi는 인세인 ~ 익스트림 데몬, 노별포럼은 현 포럼 기준 대략 8~90위 정도로 보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익스트림 데몬으로 랭크됨으로써 Cinci가 깨던 버전이 얼마나 어려웠는지를 입증하게 되었다. 비록 과거의 명성은 조금 사라졌을 수도 있겠지만 본인을 2년 가까이 괴롭힌 맵을 끝내 베리파이한 만큼 Cinci 입장에서는 기분이 남다를 것이다. 공식 버전이 베리파이된 만큼, 극버프 버전은 일부 유저들의 도전용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극버프 버전은 아직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으며, 이제 1위를 하기는 어렵지만[269] 여전히 극악한 맵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나마 최근에는 과거 불가능한 맵들을 베리파이하는 열풍이 생겨서 도전자가 간간히 나오고 있고, 특히 불가능한 맵의 대명사로 불리던 Silent Clubstep이 베리파이된 후 초고수 유저들의 다음 타겟으로 정해졌는지 극버프 버전에 도전하는 유저들이 대폭 늘었지만, Tartarus급의 난이도이기 때문에 아직 깨지지 않고 있다.

    Temical이 모바일로 97% 기록을 세웠다.

    23년 1월 31일, 드디어 언너프 이너드가 베리파이 되었다. 난이도는 Firework보다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이 맵과 레이트된 Kaito 버전의 난이도 차가 너무 크기에 Cinci는 이 맵을 업데이트하지 않고 Kaito의 버전 그대로 놔두겠다고 하였다. 업데이트되었다면 베리파이 시점 기준으로는 무조건 10위 이내에 들어가며, 심지어 2024년에 와서도 10위 이내를 논해볼 수 있는 난이도이다.

    이 레벨에 쓰인 곡은 Dark Travel에 쓰인 곡으로 유명한 곡이다. 곡 제목은 1f1n1ty + LOrbSheddy - PSMD Dark Matter Suite Remix이다.[270]
  77. Karm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Heavens Do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Heavens Door - by Wesp & more[271], verified by JoeL, published by TMco
  79. QDYNA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GEO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BROWNO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Totem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Quao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Dism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Myocard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Mir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Mirage - by Zanna83 and more[272], published by Golden, verified by Technic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Golden이 주최하고 Technical이 베리파이한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를 한 Technical은 이상한 파트도 있지만[273] Sminx와 Volt의 파트같이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고, 모든 파트의 스타일이 각각 다르며 같은 색깔에 묶여있지 않음에도 디자인이 어우러지는 것을 고평가했다. 예상 순위를 149위로 적어두었는데 그 탓인지 등재된지 얼마 안되어 바로 Legacy 데몬으로 떨어졌다.
  87. Armagedd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Unearth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Unearthed - YakobNugget and more, published by YakobNugget, verified by npest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국 크리에이터 YakobNugget이 주최한 합작이다. 인지도에 비해 규모가 매우 큰 합작이다.
  89. Acroz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Acrozis - by Renedi & more[274]
  90. Twisted Tranquil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Twisted Tranquility - Flukester & more[275], Verified by BoldStep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Flukester와 그 외 많은 사람들이 참여한 9인 대형 합작맵. 처음 올라왔을 때는 Extreme Demon이 되었으나, Flukester가 이 맵을 핵을 안 쓰고 업로드하였다는 증거가 부족해서 RobTop이 이 맵의 별을 박탈시켰다. 그 후 Flukester가 Boldstep에게 부탁해 그가 베리파이했다.[276] 2.1맵답게 부드러운, 화려한 데일리맵 수준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배경의 빈약함 등으로 인해 잘 만들었지만, 덜 만든듯한 맵이라고 평 받기도 한다.

    초반부터 점프링 타이밍이 어렵고 웨이브와 비행기 등으로 여러 모드로 계속 바뀌며 다 저마다의 극악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중반 암전구간이 많이 어렵다고 평가된다. 57~61%의 아이콘+45도 대시링(이른바 제트팩) 게임 플레이가 상당히 흥미롭다.[277]

    또 아웃트로를 제외하면 가장 마지막 부분인 88%부근의 타이밍이 엄청나게 헷갈린다![278][279] 이곳에서 한 번 이상 죽지 않고 클리어하는 게 거의 불가능할 정도. Kainite가 88%에서 한번도 죽지않고 깬 몇 안 되는 케이스.

    2017년 7월 26일, 한국 유저 Angelbaton이 88%(아웃트로 제외시 99%)를 먹었다. 그리고 5일 뒤인 2017년 7월 31일, Angelbaton이 한국의 첫 번째 클리어자가 되었다! 앞서 서술한 88%를 13번 먹었다.
    그후, 8월26일 한국유저 xiko가 한국의 두번째 클리어자가 되었다.
    그 후 10월 12일 한국유저 jbmoon도 클리어. 영상 88%를 10번 먹었다고 한다.[280]

    그리고... 2018년 1월 19일, 한국 유저 Rainstorm이 진짜 99%를 달성했다!!!![281]
    그리고 같은 날에 클리어했다.

    현재 한국에서 3명이 99%를 먹었었다. 한 명은 앞서 서술한 Rainstorm, 한국 2번째로는 크바, 3번째로는 최근 달성한 Tipp7[282]이다.

    이후 예고 없이 갑자기 버프가 되어 업데이트 되었다! 베리파이는 Crazen이 담당했으며, 게임플레이까지 조금씩 바꾸어버리고 간격도 좁혀 매우 어렵게 만들었으나...

    이에 대해 상당히 비판이 많은 편이다. 특히 익스트림 데몬 입문으로 이 맵을 클리어 시도를 하고 있는 유저들이 많았는데 그 유저들을 걷어 차는 행위라며 지탄하고 있다. 더군다나 이 버프가 평범하지가 않은 게, 한순간에 Bloodbath 이상으로 버프를 먹였기에 많은 유저들에게 불만을 사고 있다. [추가] 더 심각한 것은, 이 합작의 주최자인 Flukester는 이 버프를 정식 버프라고 칭한데다가, 현재 Demon List 팀과의 모든 대화를 일절 거부하고 있어서 굉장한 논란이 일고 있다.

    이후 많은 비난을 받아서인지 Flukester는 TT를 복구하겠다고 했지만 오랬동안 복구가 되지 않았다.

    결국에는 2019년 4월 3일 다시 BoldStep이 베리파이했던 버전으로 복구되었다.
  91. VIRTU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Graphite Wor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Breakout
    [ 내용 펼치기 · 접기 ]
    Breakout - Surv & Joshawott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urv와 Jashawott의 콜라보 레벨. 데몬이 된 지 얼마 안 되었을 때는 무려 5위였고 그 기록에 걸맞게 매우 어렵다..
    초반과 중반 부분, 그중에서도 비행[284]이 매우 어렵고 그 이후 드롭 파트에서는 까다로운 듀얼, 죽기 쉬운 연타 소형 웨이브, 일반웨이브 및 여러 칼타들이 반겨준다. 그후 큐브 구간은 정말 쉬운데 큐브 구간으로 넘어가기 전 간혹 죽어버리는 버그가 존재한다.

    Plasma Pulse III와 마찬가지로 영상엔 Insane Demon이라고 써져 있지만 명백한 Extreme Demon이다. 클리어 후에 Surv는 Conical Depression보다 어렵다고 말했지만 순위가 낮다. 이 맵이 이렇게 포럼에서 꽤 순위가 낮은 이유는 아마 비행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그렇게 압도적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285][286]
  94. Grill Ki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Grill Kill by RoiMousti,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디자인은 화려하나,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좋지 않다...
  95. Betelgeu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6. Once Aga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Concaved Memor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Concaved Memories - published by CairoX, Created by HelpegasuS and more[287], Verified by rWoosh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으로, 전작을 제작한 CairoX와 DonutTV가 참여하고 베리파이도 전작과 같은 rWooshi가 했다.
    물론 최악의 겜플 중 하나에 꼽힌 전작과는 달리 최고의 익데 중 하나로 불리고 있다.
    같은 Lucid Nightmares의 후속작인 Lucid Chaos하고는 이 맵과 무관하다.
  98. ElectroLux
    [ 내용 펼치기 · 접기 ]
    Electrolux - Byboy11 and more[288], verified and published by GuitarHeroStyle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nasonic의 후속작. 전작의 제목의 유래가 Panasonic인걸 생각해보면 이 맵 제목의 유래는 당연히 이것.

    Guitar의 성희롱 논란 이후 그의 계정에서 내려갔으며 Zafkiel7의 계정에 재업로드 되었다.
  99. Pumped Up Kicks
    [ 내용 펼치기 · 접기 ]
    Pumped Up Kicks by Quiken and more[289], published by Quiken, verified by GuitarHeroStyles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0. Hydraulic Overdr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Hydraulic Overdrive - Xyriak, Verified by Bra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Edicts 등과 스타일이 비슷한 크리에이터 Xyriak의 단독맵. Brad에게 베리파이되었다. 맵의 중간의 나오는 보스의 퀄리티도 멋지지만 무엇보다 보스가 움직이는 것을 표현한 이펙트는 역대 보스파이트 맵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퀄리티를 만들어냈다. 그 외에 블럭 디자인도 매우 좋은 편.

3.6. 651위 ~ 750위[편집]

  1. A2Marbl
    [ 내용 펼치기 · 접기 ]
    A2Marbl by Epsilonic and more[290], published by Golden, verified by Kapinapi, re-verified by Golden
    Pennutoh와 Makaron, Burrito, Marwec 이 넷이 레이아웃을, 나머지가 데코를 한 ATMarbl의 후속작으로, 원래 Golden이 베리파이를 맡았다가 포기 후 Kapinapi에게 넘어가 베리파이되고, 이후 버그픽스를 Golden이 재베파했다.
  2. Mecha Mayhem
    [ 내용 펼치기 · 접기 ]
    Mecha Mayhem - by DreamEater & more[292], verified by BrianTheBurger
  3. The Antimat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Antimatter by by Bianox and more[293],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SrGuillest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Fai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Elliptic Cur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Elliptic Curve by Mulpan and KireiMirai, verified by Dorami, published by Mulpa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ulpan과 KireiMirai, 두 한국인의 합작으로, Dorami가 1일 만에 베리파이한 맵이다.
  6. Heat 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Heat Wave - By HadiGD & Nico99 & more[294], published by Nico99, verifi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HadiGD라는 유저가 주최하고 Nico99이 퍼블리시한 대형 합작맵이다. 전체적으로 빠른 템포의 게임플레이를 갖고 있고,
    중간중간마다 나오는 재미있는 게임플레이는 플레이하는 유저들을 즐겁게 만든다.

    익데 치고 많이 쉬운 편인데다 게임플레이도 좋아서 첫익데 추천맵으로 자주 꼽힌다. 게임플레이, 디자인 모두 굉장히 호평받지만 유일한 단점은 모든 익스트림 데몬을 통틀어서 파트별 난이도 편차가 가장 큰 축에 든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후살맵으로, 50% 이전까지는 사실상 인세인 데몬 수준이지만, 50%부터 등장하는 Nico99의 파트부터 끝까지 익스트림 데몬 수준의 순간난이도를 보여준다. 특히나 어려운 파트로 지적받는 부분은 Nico99의 큐브 칼타&듀얼과 MrLorenzo의 극악한 비행기구간인데, 특히 비행기구간은 중력변환&기울어진 1칸 비행에다가 웨이브로 비행기 포탈에 들어가는 컨트롤을 세밀하게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하위권 익데라고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이 맵의 난이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매우 어려운 구간이다. 오죽하면 여기서는 최소 한번쯤 죽고 클리어할 수밖에 없다는 말이 들릴정도. 그래도 앞부분 순간난이도가 인세인 데몬 수준이라, 인세인 데몬 수준의 게임플레이를 손쉽게 깰수 있는 고인물들에게 있어서 쉬운 맵으로 실력별 난이도 편차가 매우 크다.

    또한 Incipient와 Es Dilar Nos 못지않게 한국에서 꽤나 인기가 많은 맵인데, 한번 팠다 하면 깨는 유저들이 엄청 나오기도 하고, 겜플 자체가 재미있다 보니 인기가 많다.
    별은 시간이 많이 지난 이후에 붙었고 포럼에도 그 이후에 입성했다. 그렇게 순위는 계속 떨어지는 중.
    참고로 별이 붙었을 당시에는 이 맵 포함 에픽 익스트림 데몬이 고작 4~5개 정도(...)였다.
  7. Heart Attack
    [ 내용 펼치기 · 접기 ]
    Heart Attack - by Derpskull & more[295], verified by LordVadercraft
  8. Mandrago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Heartbeat
    [ 내용 펼치기 · 접기 ]
    Heartbeat - Published by Krazyman50, Designed by AncientAnubis & AirSwip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처음 올려서 리스트에 오를 당시는 18위로 저평가되었으나,[296] 어느 순간 14위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아무 난이도 재평가도 없이 서서히 순위가 하락해 50위로 떨어졌다가 Quantum Processing의 등장으로 Extended 51위로 내려왔다..(...)
    Anubis와 AirSwipe이 디자인해줬다. 여담으로 비밀길같이 생긴 길이 있으나, 이 길은 따라서 가면 99%에서 죽는 낚시 비밀길이다. 영상.
    중반 비행기 구간이나 초중반과 후반 로봇 모드 등도 상당히 어렵지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중반의 웨이브 연타 부분과 초반 칼타이밍 부분. 중반 연타는 클릭이 딸리면 순식간에 죽어버리고, 초반 공점 칼타이밍은 워낙 타이밍이 지저분해 플레이하기 짜증나서 이 맵을 플레이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여담으로 한 유저거 144Hz로 이 맵을 플레이했을 때 99%가 불가능하다고 했었으나.... Krazyman50이 아니라고 영상을 올렸다. 최후반 마지막 공점 파트. 60hz에서는 무난하나 144hz에서는 타이밍이 워낙 극악하여 144hz 한정 통곡의 벽이다. 그래서 클리어하는 플레이어들은 주로 60hz 유저이거나 144hz 플레이어들이 60hz로 바꿔서 클리어. 물론 60hz 플레이어라고 그곳에서 안 죽는 건 아니다. 다만 Riot의 경우는 복사본에서 마지막 점프를 너프시켜 클리어했다.
  10. Ballistic Funk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iridi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Pl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Evil Depth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Skrrah
    [ 내용 펼치기 · 접기 ]
    Skrrah by Reunomi and more[297], published by VirtualCrack, verified by Rainstorm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엄청난 싱크를 가진 Extreme Demon. 시원시원해 보이는 게임플레이과는 다르게 게임플레이가 상당히 안 좋다고 한다(...) 그래도 재미 자체는 있다.
    주로 후반에 난이도가 몰려있다.
  15. Shape of the S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Lot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Lotus - by ZeroSR & more[298]
  17. Red World Rebir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d World Rebirth - Published by Riot, Original by saRy & NePtunE, Designed by Hinds, Findexi & Vipri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까지 가장 어렵다는 맵 중 하나였던 한국 유저 saRy와 Neptune의 콜라보 맵인 Red World를 2.0 버전으로 재디자인한 맵. 원본인 Red World가 1.9 패치로 불가능한 맵이 되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수정하고, 나비모드와 비행의 간격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난이도가 극상향되었다. 초반부터 극악한 비행기 패턴이 많고, 특히 63%~67% 부분은 저속 1칸비행이다. 그 후 나비모드는 답이 없을 정도로 어렵다.[299] 나비모드를 지나면 바로 꺾인 1칸비행이 계속되는데, 이 부분이 매우 어렵다. 가뜩이나 최후반부라서, 죽으면 깊은 빡침을 느끼나, 많은 유저들이 여기서 한 번은 죽었다. 익데중에서 가장 사악한 소고기다. 쩝쩝

    여담으로 SrGuillester가 자신의 디자인 버젼을 클리어하려고 했으나, 이 맵이 나온 후 취소하고 Red World 원본을 클리어했다.
  18. Semicolon 3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Fingerdash v3
    [ 내용 펼치기 · 접기 ]
    Fingerdash v3 - by Noriega

    Fingerdash를 극상향 및 리디자인 한 맵이다.[300] 퀄리티는 이게 Fingerdash가 맞나 싶을 정도로 훌륭해서 에픽까지 받았다. 중후반 보스파이트가 제일 인상적이다.
  20. Fex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012396
    25449475
    0분 58초
    16713
    2016.10.09

    Fexty by Ozpectro, verified and published by SkyJax
    Original unnerfed version of Fexty by Ozpectro verified by me! Video on my channel.




    Ozpectro의 Effot에 이은 세번째 맵[301]이다. 원래는 Demon이었으나, 중반부 50%대 웨이브랑 60%대 나비모드가 너무 어려운 관계로 핵 의심을 받았고, 결국 사실로 밝혀져 데몬에서 박탈되었다. 그 이후 2.0이 되고, Ozpectro는 마지막 저속 소형 1칸비행을 삭제하고 30%대 비행(+듀얼비행), 50%대 웨이브, 60%대 나비모드를 하향한 버전을 업데이트하게 되었다. 이 맵도 핵의심을 받는다.

    2016년 10월 8일에 SkyJax라는 유저가 이 맵을 구버전으로 베리파이했다. Superex라는 유저는 이 맵을 훨씬 상향해서 베리파이 하기도 했다. 또 한국 유저인 Rainstorm이 Unnerfed 버전을 상향시켜서 50~100%를 갔다! 그러고 SkyJax의 Unnerfed 버전에 별이 붙었다! 별이 붙으면서 43위에 안착. 다만 과거에는 이 구버전이 Bloodbath나 Sakupen Hell과도 비교된만큼 상당히 저평가되었다고 주장하는 유저들도 있다.

    이 맵의 경우 어려운 구간을 제외한 다른 구간은 익데치고 쉬운 편인 데다가 길이도 짧아서 처음 볼 때는 쉬워 보일 수 있다. 초반 큐브도 연타면 연타지 칼타도 거의 없고, 비행 간격이라던가 웨이브 간격도 꽤 넓어서 처음에는 할만하다고 생각이 들 것이다.

    그러나 50~60%대의 웨이브와 나비모드의 순간난이도가 매우 높다. 특히나 웨이브의 경우 3배속으로 매우 비직관적이고 좁은 길을 지나가야 해서 극도로 어려울 뿐더러,[302] 나비모드의 경우 칸은 좁은 편은 아니지만 역시 비직관적인데다 칼타가 박혀 있어서 굉장히 어렵고, 나비모드에서 일반 볼모드로 빠져나가는 구간 역시 생각보다 어려운 타이밍을 요구하는데다 비직관적이어서 사실상 이 짧은 구간때문에 익스트림 데몬이 되었다 봐도 과언이 아니다. 다행히도, 이 2구간을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어렵지는 않다.

    여담으로 베리파이어인 SkyJax가 과거에 이 맵을 업로드하고나서 한참을 별이 붙지 않자 디자인 때문으로 생각하고 TeslaX11라는 유저에게 디자인을 부탁한 적이 있다. 하지만 그 후 TeslaX가 GD를 접고 작곡 활동에 전념하겠다고 한 이후 취소된 듯하다.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 Time Pul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Digital Disarr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Digital Disarray - by Licen, Vlacc and Giron, verified and published by Gir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3. Necropol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NecropoliX - by Namtar, verified by TrusTa
  24. Choler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CholeriX - by Shaggy23 & more[303], verified by GK Allium
  25. Had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Hades - by XZ, verified by Gokill
  26. Esenc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Esencia - Zafkiel & more, Verified by Dorami

    Zafkiel이 주도한 합작 익스트림 데몬이다.

    Omorphia와 같은 1.0 테마 레벨이다. 아무리 1.0테마라 할지라도 엄청난 맵의 퀄리티를 보여준다.
    Idols를 주도했던 유저 Zafkiel이 주도한 레벨이라서 그런지 분위기가 Idols와 비슷하다. 베리파이도 Idols를 베리파이한 Dorami가 맡는다.
    배경, 오브젝트 색이 이리저리 정신 없이 바뀌고 대체적으로 맵 분위기가 밝아서 우리가 소위 말하는 눈뽕을 당할 수 있다. 게다가 곡 또한 템포가 빨라서 정신없는 것의 극치를 맛볼 수 있다.

    2019년 4월 12일 완전히 베리파이되었다!
  27. U235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Reflect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flective - by Mojitoz & more[304], verified by Vorgogne
  29. Dark Rival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Evangel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Frightful Melody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Cup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Cupid - by vyp & more[305], verified by Zeronium
  33. Sky Conflux
    [ 내용 펼치기 · 접기 ]
    Sky Conflux - by Ghotstav, verified by ultrakawaHD
  34. cerebral hemorrh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Gaming 35
    [ 내용 펼치기 · 접기 ]
    Gaming 35 - by Zoink Doink & more[306], verified by snowkeo
  3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Ultimate Phas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On1y Cub3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Artificial D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Artificial Dream by iIiViRuZiI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퀄리티 좋은 익스트림 데몬을 많이 올렸으나 번번이 묻히던 ViRuZ의 첫번째 별맵이다. 상당히 속도감있는 플레이를 보여주며, 듀얼의 비중이 꽤 있는 편이다. 디자인과 겜플에서 호평을 받으며 선곡에서도 칭찬을 받는 맵. 여담으로 ViRuZ는 이 맵을 베리파이하면서 이 맵이 Very Hard ~ Insane Demon이 될거라 예상했지만, 익스트림 데몬을 받았을 뿐더러 포럼 중간쯤에 위치하게 되었다. ViRuZ에게 Extended는 하데 ~ 인데인가 봅니다.
  39. Winter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ntertime - by VigorousGard3n & more[307], verified by CaustiX
  40. Destin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Destinies - by NinSam
  41. Heli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Helios - by Canonlaw & more[308], verified by iNeo
  42. RTX 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Violently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CastriX and Dorami, verified and published by Doram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4. Exotic Energy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Agen Wid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Dumbest Girl Al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Welcome to GD New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sarth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wute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wutend - by wonduu & KiwiPenguin, verified by chloechu
  50. Canneles au chocolat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Shukufuku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Hopping Over Pudd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Hopping Over Puddles - by J27Blaze, verified by beary
  53. Cat Plan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stand in the snow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Vexatio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TUAPEKA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YeeSangHaeYo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Vocifero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inMi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Mind - by ImNotNuub
  60. DREAMS TAKE OV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DREAMS TAKE OVER - by ryli06 & s3venty, verified by SwordBx
  61. Witching Hour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Crowd Control
    [ 내용 펼치기 · 접기 ]
    Crowd Control - deadlox & more[309], verified by xander
  63. Disastrous Downpour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Me Lin 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any perc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any percent - by AWESOMEME360 & Gnam
  66. Volu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by Metalface221 and more, verified and published by Metalface22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길이는 그렇게 길지 않지만 공점타이밍이 미쳐 돌아간다. 길이보다 순간난이도로 승부하는 레벨. 잔가시들이 많아서 프랙으로 돌리다가 죽으면 그 순간 엉망진창이 된다. 특히 50% ~ 64% 웨이브 파트의 난이도가 압도적이다.

    여담으로 50% 부분부터 노래가 매우 좋은 편이다. 대부분이 이 부분의 음악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고 있다.
  67. Acropol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AcropoliX by SoulsTRK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Zobros의 과거에 매우 어려운 맵으로 유명했던 'Acropolis'를 더 어렵게 만든 맵이다. 칼타이밍 그 자체인 로봇모드, 비행과 UFO, 볼 모드 등이 포인트. 포럼데몬인 Hatred처럼 엄청난 칼타이밍을 자랑하는 맵이다.
    난이도가 대폭 상향되었고, 2.0 때 만든 맵이라서 무브 오브젝트 등 2.0 오브젝트들이 등장한다. 특히 후반의 웨이브가 극상향되었는데, Acropolis와 달리 중력 포탈과 미니 포탈이 등장한다. 그래서 이곳에서 죽는 사람들이 많다. 가장 어려운 부분은 극초반 큐브와 웨이브이다. 옛날에 Legacy쪽으로 갔었지만, 재평가로 인해 다시 포럼으로 올라갔고 Cadrega City가 나오며 다시 떨어졌다.
    맵은 2.0 초기에 나왔지만 현재 클리어자는 BlassCFB외 21명[310]등등으로 상당히 클리어자가 적은 맵이다.

    그리고 별이 붙은지 거의 2년만에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하였다!!
  68. SEGFAULT
    [ 내용 펼치기 · 접기 ]
    SEGFAULT - by AAAAAlex
  69. PAINFUL PLAYLA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Matilda the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tilda the Machine by Jeyzo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Jeyzor의 비대칭 듀얼 Machine 시리즈의 끝판왕.[311] 2.1의 거미모드, 닿아도 안 죽는 웨이브 블럭을 이용해 비대칭이 더욱 어려워졌다. 그리고 78%부터 시작되는 로봇과의 보스전도 브금과 매우 어울린다. 지메의 전설격인 Jeyzor의 듀얼맵 시리즈의 3번째이지만 어려워서 그런지 인기가 없다.
  71. Aurora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urorae - by GDSkele & more[312], verified by ButterFish1413
  72. Nacreous Snowmel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Thunder Alphab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under Alphabet - by Patchimator, verified by Kapinapi
  74. 4ucked Up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glo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KUB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TROLL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TROLLMACHINE - by TROLLM4CHINE & more[313], verified by > x <
  78. Brain Pow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Brain Power - Zafkiel7 and more[314], verified by Nexus
  79. PixelSo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PixelSonic - RateUnite & more, verified by fhewi
  80. Shimmering Chamb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Deception D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Deception Dive - Rustam & more[315], Verified by Berke42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본래 이 맵은 2.1 극초기에 Zenthicalpha, Rustam, Mazl이 시작했던 맵이다. 그때 Rustam, Zober, Zenthicalpha가 세 구간을 만들었으나 맵 개발이 지연되어 버렸고 Zenthicalpha가 접자 Rustam과 Mazl이 이어받아 크리에이터들로 하여금 나머지 구간들을 채우도록 했다. [316]후반의 4배속과 중반의 까다로운 구간들로 이루어진 이 맵의 난이도는 아주 극악하다. 후반으로 갈수록 빨라지며 다양한 모드와 상당한 맵 길이로 난이도는 더 상승된다. 후반의 4배속 웨이브와 볼 모드 등이 정말 어렵고, 그중에서도 Krampux의 파트가 가장 어렵다고 평가된다. 초반은 다른 익스트림 데몬보다 쉬운 편이고 심지어 7~8성 난이도밖에 안되는 구간도 있는만큼, 오래 플레이하다 보면 후반에서 자꾸 죽고 초반이 매우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

    여담으로 이맵은 처음 나왔을 때부터 꽤나 오래 인세인 데몬 상태였다. 그리고 포럼에 올라온지 약 1주일 뒤에 몇 시간동안 익스트림으로 승격됐다가 다시 내려갔다. 그리고는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온 상태이다.

    국내에서는 Seturan이 최초로 클리어했다.
    [SD] Danger가 12번이나 클리어하였다.
    신원미상이 한국 모바일 최초로 클리어하였다.
    traceGD가 무려 76k를 들여 한국 모바일 2번째로 클리어하였다.
  82. SUBVERS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SUBVERSIVE by Disp and more[317], verified and published by Snowr33d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러시아 크리에이터들의 합작맵으로, Snowr33de에게 Verify된 맵. 상당히 긴 길이와 엄청난 난이도를 자랑한다. 2.0때 만들어진 맵인데도 웬만한 2.1 데몬맵 저리가라 할 정도로 모든 파트의 퀄리티가 높은 데다가 유명 유튜버인 SoulsTRK가 영상을 올렸는데도 데몬이 되지 않아 한때 비운의 맵의 대명사로 꼽혔던 맵이다. RespectVG(1:45~2:00)와 Namtar(2:15~2:30)의 파트가 가장 호평을 듣는 파트이다. Krazyman이 스트림 방송에서 RobTop에게 The Hell World, The Hell Zone과 동시에 이 맵에도 별을 붙이라고 부탁하였으나, 게임플레이가 별로라는 이유로 별을 붙이는 것을 거절했으나 이 맵이 처음 나온지 9달이 넘어서 3월말에 드디어 별이 붙었다. 포럼에 올라온 것은 거의 4달만이다. 국내에서는 HaNsUpZ가 60hz로 한국최초로 클리어했다. 원래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 중 하나였으나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위 영상에서 1분 24초쯤에 배가 한 바퀴 돌아간다[318]

    2021년 5월 24일날에 갑자기 극버프가 되었다! 그러나 다음날에 롤백이 된듯 하다.

    여담이지만, 24% 볼 파트에서 볼에서 미니 큐브로 넘어갈 때 안 넘어가지고 그대로 죽어버리는 버그가 있다! [319][320] 하지만 미니 큐브에서 듀얼 큐브로 바뀐 뒤에 홀드를 하지 않고 때었다가 다시 누르면 24%에서 무사히 지나갈 수 있다.

    그리고 이 맵을 해석하면 전복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321]

    2.2 업데이트 이후로 10% 부분이 거의 불가능해졌으나 업데이트를 통해 가능하도록 바뀌었다. [322]
  83. Tech Manifest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Tech Manifestation - by PleoSlim & MakFeed, verified by Dolphy
  84. Mazem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zemory - by McCoco & more[323]
  85. Napalm
    [ 내용 펼치기 · 접기 ]
    Napalm - Marwec and more[324], verified by Luqualizer
  86. Instant Execu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stant Execution by TheGamerPiggy and more[325], published by Plexidit, verified by HequinoX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7. Wacky McWhackface v2
    [ 내용 펼치기 · 접기 ]
    Wacky McWhackface v2 - by Szilu, verified by MrSpaghetti
  88. Vanish
    [ 내용 펼치기 · 접기 ]
    Vanish - by SeoRo & more[326], verified by Baeru
  89. Pro Lov Ad
    [ 내용 펼치기 · 접기 ]
    Pro Lov Ad - by Wyntaee
  9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Lost Existenc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Reaper Lai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Falling Up
    [ 내용 펼치기 · 접기 ]
    Falling Up - Krazyman50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유명 크리에이터 Krazyman50을 대표하는 맵 중 하나이다. 굉장히 오랜 기간동안 인세인 데몬이었지만, 인세인 데몬치고 손에 꼽을 정도로 어려워서[327] 익스트림 데몬으로 격상되었다. 물론 익스트림 데몬들 중에서 매우 쉬운 맵 중 하나로 꼽힌다.

    이 맵으로 인해 Hinkik - Time LeaperHinkik[328]의 모든 곡들의 열풍이 돌기 시작했고, 이 브금으로 맵이 양산되었다. 이 때문인지 Krazyman은 그 후로 맵을 업로드하기 전에는 브금을 공개하지 않기로 했지만 Black Blizzard의 노래가 그만 공개되어 버렸다. 이후 Creo도 매우 유명해졌다.

    Cyanox라는 유저가 99%에서 죽은 적이 있다.

    초반 큐브모드는 타이밍에 맞추어 공점을 밟아야 하는데 이게 꽤 까다롭다. 후 하이라이트의 비행모드에서 1자비행이 계속 나오니 조심하자. 그 뒤에도 좁은 일반-소형 웨이브 구간과 마지막 듀얼, 특히 비대칭 듀얼 비행모드로 한 곳을 지나가야 하는 부분의 타이밍이 어려우므로 각별히 조심해서 지나가자.
    여담으로 Etzer라는 유저가 이 브금을 부르는 영상이 있는데, 정말 기이하고 괴상한 비명을 지르며 부르는 게 포인트. 듣기. 목 나갈듯 하여튼 그가 부른 이 브금이 매우 유명해져서 이 입브금을 스피커로 틀고 밖에 돌아다니는 걸 찍은 영상도 있다(...).. 민폐 Etzer은 그 외에도 Yatagarasu, 8o 등 각종 맵을 입브금으로 괴상하게 소화했다.
  93. PLUS ULT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Dilig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KINGSLAY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KINGSLAYER - by MothEye, verified by Baeru
  96. rever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NIGHTLIGH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NIGHTLIGHTS - by ryli06 & more[329]
  98. Dark Odyssey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Reanim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animate - by ilnm & more[330], verified by Nexus
  100. TORNADO
    [ 내용 펼치기 · 접기 ]
    TORNADO - by BIANOX & more[331], verified by SpeedyMuffin

3.7. 751위 ~ 850위[편집]

  1. Stellalu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I NEVER D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Vaca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FinK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THIS CITY L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IS CITY LIT - by truongwf, verified by BONN GD
  6. HURRICA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EX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Enlightened memor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Enlightened memories - by nyseoul, verified by AbraXas96
  9. Reten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tention by WOOGI1411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국인 크리에이터 유저 Woogi의 가장 어려운 데몬맵. 초반부터 어려운 컨트롤을 자랑하고 특히 중반부 로봇+UFO, 볼+웨이브, 로봇+큐브, 로봇+볼, 큐브+비행기 등의 비대칭 듀얼모든 모드들로 비대칭듀얼 만들기세과 암기 부분이 이 맵의 난이도를 말해준다. 원래는 더 어려웠으나 깰 시간이 없어 하향한 후 업로드했다고 한다.
    하향 전 버전: https://www.youtube.com/watch?v=MtpryvI8jME 하향 전 버전을 보면 듀얼 모드가 훨씬 맵이 복잡하고 그 외에도 비행기,로봇 등의 간격이 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 버전을 한국인 유저 Xeon이 클리어하였다. 그의 말에 따르면 이 버전은 Niflhiem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클리어자 수는 235명. 우리나라 유저도 많다.
    레이팅은 인세인 데몬이었는데,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와야 한다는 사람이 꽤 있었다. 그리고 익스트림 데몬으로 결국 승격되었다...가 다시 인세인 데몬으로 내려갔다...가 또 다시 익스트림 데몬으로 올라갔다.

    Glowy의 포럼 등재로 포럼에서 내려왔다가 51위 이후로 포럼이 연장되면서 부활했다.

    여담으로 144hz 플레이어들이 고생한 레벨들 중 하나. 레벨 중후반에서 버그 때문에 죽는 일이 몇 번 있다고. 아성 자체는 Krazyman50의 Heartbeat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이긴 하지만[332] 그래도 은근히 이런 면에서 두드러지는 레벨들 중 하나.
    전체적으로 좁은 비행보다는 타이밍을 좀더 요구하는 포럼데몬이기 때문에, 모바일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은 데몬이기도 하다. Soulcontrol, Tiguru, Teamless, Lebi, SarTiZ, Geometry dash park 라는 국내 유저 6인이 폰으로 클리어한 바 있다. 또 Poongsangae 라는 유저는 폰으로 92%를 먹었다....가 결국 클리어에 성공했다.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LunarSIMG라는 국내 유저도 폰으로 클리어하였다.
  10. Snowdrif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CYCL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CYCLONE by HelpegasuS and more[333], published by Bianox, verified by Zeroya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Just D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Just DANCE - Texic and more, verified by Kapinapi, published by Texic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0년 11월 16일에 Furious Flame의 핵업뎃으로, 레거시로 추락해 다시 익스텐드로 갔지만...2020년 11월 17일에 원상복구가 되어 다시 레거시로 떨어졌다. 그다음 2020년 12월 4일에 Inflective가 레거시로 떨어져 다시 익스텐드로 올라갔지만(...) Glacial Torrent가 141위로 등재되어 다시 레거시로 떨어졌다.(...) 주식 지메대 버전

    2020년 12월 9일경, 이맵에 밸런스 패치를 했는데, 대부분의 파트가 너프가 되었다. 물론 버프한 파트가 있지만, 그마저도 미미한 버프이기에 사실상 너프다.[334]

    2020년 11월 20일경, 1tzBee라는 유저가 60hz로 클리어했다.[335]
  13. UltraSa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UltraSans by PlebKingdom, verified by Krma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시절 레벨 UltraSonic를 상향하고 샌즈 아트를 추가한 레벨이다.
  14. Alcatraz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Ferrum Frenzy
    [ 내용 펼치기 · 접기 ]
    Ferrum Frenzy - by Xinpa & more[336], verified by Miro
  16. Project al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Project alter - by soumpeixe
  17. Yggdrasil
    [ 내용 펼치기 · 접기 ]
    Yggdrasil - by Vismuth & more[337], verified by Koreaqwer
  18. Generic Glow Le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Generic Glow Level - by Df0rDie & Optation, verified by SennaGD
  19. Neon Gu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Neon Guts - by doneitboye, verified by Ballcat
  20. dorad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Polish Alphab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Polish Alphabet by Ezel142 and more[338], published by Anime Animator, verified by BlazeD77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2. Falsch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Marlboro reds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rlboro reds - by xSlendy, verified by Lingherr
  24. JeonGi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Realter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puls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The Flawl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Flawless - by atheoz and more[339], published by IIIRyanIII, verified by ButterFish1413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TrusTa에 의해 Verify된 합작맵. 처음 등록된 당시엔 Cataclysm보다 순위가 낮았으나[340] 여러차례 재평가로 인해 많은 맵들을 제쳤다 다른 맵들의 등장으로 떨어지고 하면서 결국 205위로 떨어져 자연스레 레거시로 강등되었다. The Hell Factory와 Yatagarasu에 영감을 받은 듯하다. 30여 명이 클리어하였다.[341]
    초반에 매우 어려운 소형 웨이브 구간으로부터 시작해 대부분 비행기 모드가 반복된다. 그런데 이 비행기 구간들이 Bloodbath의 Crack 파트 정도로 매우 어렵다. 그래서 스트레이트 비행기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쥐약인 맵. 노래가 더 사악하다.

    가장 어려운 인세인 데몬이었으나, 다시 Extreme Demon으로 돌아왔다.

    여담으로 흔치 않게 코인 3개가 모두 맵 끝에 공짜로 주는 맵이다.[342]

    2020년 12월 4일 버그랑 데코를 고치고, 코인 루트를 추가했다.
  28. Sky tech
    [ 내용 펼치기 · 접기 ]
    Sky tech by Licentious and Giron, verified and published by Giron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꽤나 어려운 인세인 데몬이었고, 2019년 1월 뜬끔없이 맵의 모든 오브젝트가 사라진 적이 있었다. 하지만 곧이어 다시 업데이트되었고, 하드데몬으로 내려갔다가 인세인데몬으로 복귀되었다.[343]
    2019년 2월 11일 기준 포럼 99위였다. 하지만 결국 Legacy로 떨어졌다.
  29. Our Founta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Our Fountain - by LP44, verified by Rynoxious
  30. XxXxXxXxXxX
    [ 내용 펼치기 · 접기 ]
    XxXxXxXxXxX - by awesomeme360, verified by MasterOfDonkeys
  31. M A N I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M A N I X - by Manix648 and KrmaL, verified by KrmaL
  32. Frenzy
    [ 내용 펼치기 · 접기 ]
    Frenzy - by Whippie37
  33. Broken Sign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Broken Signal - by Grax
  34. Dismal Duststo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Dismal Duststorm - by Multiverse55
  35. DEAD OF 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DEAD OF NIGHT - by Split72, verified by zoidy
  36. Uplink
    [ 내용 펼치기 · 접기 ]
    Uplink - by SkylarkyXD
  37. Outside Eyes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Outside Eyesight - by OliXor
  38. TANTR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Rayovac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Lights Ou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Allegi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llegiance by nikroplays, verified by EndLeve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Dedication이란 레벨의 후속작으로 제작된 NikroPlays의 개인 맵이다. 인기있는 2.0 데몬맵 중 하나로 뛰어난 게임플레이와 디자인, 적절한 난이도로 인하여 대표적인 첫익데 추천맵으로 꼽힌다.

    사용된 곡은 The Living Tombstone의 I Got No Time이다.

    이 맵은 원래 너무 어려워서 너프되었는데, 너프되기 전 버전은 Yatagarasu보다도 어렵다고 한다. 그러나 너프를 BOJ 이상으로 먹으면서 Uprise 아래까지 추락하였다.[344] 그 버전은 비행부분과 웨이브 부분의 화면이 대부분 가려진 상태로 진행된다. 극악한 1칸웨이브의 타이밍과 결합에 미친 난이도를 보여주고 드롭파트후에 나오는 로봇모드가 한칸비행으로 바뀌며 나비모드도 Yatagarasu에서 Hinds의 나비모드만큼 어렵다.

    여담으로 Rlol이 Verify한 후 몇 달 동안 별을 못받다가 Surv가 영상을 올린 바로 다음 날 데몬을 먹었다. 그것은 Surv가 지오메트리 대시의 Mod[345]중에 하나이기 때문이다. 별을 받은 후 NikroPlays가 목소리가 없는 버젼으로 노래를 바꿨다가 EndLevel이 노래에 목소리가 나오는 버전으로 다시 Verify했다.
    난이도 재평가로 Cataclysm을 이겼었으나 2.1 업데이트 후 공점 판정범위가 넓어져 6% 부근이 하향되었고, 이에 따라 순위가 Cataclysm 밑인 47위로 내려왔었는데 어느새 Cataclysm이 50위권 밖으로 떨어져있다.. 현재는 다른 데몬맵들의 등장으로 119위.
    2.1 하향버전 : https://youtu.be/NTY6IUPwICQ

    국내에서 HaNsUpZ가 최초로 클리어했고 LIFE, rainstorm이 클리어, 그리고 또다른 한국유저 Yoshinodash와 Kurai Yonaka와 Xylitol이 60hz로 클리어하였다.
    세계 최초로 StilIuetto가 모바일로 클리어했고, 국내 모바일 유저 Soulcontrol은 로우디테일 버전을 버프해 클리어했다.
    2018년 3월 21일에 무명 유저 latent도 클리어했다. https://youtu.be/pgDbBHuZ31s
    2024년 5월 31일 또 다른 무명 유저 Wowwed가 120hz로 7일만에 클리어하였다.[346]영상 이로써 한국 포럼 기준 한국인 모바일 Allegiance 클리어자가 9명이 됐다.

    현재는 Renevant라는 후속작이 제작되었고 별도 받았다.
  42. Ogu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Torgu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ABSURD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ABSURDIA - by BowTie and more[347], verified by Zeronium
  45. OXI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Duplic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Virtual Collap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Twitch Den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Hidden in the Sa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Beyond the summ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Awakening Hor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Awakening Horus by Xingtik and Juhou, verified by Luqualizer, published by Juho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신인 크리에이터이자[348] 크리에이터 포인트가 하나도 없는 유저 Juhou의 개인맵. 크리에이터 포인트가 전혀 없는 유저가 만들었다고 하기에 믿기지 않는 퀄리티를 자랑한다. 베리파이어인 Luqualizer는 Juhou가 극히 재능있는 크리에이터라고 칭찬했고, Fluffy Ninja 등의 유저는 이 맵을 2.1 최고의 맵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난이도는 최초 클리어자 Wooshi999의 경우 Insane Demon에서 Extreme Demon이라고 한다. Wooshi나 Freaklin 등의 유저들도 97%에서 1번 이상은 죽은만큼 97%가 마의 구간인 듯하다. 그 외에도 후반 10%의 난이도가 매우 끔찍하다는 반응도 있다.
    별을 오랫동안 받지 못했는데, 이에 대해서 Juhou는 RobTop이 뭔가 자신에게 별을 안 붙여주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고, 대다수의 유저들이 롭탑을 비판했지만 2월 초, 결국 별이 붙고 포럼에도 등재되었다!
    2월 13일 jbmoon이라는 유저가 한국최초로 이 맵을 클리어하였다.
  52. La Lloro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La Llorona - by cherryteam and more[349], verified by Nexus
  53. imitation ga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imitation game - tirednwired
  54. Ak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Red Mo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d Moon - by Tinraz
  56. CITYFA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CITYFADE - by MaxxoRMeN, verified by ImMaxX1
  57. ZOOOOOOOOOOOOOOOO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ZOOOOOOOOOOOOOOOOOOM - by awesomeme360, verified by Rqd
  58. FISH FISH GODMO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FISH FISH GODMODE - by whoiskeve, verified by skzyl
  59. Shotg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Cosmorush 21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The Ultimate Dem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MELT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Malware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lware II - by Enlex & more[350]
  64. Last St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Zettaby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Zettabyte by Jenkins G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6. INFLAMMABLE INFU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FLAMMABLE INFUSION - by vonic, verified by bunch
  67. CICADA3302
    [ 내용 펼치기 · 접기 ]
    CICADA3302 - by Darwin, verified by Nexus

    유명 유저 Nexus가 베리파이한 맵. 원곡의 길이 때문인지 길이가 무려 7분이 넘어간다! 그러나 그만큼 순간난이도는 인데 중상위권 급이다. 레이아웃을 배경으로 한 맵이지만[351] 이펙트 등이 훌륭하기 때문에 에픽까지 받게 되었다.
    2023년 11월 11일, 베리파이 영상이 올라왔다.
  68. Fishe
    [ 내용 펼치기 · 접기 ]
    Fishe - by SouljaBoyCrankD and DerpOverlord, verified by knoeppel
  69. Castl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Raind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Raindance by Anime Animator and more[352], published by Milos482, verified by Kapinap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1. night par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Night Party by RLOL and more[353], verified and published by RLOL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lol이 지메를 접으며 마지막으로 주최한 28인 메가콜라보이자 수많은 유명 크리에이터들이 참가한 콜라보맵이며, Rlol의 마지막 맵이다.
    28인이 합작하여 만든 만큼 한 명 한 명의 파트가 매우 빠르게 지나간다. 한 파트가 4~6초 남짓 할 정도.
  72. Vignet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aeth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Void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Light Tra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Booh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Daybreak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eometry Dash/온라인 레벨/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HyperSoni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9. Psycho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Psychotic - by ch4rlie03
  80. Air Tech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Robi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Miscellaneous Mem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Redemp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demption - by llZestll
  84. it back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four
    [ 내용 펼치기 · 접기 ]
    four - by Turtl123
  86. Tessera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SIGSEGV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V O L L E Y
    [ 내용 펼치기 · 접기 ]
    V O L L E Y - by IcyWindy, verified by Zeronium
  89. Prote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encroaching dark
    [ 내용 펼치기 · 접기 ]
    encroaching dark - by e3ea
  91. Dream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Hydr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Hydratic - by MaxyLAND & more[354], verified by MrSpaghetti
  93. Doop
    [ 내용 펼치기 · 접기 ]
    Doop - by Metalface221 & more[355], verified and published by WormFodder
  94. Komodo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Red Wor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d World
    by Sary & NePtunE, verified by SrGuillester
    캡션

    saRy is third long map. Design by Neptune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복사 불가
    2374518
    1분 30초
    ?
    1.9
    공식 포럼 최고 순위
    #?
    난이도
    Extreme Demon


    원래는 불가능 맵으로 여겨졌으나, 현재 상향평준화가 된 현재는 익데 최하위권 맵중 하나가 되버렸다. 초반 30퍼까지는 이게 익데는 커녕 인데가 맞나 싶을 정도로 쉬우며, 그 뒤로도 인데 급으로 쉽다. 그러나 마지막 부분은 매우 어려워서 소고기를 먹을수 있으니 주의. Riot이 이 맵을 리메이크한 Red World Rebirth를 만들었다.
  96. 8o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8o X - F3lixsram & Yakimaru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1.9 최고의 맵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 인세인데몬 8o의 리메이크 맵이다. 하지만 게임플레이가 평범해 호불호가 꽤 갈리기도 하다.
  97. verisimilitu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Obsc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robotchief expos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Maths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ths - by oleki

3.8. 851위 ~ 950위[편집]

  1. Corro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Corrosion - by Killa and more[356]
  2. SHURIMA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Insa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saction - Published by ByBoy 11, Created by Axdrel and more[357], Verified by IIDustikII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ILOVECY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ILOVECYAN - by AVRG, verified by iRaily
  5. Party Rock Anthem
    [ 내용 펼치기 · 접기 ]
    Party Rock Anthem - by AWESOMEME360, verified by Frunk
  6. oGo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TerrorC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TerrorCore - by loogiah & MaJackO, verified by Brandon Larkin

    loogiah와 MajackO의 합작이자 MajackO의 복귀작. 코어 스타일로 만든 레벨이다.
  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ataclysm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Forbidden Is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The Tears Benea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Tears Beneath - by IFFFFFFFFFFFF
  11. Clock tow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Turnt Temp
    [ 내용 펼치기 · 접기 ]
    Turnt Temp - by Bibox & more[358], verified by GD mrperson
  13. geography dash
    [ 내용 펼치기 · 접기 ]
    geography dash - by MWZN
  14. Aimbotter For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imbotter Force - by Aimbotter2123
  15. Freedom16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in can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Empanadas Fugac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Empanadas Fugaces - by Looou & more[359], verified by Dorami


    원래 인세인 데몬이었으나, 후반부의 거미모드가 버프되고 익데로 등단. 58%의 미쳐버린 웨이브만 없었더라면 아무리 잘 쳐줘도 하드데몬 상위권일 정도로 파트별 난이도 차가 심하다.
  18. Disrup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Disruption - by Ka1sa, verified by lucy
  19. phantasmagor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phantasmagoria - by whlt
  20. Penomb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Dec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Make it funky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ke it funky - by Darcii
  23. smohc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Night Lif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lezicuv
    [ 내용 펼치기 · 접기 ]
    lezicuv - by Step4enko, verified by Kevelia
  26. ReVolution Unleash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Volution Unleashed - by WayAway04, verified by Nickname
  27. Magnum Op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Ero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Mind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Mind Machine - by Aimbotter2123
  30. Reverie
    [ 내용 펼치기 · 접기 ]
    Reverie - by GaidenHertuny & more[360], verified by Technical
  31. Plasm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Ble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Dragon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Cold Level Go BRRRR
    [ 내용 펼치기 · 접기 ]
    Cold Level Go BRRRR - by MrSupremeGD, verified by Smiffy777
  36. Overdo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Incipi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cipient by Jenkins GD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무명 크리에이터 Jenkins GD의 단독맵으로 노래 중간중간마다 가사가 오브젝트로 나오는 맵이다. 계속 뒤에서 용암이 따라오고 오브젝트들도 좁게 배치되어있어 플레이어로 하여금 압박감을 주게 하는 게임플레이가 특징이다. 퀄리티도 꽤나 특이해서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나온지 한참이 되어서야 포럼에 등록되었다. 한동안 인세인 데몬이었다가 결국 익스트림 데몬으로 승격되었다.
    그 중에서도 좋아요 개수로 최하위권에 위치해있다.(더이상 아니다.) 이 맵을 아는 유저들은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등을 호평하며 왜이렇게 유명하지 않은지 의아해하기도 했다. ViPriN의 8번째 무명 크리에이터 콘테스트 4위를 하기도 했다.[361]

    난이도에 대해 의견이 살짝 갈리는 데몬인데, 사람에 따라 초반이 후반보다 어렵다거나, 익스트림 데몬에 올라갈 정도는 아니라는 등의 의견이 있다. 물론 그걸 감안하더라도 인세인 데몬에선 최상위권 정도는 먹고 들어가는 편.

    현재 클리어자는 Pablohh가 최초로 클리어하고 그 후 한국 유명 플레이어 Dorami두번째로 클리어했다.[362] 그리고 며칠 뒤, 노력파 유저Angelbaton도 클리어했다.[363]
    2018년 5월 3일에는 무명 유저 Latent가 813어템만에 클리어하였다. https://youtu.be/nT78L6d0qn4
    2023년 10월 8일에는 PiaNoMen이 144hz 모바일로 클리어하였다. https://youtu.be/KOvixUB5TOg?si=IfXLmnsgv3GJRgwD
    여담으로 한국인 클리어자가 아주 많은 데몬 중 하나다. 2018년 5월에는 한국인 클리어자가 무려 13명이 나올 정도.

    재미있는 게임플레이와 호평받는 디자인 등으로 현재까지도 Heat Wave와 더불어서 한국인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익데 원탑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38. Theory of Visible v3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Gammar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GAME SWITCH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Destruction of God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Cerebral Torm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Make It Drop
    [ 내용 펼치기 · 접기 ]
    Make It Drop - by ryamu & more[364], verified by Dorami
  44. Final Epilogue
    [ 내용 펼치기 · 접기 ]
    Final Epilogue - Pennutoh, Verified by Failure444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ennutoh가 제작하고 Failure444가 베리파이한 맵이다. 다양한 맵들을 한데 모아둔 디자인이 특징이다. Bryan의 Obscurum을 생각하면 편하다.
  45. Devils Disco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Misty Mountai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Phantasmagor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Borea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Artificial Climb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Brimtanic Paradi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Brimtanic Paradise - by zYuko, verified by Colorbolt
  51. Destination 19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Mo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Unknown Civiliz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Clover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Precipit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Supernova
    [ 내용 펼치기 · 접기 ]
    Supernova - by royen & more[365], verified by zymurin
  57. Overlo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Lost Lo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Flappy Dynamix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Flappy Dynamix II - by RadiationV2, verified by NoobLookingPro
  60. 9blu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blue - by Sardina & NikVer, verified by Ulybochky
  61. IDOL19
    [ 내용 펼치기 · 접기 ]
    IDOL19 - by Youknowwhogd, verified by DoSh7t
  62. Upri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Uprise - Blad3M & Menkatjezzz, verified by iNeo
  63. Anya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Azuri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Bangara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Sweater Weath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Sweater Weather - by VelYT, verified by Xfire
  67. STRAT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EdenC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High Hea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Agar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troll le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Kno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Hateflay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Artificial Calam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Invisible Dead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moeny m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Creeper For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UNLEASH WHALE WHA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UNLEASH WHALE WHALES - by EidamGD & more, verified by kovosrutek
  79. Prison Skyn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Desolate Vo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Isotop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My Little Garden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Edens Bless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Chime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Clar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Clarity - by Hypno74
  86. 0 mi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0 mind - by iMinAY, verified by sardxx
  87. Voluto
    [ 내용 펼치기 · 접기 ]
    Voluto - by Sruj & more[366], verified by devastation19
  88. FIREPOWER (Kapycta999)
    [ 내용 펼치기 · 접기 ]
    FIREPOWER - by Kapycta999 and more, verified by NikVer
  89. Paralys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Ainoseikatsu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Acu
    [ 내용 펼치기 · 접기 ]
    Acu by Neigefeu

    Neigefeu가 만든 익스트림 데몬. 현재 지오메트리대시 계에서는 매우 쉬운 익데중 하나로 자리잡은 레벨이다. 전체적으로 싱크가 잘 맞는 게임플레이와 잘 잡힌 밸런스, 에픽을 받을 정도의 탁월한 모던 디자인 등으로 플레이하기 좋은 레벨이다. 쉬운 익데중에서는 게임플레이가 제일 좋기 때문에 첫 익데로도 가장 많이 이용된다. Encube 등의 비공식 후속작들도 있다.

    2020년 4월 23일, Neigefeu가 18,361번의 시도 끝에 직접 베리파이했다.
  92. niwa
    [ 내용 펼치기 · 접기 ]
    niwa
    niwa - by Blaze and more[367]
    캡션

    niwa 1.1 - Kuzureta revamp - verified by nicor77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버전
    X
    87425029
    1분 3초(Long)
    65535
    2.1
    aredl 포럼 순위
    #970[368]
    난이도
    Extreme Demon

    Geometry DashExtreme Demon 레벨. 초보자들에게는 첫익데로 Acu, Cataclysm, Allegiance, Hypersonic과 함께 뽑히는 맵중 하나다.
  93. Backligh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Backlights - by Kodex360 & more[369], verified by LunarSpark
  94. Pentaki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Pentakill - by WOOGI1411 & Xaro, verified by Snowr33de
  95. GLISTEN
    [ 내용 펼치기 · 접기 ]
    GLISTEN - by Squizaaard & more[370], verified by s3batr0nic
  96. niflh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downpou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White Alb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White Album - by JAVP
  99. Prism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Prismatic - by CatGeo
  10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CE Carbon Diablo X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951위 ~ 1050위[편집]

  1. Frizzantino Vib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Have a Drink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the super hotdog
    [ 내용 펼치기 · 접기 ]
    the super hotdog - by awesomeme360
  4. Mystic Bounds
    [ 내용 펼치기 · 접기 ]
    Mystic Bounds - by gmdmann
  5. meow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Switch My Siz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Kurumi C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Entwined R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delu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Intergalac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Galatic Fragil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mdnghtmlnchly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Familiar S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Death Intercep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Pictured as Perfe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Chaew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Uni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After Cataba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Falling Star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BLACKLIGH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BLACKLIGHTS - by whlt & more[371], verified by Zeronium
  21. Superstri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Cosmic Calam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flap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tbh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Bare minim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Inje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Karm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ORBJE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Electroso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Osir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Torrential Sto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Photovolta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Daily Lunch Speci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Zaphes Back Ya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RedZ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NecroDyna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memories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Dark RainBow Rebir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Galaxy 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chancl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Abandoned Kingd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Infinite Circles V2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Eternal St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Vostok 12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rg09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Linear La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IMPUL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Effe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FXRE PXW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dism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Take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Sephiroth Ult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Arcade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Memory for Dumm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New Superso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Excessive Complim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Val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Kyrie Eleis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Devils Lair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Spearmi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MAGIC TOUCH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THORNS and BRAMB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Red Horiz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Boom Shakalak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Hot Coffee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bel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Undergr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Tanger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Maverick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Cloud N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Forbidden sect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RAM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Sepht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Auroral Bl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Dreamfull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CMYK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Little Kid Big Wor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Thanatophob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Basic after Bas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Delirium Treme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Delirium Tremens - by Vadi & Drewch, verified by Drewch
  81. KETAM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Hallucin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Two Faced Agon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Mucho Fuego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MOTHMELO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Doom Bla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A new Catacly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Grimoire Heart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Ul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SATURATION POI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Midori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UNDERGR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Dustmunch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Ricochet Lo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PPPPPPPPPPPPPPPPIX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96. Elysian Aeg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Quest for Perfe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Cyber Cha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Crimson Clut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Nine CircleX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0. 1051위 ~ 1150위[편집]

  1. Infern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Proxima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Solar Eclip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Surge of Creatio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Demonic Ba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Aff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Optic Dayd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Gensouteki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hi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Plasma Pulse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Coke Mas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kidsmo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Pursu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Wander of thou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Light Year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In Cargi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The Mines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Nelis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Subterranean Animi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Free For A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AAAAAAAAAAAAAAAAAAA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spidin ar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Such a Bad W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Madn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Gust D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The Bande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Es Dilar N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TM18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Deimacr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TAUR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CraZy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InTerFeR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TerFeRenCe - by LiquidoxGMD and more[372]
  33. H B F 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Barbar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A Silly Lif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Leikhpaz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Big Bass Bou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SUBJ3CT3STR00M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Lunatic Doom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Labyrinth 2009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Swa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Planet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Spectral Tent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Enc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The World Caves 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Dragon Daz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Leikhpaz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Gunslinga Corrid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Temple of Destin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Magnet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shoebi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Instantaneo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Switchbla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Grizzl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Virtual Stigmata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UltraSo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Rewi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Mecha interf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InfernopleX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Circuit 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INSAN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Future Funk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KillerZ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Continu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Future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Ultraviol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Wolfstep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Giorgilorio Drif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Voksi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Osci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eggo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Level Up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Fib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Astronomical Alchem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Bad Trip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Who I Know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DawnRoad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DeltaNov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Achondri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Asymmet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Leyak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INTERFER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InTerFeRenCe - by LiquidoxGMD and more[373]
  83. Penumb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Beas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Rearm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Flat Maj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Toxic R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Endless Corrid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Tesla Sweatshop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Delightful Blossom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Apollo 13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Energiz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Turbo Overdr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Shape Of The S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Atmosphe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Atmosphere - By Wombat and more[374], published by VoidSquad, verified by BrianTheBurger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VoidSquad의 합작맵이다. 2017년 6월 30일, Wombat의 채널에서 Atmosphere의 트레일러가 올라왔다. 참고. 지금 완성된 모습과는 달리 많은 합작 인원이 바뀌었으며 베리파이어도 바뀌어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현재 베리파이어는 BrianTheBurger이며, 2018년 2월 23일에 베리파이에 성공함과 동시에 이 맵이 세계적으로 공개하였다.

    세계 최초로 Epsilonic라는 유저가 클리어 하였으며, SP ValuE라는 유저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하였다. 또 한국 유저 SuperSNSD R가 81%에서 한 번에 성공했다.
  96. Bolzano Sud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Synthetic Sequ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DoraNeD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8E8E8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FE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1. 1151위 ~ 1250위[편집]

  1. DVP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lande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X Advent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Catastroph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arcane asc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Deadlocked v3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Sword D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Lumin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Lock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Narvik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ToE IV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klupa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Geminor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MadHou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Purple Kingd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lost myself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Infinite Decimal Pi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Kernel Trap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Submersed Sto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love bab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FRACTUR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Underg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Milksha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Necropol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Clover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Antique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Slowing 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Vent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BuTiTi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Psychedelic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Cluster Du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Roar of 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Az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Project Reun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Demon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Stal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Sacred Batt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Luminesc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Ze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MikuMikuMikuMiku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Elements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Dysphor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SATANS PUR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ICE Carbon Zu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Clubstep Rebor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Project Inferno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Off The Hook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Sonic Wave Unlimit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9The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Buff Th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The JanuS Mirac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The Secret Box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Black Tourmal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Fusion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Sequ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581C0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Bit Reap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Dead Shaw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Elevat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Spin Right R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PRIS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Chaotic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QQQQQQQQQQQQQQQQQQQQ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Furffo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goober z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Soul K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Rock n Ro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Colorful Over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Sadi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Dark Tra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Ice c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ReRU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Ruined Journe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Sparklic Oce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I Wanna Tell Y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Superso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SuperSanik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Out of Mi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Zpace invaderZ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GUMSHOT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Beyond The Nat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Lost Cryo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Sunny Happin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sound journe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Astral Nebula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FaifBa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SMITHEREE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Vo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XYZ Step Infin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hate wonduu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Still Blast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puls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Acropol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Theory of Alchemy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ClubStep Nightmar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6. alika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FY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ENCO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Big B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DEVILGIRL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2. 1251위 ~ 1350위[편집]

  1. Persist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Than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ro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Blue Rev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GW Milky W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Whatchamacall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Explosion Noi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Irrup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uture demones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G For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Endorph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YMTHLYFYMBIKWHRLYF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Cosmic Salad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Supertask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prism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Prismatic - by CatGeo
  16. The Far Sky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Flush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Hellfire of Heave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Sector 1077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Abandoned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Fake A D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Fake A M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Fiery Convi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Legenda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El Dorado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PainStep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Midnight S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Body Jamm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After Im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Death 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Future On Track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Through The Aeth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Belh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theory of tro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Hellish Aspe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Nine Paw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R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8o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Trip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SOOO CRAZY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FluffnFloof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grindfu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War Of The World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Saw Of Destruction 2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Arca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Intric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free le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Theory of Xoan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Critical Fu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Apach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Hyper driver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Final Redux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SourCream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Swing Squa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Desespoir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Steel Fla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Forte Fresco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Fartu Masti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Kle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Expi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Swirling Fi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Conve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smarties preferabl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Maelstr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Valhall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rorriM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Lit Fu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Leminsc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ABSTRACT SEN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Ghost Hou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Velocity Verl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tellmewhyimwait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lem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Maria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Right 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pixel thingi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Heat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Firewa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Night Terror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Frozen Sp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Math 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Fool Moon Parano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Grand Pr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Pixel Thing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Rocket Jump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My 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DESTROY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FFFFFF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shy ski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Hate W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undefined
  91. Exploring Sp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Nuforh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The Blood R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CONK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Heartbeat
    [ 내용 펼치기 · 접기 ]
    Heartbeat - Published by Krazyman50, Designed by AncientAnubis & AirSwipe
    • 플레이 영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처음 올려서 리스트에 오를 당시는 18위로 저평가되었으나,[375] 어느 순간 14위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다른 극악맵들의 등장으로 아무 난이도 재평가도 없이 서서히 순위가 하락해 50위로 떨어졌다가 Quantum Processing의 등장으로 Extended 51위로 내려왔다..(...)
    Anubis와 AirSwipe이 디자인해줬다. 여담으로 비밀길같이 생긴 길이 있으나, 이 길은 따라서 가면 99%에서 죽는 낚시 비밀길이다. 영상.
    중반 비행기 구간이나 초중반과 후반 로봇 모드 등도 상당히 어렵지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중반의 웨이브 연타 부분과 초반 칼타이밍 부분. 중반 연타는 클릭이 딸리면 순식간에 죽어버리고, 초반 공점 칼타이밍은 워낙 타이밍이 지저분해 플레이하기 짜증나서 이 맵을 플레이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여담으로 한 유저거 144Hz로 이 맵을 플레이했을 때 99%가 불가능하다고 했었으나.... Krazyman50이 아니라고 영상을 올렸다. 최후반 마지막 공점 파트. 60hz에서는 무난하나 144hz에서는 타이밍이 워낙 극악하여 144hz 한정 통곡의 벽이다. 그래서 클리어하는 플레이어들은 주로 60hz 유저이거나 144hz 플레이어들이 60hz로 바꿔서 클리어. 물론 60hz 플레이어라고 그곳에서 안 죽는 건 아니다. 다만 Riot의 경우는 복사본에서 마지막 점프를 너프시켜 클리어했다.
  96. Archdem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Scardi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In trans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PogChamp Boss F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FuryDyna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3. 1351위 ~ 1450위[편집]

  1. Osaka Nigh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SuperNova
    [ 내용 펼치기 · 접기 ]
    Supernova - by royen & more[376], verified by zymurin
  3. mega tsunami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Revitaliz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A newborn st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An Expres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Hyperio Techn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Psystri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Ultrachrom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Demon Colle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Terror Ru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Cursed Nightma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Dream Tra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pointzero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Incandesc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Tropical Thund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Neon Breez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Amethyst Aura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Smek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Ofysbr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Coronavir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wil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DiabolicFor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speedestlev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Tox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Star Wor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Sagittari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SlaughterHou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Refulg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Technicol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Relap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IMOIST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IMOISTAR - by Fliqh, verified by Shween
  33. Make it Bet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Crash Ga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helen par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Cosmonaut 21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The Cataly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Apollo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Preda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Toxin Lab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Rainbow Euphor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Selvatic Rui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Spectral Decad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Final The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witn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Awkwa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Mitos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MultiChrom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Phosph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Ancestral Wor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Easter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Shiverbur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Shallow D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Light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Dream Ga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htmraW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OUR ILLUSIO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the rain still fall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Cursed Man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extreme cha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Mechanical Nightma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HOME47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Nokedlis Csir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Draft Dynamic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stardu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Sine Wav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Interstellar Infa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Audio Excur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Death No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Time tunn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2005landshark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Dual K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Schrodingers Gibb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whowhatwherewhenwh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Alphabet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MetalCore V2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Monopg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Blaze Up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Future K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Rebir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Supreme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Discip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Pyromaniac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Kuip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Stereo Demon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9Step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Pow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Purgat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DeltaFunk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Vitoux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Primary Maz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SETTLE FOR L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Ho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Ultimate Show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Gone to the st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6. Stereophonic System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xGARDENx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Azure Paralyz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Disconnect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Bit By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4. 1451위 ~ 1550위[편집]

  1. Castle Dede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Evil R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Smoothi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no concept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Spacial Rif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Sil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Carnot Eng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Crying Soul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Energetic Alloy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Raw Gibijium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The RealistiK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Scarlet Pul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Carp Min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Fishba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Forsaken Neon v2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poW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Frozen Jawbreak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effo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Twisted Vi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Puzzle trial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Game Ti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Super Mario 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Steel Ge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Artille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Legacy Dre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Shimmering Citadel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Melody of Violi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Crossroad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tsuk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FuryLock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Joyri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Pootis Eng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Trem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Herit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Ultimate Demon Mix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The Four Elemen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HyperDri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PURGAT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SpeedC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furyhe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Poeyeng Ae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i love lasag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CHROM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Zacaria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Hubert Jenki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Time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nolens vole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Sonic Chamb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Lmao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Rebell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x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Superior Seque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WeIrDmAgGeD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Land of Frog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Enlightenm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BreakthroughX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WONDER OF U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Shadow temp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Advent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Venge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Jeopardo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The Ga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10HEX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Kalame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Stalema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Plasma Pul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swiftn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rattlesna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9. 2 Exit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Peaks and Shriek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Blast Furn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MDRR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CRITIC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Toxic Thing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Calm Frenz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Digital Entropy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Another Challen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Diamo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19 step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GJNWSRN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Deimo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Luminavan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Rupt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Forlorn Advent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Evercharg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Extraterrestri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Drop Z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Rebirth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Freesty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Acri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Albatro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Serpent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Sleepl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The Caverns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colorgha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96. Nightma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good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FORERUNN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99. Lockin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Journey Into S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5. 1551위 ~ 1650위[편집]

  1. Elemental Ston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Majes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Storm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Knocking Bir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Electric Facilit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Actino Ri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Reed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sunset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sendox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Quantum For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Artemis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Diffu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Execute Phase 001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Soulles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Ligaments Crois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1929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salo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Sulfuric Acid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Spacelocked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Beast Mayhem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class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Magma Bou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Escape the Co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One North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EXG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Dualvip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SuperNova
    [ 내용 펼치기 · 접기 ]
    Supernova - by royen & more[377], verified by zymurin
  28. Poltergei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Classic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Kappa Boss F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watch the thr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Windy Landscap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Hallucinatio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Jajagarasu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Club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Overloa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Switchbla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WORSHIP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Mirror Tempe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Limit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Na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Dark Tid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BIG FLOPPA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Somnia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Inscap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Milkshake Draf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Njoru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zuttoma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BLRPL LGH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Vanquish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Calypso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SFW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Advance3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Epoch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Final Conflux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Protoplasm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bichromat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Horntail C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Rainfall I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EXPONENT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chaotic evil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Impet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Starlit Smog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Inane Dem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Monody Caver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Blood Men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Digital Shockwav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Corro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Corrosion - by Killa and more[378]
  69. Backroom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0. Ac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71. XYZ
    [ 내용 펼치기 · 접기 ]
  72. 64
    [ 내용 펼치기 · 접기 ]
  73. Hyper Spac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4. Em Khong Hieu
    [ 내용 펼치기 · 접기 ]
  75. Phas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76. Subsystem Scramb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77. PRAESTIG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78. Terminate Mold
    [ 내용 펼치기 · 접기 ]
  79. SynkhroDax
    [ 내용 펼치기 · 접기 ]
  80. StandOff
    [ 내용 펼치기 · 접기 ]
  81. Immortal Ich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82. DecepZ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83. Tr1pp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4. MONDBLUMEN
    [ 내용 펼치기 · 접기 ]
  85. Skywanderer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6. Sound Boon Mach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87. UFO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88. Hexagon Force v6
    [ 내용 펼치기 · 접기 ]
  89. Periodic Element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0. Mastermind
    [ 내용 펼치기 · 접기 ]
  91. In Limbo
    [ 내용 펼치기 · 접기 ]
  92. Terraphob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93. Psychos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4. 8E8E6
    [ 내용 펼치기 · 접기 ]
  95. Ti dichiaro fumato
    [ 내용 펼치기 · 접기 ]
  96. zirokabi
    [ 내용 펼치기 · 접기 ]
  97. Slight Hue Shift
    [ 내용 펼치기 · 접기 ]
  98. SHUTDOWN
    [ 내용 펼치기 · 접기 ]
    레벨 비밀번호
    레벨 ID
    레벨 길이
    오브젝트 수
    업로드 일자
    없음
    78164953
    1분 50초
    138954
    2022.02.17

    Shutdown - by OliSW, verified by MiniShoey
    Hot Chilly




    타 게임 FE2 Community Maps에 있는 맵들 중 하나인 "Shutdown"[379]을 모티브로 한, OliSW가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이다. 뛰어난 퀄리티로 난이도, 재미, 디자인 모두 잡은 맵이라는 호평을 받는다.

    2022년 2월 17일, MiniShoey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2년 3월 30일, 69위에 등재되었다.
  99. EVORS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0. Pulsa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6. 1651위 ~ 1750위[편집]

  1. Hibernal
    [ 내용 펼치기 · 접기 ]
  2. brisb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3. Fus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Frozo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 grego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 Buh
    [ 내용 펼치기 · 접기 ]
  7. Time Decay
    [ 내용 펼치기 · 접기 ]
  8. ANAMNES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9. EXHAUS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0. Efetis Belis
    [ 내용 펼치기 · 접기 ]
  11. Droppy
    [ 내용 펼치기 · 접기 ]
  12. One Dark N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13. Despai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4. Distorzona
    [ 내용 펼치기 · 접기 ]
  15. Noradrenaline
    [ 내용 펼치기 · 접기 ]
  16. Ke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7. Recrystalliz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18. Speed RaX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19. DAMA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0. Dora Mo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1. missing purpos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2. Magnolia
    [ 내용 펼치기 · 접기 ]
  23. RippLeZ
    [ 내용 펼치기 · 접기 ]
  24. Eternal Fla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5. Anya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26. Osanda Verdict
    [ 내용 펼치기 · 접기 ]
  27. MY SO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28. Handshake
    [ 내용 펼치기 · 접기 ]
  29. TENDO
    [ 내용 펼치기 · 접기 ]
  30. CraZy II
    [ 내용 펼치기 · 접기 ]
  31. Ultra Circle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2. Wake Up Call
    [ 내용 펼치기 · 접기 ]
  33. Explorers
    [ 내용 펼치기 · 접기 ]
  34. SkyBlast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35. Infrar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36. Mental Tortur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7. Ghost Temple
    [ 내용 펼치기 · 접기 ]
  38. 10
    [ 내용 펼치기 · 접기 ]
  39. Forsaken X
    [ 내용 펼치기 · 접기 ]
  40. The Moonlight
    [ 내용 펼치기 · 접기 ]
  41. Love Syndrome
    [ 내용 펼치기 · 접기 ]
  42. Hellish Melody
    [ 내용 펼치기 · 접기 ]
  43. The Furious
    [ 내용 펼치기 · 접기 ]
  44. Hyped Up
    [ 내용 펼치기 · 접기 ]
  45. Pinball Panic
    [ 내용 펼치기 · 접기 ]
  46. Adrenaline Chambe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7. dooMEd
    [ 내용 펼치기 · 접기 ]
  48. Sharp Min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49. Popcor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0. Decimati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1. BUZ BAM
    [ 내용 펼치기 · 접기 ]
  52. Anarchy Roa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3. THEVOICESARECOM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54. severe head injury
    [ 내용 펼치기 · 접기 ]
  55. Cake By The Ocean
    [ 내용 펼치기 · 접기 ]
  56. LOUD
    [ 내용 펼치기 · 접기 ]
  57. Fortitude
    [ 내용 펼치기 · 접기 ]
  58. Black Mirror
    [ 내용 펼치기 · 접기 ]
  59. vigilant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0. Brightest Melody
    [ 내용 펼치기 · 접기 ]
  61. I Cant Fix You
    [ 내용 펼치기 · 접기 ]
  62. Quantum Variations
    [ 내용 펼치기 · 접기 ]
  63. NOEM
    [ 내용 펼치기 · 접기 ]
  64. kaleidoscop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5. Dripr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66. Spectral Edge
    [ 내용 펼치기 · 접기 ]
  67. The Typhoon
    [ 내용 펼치기 · 접기 ]
  68. Bloom
    [ 내용 펼치기 · 접기 ]

4. 관련 문서[편집]


【 각주 펼치기·접기 】
[1] 여기서 리스트는 Pointercrate의 Top 150을 뜻한다.[2] NLW 리스트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3] Havok, Lumpy, Eggnog, flashmick72, Genericqueso, nwolc, Lqah, Tricks33[4] Antares, Fexus, noice, Cersia, Crystal PG, DarkGhostX, Logiking, Brittank[5] para, Metalface221, Smokes, syna, goob, Endlevel, Enixy, silver, ewop[6] LmAnubis(Designed by Onnikonna), Riot & Zhander(Designed by Ale), Zobros(Designed by Voltex & Nyamlock), Surv(Designed by OSIRIS GD), Sunix(Designed by Juhou), Mactanow(Designed by JoshenJol), KrmaL(Designed by Arctica), TrusTa(Designed by Goose), Knobbelboy(Designed by FerdeFunky), Koolboom(Designed by Desticy), Ilrell(Designed by KWMS), GaidenHertuny(Designed by ExpyNormal), Samifying(Designed by Tongii), Dash Orb(Designed by Arctica(again)), SrGuillester(Designed by Enely), CuLuC, Xaro(Designed by Mumalaengi), TamaN(Designed by Mzero), Michigun(Designed by Inex), cynvic, Firs07[7] LmAnubis, Riot, Zobros, Sunix, OSIRIS GD, KrmaL, TrusTa, Knobbelboy, Fredefunky, SrGuillester, Michigun[8] 얼마나 고퀄이면, 대부분의 유저들의 컴퓨터를 맛탱이 가게 만들어 3분할을 당해버렸으며, 이것들이 따로 레이팅 될 정도이다.[9] 사실 이전에도 Anubis가 두번째 프리뷰를 공개했을 때 영상 제목에부터 이미 Cyberpunk가 쓰여있던것을 보면 아마 맵의 테마를 작정하고 만들었을지 싶다.[10] Aquatias, Cosmic, Pocket, Matterz, TriStorm, Tex02, SlimJim, Sequex, Sedgehog, YakobNugget, Voltex, Belonzik, Azasuh, Hyenaedon, Leo32601, ChiN3x, Skele, Splash, Peton, Lazuli, genericqueso, Wespdx, Zipiks, Surv, Failure444, Goose, Juhou[?]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1.10 11.11 11.12 11.13 11.14 한국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으나 공식포럼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음. 한국포럼과 공식포럼의 등재 기준이 다르거나 300hz가 넘어 한국포럼에만 등재되어 있는 기록이기 때문이다.[12] 어템수도 Dorami가 베리파이한 The Yandere보다 많이 썼다![13] 주의할점은 Epsilon과 Omicron 둘다 그리스 알파벳 3부작인 Gamma, Sigma, Omega와는 관련없다.[14]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1234, Koreaqwer, Ryan LC, Cyclic[15] 이 세 유저의 버전은 난이도에서 미세하게 차이가 있다.[16] Tuna310, Hypno, StarkyTheSalad, Shmigels, WireMuncher, Havok, Koopazu, Raivolt, Loltad, Cynir, Pocke, Blitzer[17] Onnikonna, Lipz, Skidel, Salamander, YakobNugget, Altin, Juhou, Voltex, Nico99, Epsilonic, Pennutoh, Enzore, Sminx, SlimJim, Jaoday, Unigeny[18] 99%에서 무려 7번이나 죽었다고 한다. 16755+의 어템을 사용하였다.[19] 심지어 영상 설명란에 Easy but annoying이라 적었다.[20] 사실 일자비행만 잘한다면 Glowy는 쉬운 익스트림 데몬이 된다. 거의 모든 구간들이 일자비행 형태인데, 여기에 수많은 글로우들을 박아놓아서 시야를 방해하는 방식이다. Sunix의 일자비행 내공은 물론 실력 자체도 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이니 저 정도 어탬 먹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21] 그런데 이게 저평가일 수도 있는 게, 1700번 정도 죽고 클리어 한 거나 Blade of Justice를 3시간만에 클리어한 거나 비슷하다.[22] MiniWheatDuo, Gizbro, Brittank88, Sequex, TheGalaxyCat, SaturnV7, AlrexX, Syn, Awedsy, DigitalZero, Delrasshial, LuX, CDMusic, Zincate, starry, eXomin, Crispybag, Marcel, DashyBois, TheYeasoN, Holy, v0ltGD, LekuGD, Heso, Bedrock, Pyrox, Bigmac, M3mber, PaintingOrange, Walghani, EDoosh, Nexorous, Ezys5, ArFace, MegalynX, Rebix, Daycore, LockedDBZ, Nelluque, Stevokorikom Noobiestskill[23] Rimz, Kastinq, Mango, Lynessa, Zesqur, Groovy, Kneon, R3ul, Chico, Fluo, HyoJung, Xerotone, Siu, Gradientxxd, Isane, Uriun, Mintjelly, Kar98k, PLo, DunTs, Drag747, Amii, Almondy[24] Gameplay by ORte, Dusk, Lagnugg, Convie, Hyp3rLink, RyzleSalt, Designed by Desumari, Konsi, Acno, Itami, SirZaiss, Apollone, Enzore, Isane, Lilium11, Nahuel2998, 00Zero, Sylvenox, OfficialFreck, Voltex, Grand Omega, Buragoz, Kiba, Crouley, Space Art by REQ, Ending Art by Glory[25] 게임플레이는 고치지 않는다.[26] 전술한 Crazen의 아동성범죄자 행적으로 인해 그의 기록을 말소하려는 행동이다.[27] FerdeFunky, Scrumpy, Cirtrax & Sequex, KWMS & Sequex, Nashii & Koolboom, Helpegasus & Vlacc, Manix648 & YakobNugget, EnZore & Nryu, Eggnog, Ryder, Goose, Licen & Giron, ZeroSR & Marwec[28] alkali, Eclipsed, Salaxium, Prism, Juhou, Vapen, YakobNugget, Lazuli, Voltex, Failure444, Sminx (엔딩 로고)[29] Yoshikawa, ViralDl, Isane, Vitinhoo, Buragoz, Unigeny, GH Iris, Vismuth, Lime, Killa, Yoonsr, ItsHybrid, Voltex, BlasterRobotz, Kllnex, Morin, HJfod[30] 하지만 60hz로 베리파이했다.[31] 시각적으로는 맵이 빨라서 크게 느껴지진 않지만 꽤나 많이 하향을 당한 편이다.[32] 정식 클리어 영상이라고 판단하기 애매한게, 스피드핵과 컷을 절묘하게 편집해서 올린 Footage 영상에 가까웠기 때문.[33] PC, 모바일, 완전투명 버전까지 모두 합치면 대략 178,000어템을 사용했다고 한다.[34] Endlevel이 핵을 썼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Roimousti가 ziroikabi에 영상 제목에 대문짝만하게 '''not VERIFIED BY ENDLEVEL"라고 써놓았다.[35] FPS Bypass 사용.[36] 여기는 아예 가시 위쪽을 아슬아슬하게 뚫고 지나갈 정도로 히트박스를 가지고 장난을 친 부분이다. 다시 말하자면 조금이라도 타이밍이 어긋나면 바로 죽는다![37] 그는 이 맵이 Bloodbath보다 확실히 어렵고, Sakupen Hell과 비슷하다고 했다.[38] 그는 "Hatred보다 짜증나면 문제 있는 맵"이라고 했다.[39] 참고로 예전 프리뷰 영상에서는, 23%, 43% 부근에도 언더테일의 짜증나는 강아지가 있었다.[40] 뒤에 점프를 2번 더 해야 되긴 한다.[41] 여담으로 이때 Start Pos로 영상을 짜집기하는 게 가능했던 때여서(현재는 왼쪽 위에 작고 반투명하게 "Testmode"라고 적혀 있다.) 베리파이하고 나서 스타트 포스를 사용하고 클리어하는 글자들을 보여줘 영상을 짜집기했단 의혹도 있었지만, 생방송에서 갔던 것이며 SrGuillester는 중간에 영상이 끊겼다 해명하였다.[42] 그마저도 비대칭 듀얼에 칼타이밍마저 다수 포함되어 있다.[43] 베리파이 과정에서 BrianTheBurger도 97%를 기록한 바 있다.[44] 공교롭게도 예전 베리파이어였다.[45] DoomsDay랑 같은사례. 공식포럼 기준으로 300위로(...) 떨어졌다.[46] Sohn0924, Stormfly, Vindik, Zimnior12, Xyanide, Lucasyecla99, Splash, RedAppleFour, iMasu, FirsGD[47] El3ctr0, Avati, ViralDl, SyQual, Realvet, Connected, Temp[48] Th04, Majkomar, Nwolc, Helpegasus, YakobNugget[49] AleeXhey, Hypno74, DreamTide, Zeptrus[50] Pennutoh, Xinpa, Armadeus, P4n2, PiksC, foody, Justalf, John040998, Azmeur, Exvii, Wahffle, Fishwasher, Cryosmium, MercuryDT, Crowlley, notHidbid, Calci, F3X, Jerkitten, Ztra, Snom, Kopre, Revv, RandomJunkInc, S3tik, Bellox, Jadonboi, AriaL, Hadronic, reveyard, MJZPEANUT, Vexedsteak, Noy, Skywalker2016, Dipsy, LeCub3, Blockacre, OliXor, Snom, Looeegy, Paritraya, isTitanGD, eteru, dutchiee, vyp, Tahsen, Elliptic4l, navcubed, CairoX, GrenadeofTacos, Hsam[51] Viper, Sauzzeth, RedlixHD, ARWooly, Arax, Hugus, NekonGames, Asuith, AirSavage, SeokSo, Andr1x, Avati, Supris, Nidroo, Shant, Maplegaegosu, JuzGiew, Nau, Liu, BeClan, Zubwill, Loolycat, Lax33, Nekotik, Reunomi, CuluC, DiamondSkull, HellPhire, Gokill, Isane, Lagnugg, ChoGath, Electro543, Just a GD player[52] Davphla, HelpegasuS, MrSpaghetti, RoiMousti, Kapinapi, ViralDl, Supris, Kubson, Atom9, ItsHybrid, ZWK[53] Geo, GDSean, Majkomar, XultroniX, Uneskladovae, MaskZ, Isane, Sequex, Kllnex, Duffz, Nyzerlux, Acnologia, Gr, Omega, Zipixbox, Cryst4l[54] HelpegasuS, Isane, DUBU, Tesseract, Reunomi, Amatuerre, Estachi, 1374, KireiMirai, LioLeo, SyQual, Krampux, Sikatsuka[55] 가장 인지도가 높은 합작 맴버인 Reunomi는 너무 오래 전에 파트를 하나 올리는 것으로 끝났고, 여러 유명 익데 합작에 자주 참여했고 나름 인지도 있는 익데인 Factory Realm X을 제작한 HelpegasuS나 마찬가지로 유명 익데 합작에 자주 참여한 Isane 정도의 멤버도 그다지 유명하지는 않다. 베리파이를 한 jbmoon 역시 국내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인지도가 높지는 않다.[56] 보통 인게임 최고의 익스트림 데몬을 논할 때 우선적으로 언급되는 맵은 Artificial Ascent, Ouroboros, Artifice, Endless Dream 정도이다. 이 맵들은 디자인과 게임플레이 모두 호평받는 대표적인 명작들로 평가받는다.[57] 실제로 비슷한 문제점을 거의 동시기에 만들어진 또다른 명작 Woodkid도 가지고 있다. 다만 Woodkid도 역시나 이 맵처럼 저작권 이슈가 걸렸으나, 제작자 Jakerz가 저작권 이슈를 무시해버린 덕에 현재 레이팅되지 않고 있으며, 커뮤니티 대부분의 유저들이 레이팅을 결사반대하는 만큼 앞으로도 레이팅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58] 비슷하게 KrmaL의 Black Blizzard가 있는데, 디자인은 매우 훌륭하지만, 게임플레이는 매우 끔찍하다.[59] God Eater라는 이름과 아트 일부분이 동명게임의 저작권 침해로 인해 삭제되었다.[60] GigamiX의 버전[61] Etzer 때의 정적인 배경에서 벗어나서 적극적으로 배경에 애니메이션을 도입한 것이 이때다. 다만 지옥 컨셉의 후반부가 평범한 컨셉으로 변하는 등 호불호가 갈리기도 했다.[62] Elphet, Digex, PeanutButter, FrancaDash, HelpegasuS, MrMeurick, Mitz, Keitch, Enzeux[63] 그래서 Extended로 떨어졌던 Rate Demon은 간신히 구제되어 잠깐이나마 메인리스트 끝자락에 걸쳐있기도 했다.[64] PokeChatt, FarDreamer, Zafkiel, PeroXide01, Kiba, Ryumazaki, Surge, icotchy, para, Konsi, Bionic, ViralDl, CesDroid, Brittank88, Isane, xyLteK, Adelx, AutumnLotus, Crystal PG, Hko, GaidenHertuny, C Paola, Vapen[65] Zobros의 데몬 맵. 얘는 테마는 Clubstep과 유사하나 곡은 DJ Nate - Robotic Nightmares를 사용했다.[66] 중반 나비모드만 잠깐 나온다.[67] Skullkid, Zenith, Thomartin, Goodsmile, Jghost217, Edge, JustBasic, OSIRIS GD, AbstractDark, Unigeny, Kugelblitz[68] 3위가 Zodiac인 현재 시점이 아닌, Spacial Rend가 3위였던 시점이다. 2022년 기준으로는 50~60위권대(...)[69] 위에 있는 원본 레이아웃을 보면 대부분의 비행 모드의 간격이 훨씬 좁았다는 것을 알 수 일다. 이외에도 비인간적인 간격의 소형 웨이브가 큐브로, 후반의 4배속 일반 웨이브가 로봇으로 바뀐 것을 볼 수 있다.[70] Zeptoz, Rhythemical, Realvet, Highjump, loltad, Zerosr, Hko, Crowlley, Mzero, CrystalPG, Uriun, para, Gradientxxd, 13spades, vit12, Yoshikawa, Angryboy, Nelluque, Temp, Voltex, Starky, Surge, nwolc, Rexter, rynoxious, Sequex, 7rodo, nickolapogas, Yoonsrdynamix, matty2003[71] Andr1x, NyamLock, Artumanka, guleshelt, Crouley, Voltex, Uneskladovae, Filaret, Kritoss, Desumari, Kentik, Kirzok, ImBecKonos, Vampur, Lagnugg, Apollone, Fenrrig, Gorgon, Tolstyh, Buragoz, Flores, Dirinoc, Deron, Fjscope, Konsi, Charmi, Itami, Ishikil, Enixy, Markocr, Creerghost, Orte, TraXit, Ka1ns[72] 베리파이 영상이 삭제되어 베리파이가 되기도 전에 클리어한 JakeN2436의 영상으로 대체[73] 구 Swithi[74] 그래서 드롭 직전에 Rainbow, Mujigae라고 서 있는 걸 볼 수 있다.[75] Straw, Escetity, Lipz, SirZaiss, Belonzik, Nickalopogas, GDSkele, Voltex, Grenado, SnarkZ, Majkomar, Mactanow, Splash[76] 그전 베리파이어는 Crazen이다. 아시다시피 Crazen은 아동성범죄자 행적으로 영상이 내려갔다.[77] Arb71703, Jenkins GD, Grax, RadiationV2[78] Knobbelboy의 아이콘을 사용하는 이유도 이 밈을 위해서라고 한다.[79]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Zelda, 1234, AirSwipe, Koreaqwer, Dudex, Stormfly, Tesla, S1l3nce(Low Detail 제작), Zhander(엔딩 로고)[80] 프랙티스 모드로 맵을 거의 끝까지 간 후, 클리어 직전에 프랙티스 모드를 풀면 맵이 클리어되는 버그. 이 버그는 1.3 버전에서 바로 해결되었다.[81] 1.2때 만들어진 맵을 리메이크한 거니 당연히 공식 브금이 사용된다.[82] 영상은 비공개된 상태이다.[83] 여담으로 이사람은 구 Geometry Dash World (GW) 극초기 회원이었다.[84] Hypno74, Renn241, shmigels[85] Sequex, ORte, Vantablack, Pixizkiel, Ettery, Gianv, Tent, Nell, Revel, Hyperlink, Ryzlesalt, Duffz, R3ul, Rockwizard5, Asu, Fluo, Wapon77, ibrah, Convie, Highjump, Kneon, Xzer, Infxrnal, Farafar, Koolboom, Sakual, Kirzok, Fufafac, Esencia, Rittle, Lime0037, Nidro, Galaxycat, ZWK, Underpipse, Connected, Naimnaro, SyQual, Astrofox, LekuJX, Destez, Uriun, Galchi, Manta, KrazyGFX, Pukoru, Vadex, Kllnex, Xempir, Soluble, Sikatsuka, Vismuth, Toasted, Isane, Shaun07, Kadex, Epsilonic, Syn, Grand Omega, Rilliss77, Reshiram, Yonaka, Elvii, Pluff, Skrypto, iEstia, El3cTr0, Zellink, Shawdow, Chaeyon, Belonzik[86] 2020년 12월 12일 기준[87] 그 당시 공동 주최자로 Clarin이 있었지만 다시 Wapon의 개인 주최로 바뀌었다.[88] 2020년 들어 등장한 이런 류의 합작들은 합작 전체의 완성도가 높더라도 기억에 남길 만한 강렬한 임팩트나 개성이 부족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도 간혹 나오는 반면 Adrenaline은 그것들 또한 어느 정도 챙기고 있다.[89] 전자는 드롭을 마음에 들어하는 사람도 있어 개인차의 영역이고, 후자는 Wapon77이 댓글로 수정되었음을 알렸다.[90] 일각에서는 이에 대해 Ocular Miracle 순한 맛이라는 비유를 하기도 한다.[91] 초반에 잠깐 쉬운 큐브가 나오는 게 끝이다.[92] l4tezk, Jiikoo, Lepuska, At424, copc[93] Rainstorm, Scrumpy, Killa, MaJackO, ISanE, Voltex, mbed, Ferox242, Kllnex, Fragox, RoiMousti, PokeChatt, Majkomar, Minus, Vismuth, HelpegasuS, Gabs, EndLevel, TurtleBro, Hadeon, Morin, Pablohh, MindCap, Molds[94] 코어류 디자인의 시초로 평가받는 유저이며, 애초에 코어류라는 이름부터가 이 사람의 맵 시리즈인 코어 시리즈에서 따온 것이다.[95] Galaxxyss, StarkyTheSalad, lexycat, para[96] WormFodder, Moosh, alkali, Technical, Sean, npesta, Spectex, GunnerBones, Zeroya, Gizbro, GaidenHertuny, Vantablack, Gabs, Zipixbox, NogZ, Lipz, EyeOfTheStorm, Surge, Kiba, ItsHybrid, Realvet, Sequex, Isane, GDSkele, SlimJim, Walroose, Eridani, Geo, iEstia, CrankytheHuman[97] 마지막 드래곤 아트 제작[98] Jacob은 자기가 공식 Verifier도 아닌데 맵을 업로드해버린 반면에 swithi는 공식 Verifier인 Mince를 위해 스테이지를 클리어해도 업로드하지 않는 신사적인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swithi에게 별이 붙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99] Athanatos, Blade of Justice보다도 높은 티어에 있기 때문.[100] 86%에서 2번, 87%에서 1번, 88%에서 3번, 89%에서 2번. 89% 영상.[101] iMasu, Zero, Delta, Kllnex, Surge, Hko, PokeChatt, Zafkiel, Bionic, CesDroid, Scott, Para, Rexter, iSparki, ZedAurum, Crystal, GaidenHertuny, ISanEGFW, Erick101[102] Pennutoh 역시 TCTeam 소속이다.[103] 그 전에 93%도 갔었는데, 그때 Knobbelboy가 98%에서 죽지 말라고 했다...Knobbelboy의 저주[104] Pennutoh의 맵들은 싱크가 좋기 때문에 노멀 모드가 쉽다.[105] 수많은 유저들이 이 맵의 프랙티스 모드를 돌려보고 적어도 Cadrega City보다 어렵다는 평을 냈으나 이 맵을 파는 유저들에 따르면 이 맵은 컨트롤 실력보다는 많은 내공을 통해 익힌 감각으로 깨야 하는 맵이며, 프랙티스로 하는 것 보다 노멀모드로 하는 게 훨씬 쉽고 개인차까지 나는 맵이라고 한다. 깨는 사람들 중 인세인 데몬수준이라는 사람과 Subsonic보다 어렵다는 사람들 모두가 존재하나 프랙티스로 돌렸을 때 ATMarbl이나 Cadrega City보다 많은 어템이 나온다는 것은 모두가 인정한다. 그러나 노멀 모드로는 저 두 맵보다 쉽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106] BIGMAC77, 00Zero, Jowinator19, Joltic[!] 107.1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107.10 107.11 107.12 107.13 107.14 107.15 107.16 107.17 107.18 107.19 107.20 107.21 107.22 107.23 107.24 107.25 107.26 107.27 107.28 107.29 107.30 107.31 107.32 107.33 107.34 107.35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108] MoonSpark, BallisticGmer, LumiNexa, GDLev, rafer, Xyriak, ItzTropica, Destroyer6401, Pyndra, 99Percent, Nekasik[109] 91% 영상의 설명을 보면 OBS Studio가 영상 녹화를 버그로 못했다며 그런 현상이 몇 번 있다 했다.[110] 그런데 DD보다도 어렵다고 했다![111] jdfr03, Dysfunctional Popo, MrSleepy, ZielGD, EndLevel, Megaman9, Hexhammer, CreatorForce, Krazyman50, Cypher, Igno, JonathanGD, Zendayo[112] 이 유저가 이렇게 말한 이유는 모든 구간이 매우 어렵기 때문인듯 하다. 단순히 순위로도 BloodbathSakupen Hell위에 있으며 후술할 좁은 로봇과 어려운 웨이브 등으로 난이도가 하늘을 치솟는다.[113] 심지어 눌렀다 떼야 하는 곳이 잦아서 매우 어렵다.[114] 지금까지 나온 맵중에서도 처음 등장한 타이밍이라 고전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마지막 구간이라서 죽으면 매우 짜증나는 편.[115] 여담으로 혼자서만 버그를 4개 찾았다.#1#2#3#4 Sunix가 어이 털려서 뿜는 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정확히는 레벨 버그라기보다는 게임 자체의 버그, 144hz 버그이긴 하다.[116]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Tsukifuto, Azuler, Zhander, MrPPs, Xaro, Alex PG, Vindik, Zimnior12, Ternamit[원문] 117.1 117.2 So unless i have uploaded a verification video in the upcoming 12 hours, rip one of the worst levels ever to be made in this game[118] Zone은 모두가 한국인이고 World는 Koreaqwer, 1234, Zelda, Dignity는 Ticky가 한국인이다.[119] Uneskladovae, Bianox, Desticy, Shocksidian, Ryder, EyeOfTheStorm[120] ewop, Jenkins, lucas, xSmokes, ZeroSR, Cdpre, Deadlox, para, quid, Scrumpy, boop, VARSE[121] 원래 DanZmen은 익데를 만들 생각이 없었으나, 모든 난이도에서 에픽을 얻고 싶다는 소망에 따라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122] 하지만 TanTrum이 DanZmen의 두번째 익데가 되았다.인데를 만들려 했으나 살짝 너무 어렵게 만들어서 익데로 올라갔다는 게 정설[123] Akunakunn, Icescream, Syudagye, Darmuth, Strix, Liu, 7t3v3n, Lyoho, Cloudman123, Flyraty, Alxaline, Sagu, Exiliate, Captaincool, Roxsomg, Bangtoib, !Nx, Mahoto, Gforce, Dashibois, Ogcabbage, S1lvean1nja, Csupzen, Dreamzeroyt, Nmat, Xvminecraft76, Trsamu, Maximaldash, Latrell, Leoginn, Miki, Electro543, Rnbw, Lz, Zurteh, Pixelatedguy, Hyiper, DiamondskullGD, Tombstone, Faredo, Zetalock, Underings, Zidane24, Cyclonic, Nether743, CDMusic, Bedrock, Messolarius, Itsjuzo, Grizzley, Cymric, FiasVII, Mihi, Th13teen, Credd, Vexedsteak, Leviathan, Soulkira01, Reigalinha, Munche, Chaldy, Viperarctarus, Crash75, Martini, Calledby, Xinpa, Smris1077, Ela, Sawiartz, Blanc, Carljrcuwu, Gmoney, 2Script, Netaren, Borritogamersx, SugarcubeGD, Exlllme, Movavi, Jaki1, Legry, Adafka, Nezanvo, Canonlaw, Alaskafx, Nicronicxz, Sundae, Noro, Zeku, ScotGD, Lum1nox, Crazey, 00Zero, Papitab8, Zionsr, Xeno25, Eezrliw, CalaramGD, Jojo, Soil, Dingleshwartz, Surefir3, Neonz, Aurora123, P5ychotar5, D1sparaite, Junshi, 5Cotty, Epg, Sqytt, Airilzoof, Lenzip, Mello, Doop, DJsmile, Kedavra, Aerid, Hunt4rr, Und3rcov3r, Racty, Miracatsy, Wetpu, Tsukani, Atmosfer, Nobody, Ken, Lunaire, M3mber, Attackhelifrode, HeavenGD, Kaiby, Epdjip, Themo, Rouzinx, Swordk, Zombiecashier, Kylezkie121, Nagromx, Gilangrf, Zntw3, LiLCreator, Harshhere, Kaic77, Hiroshi, Xeraphim, Aimrplayz, Matthew8, Whata, Flame, Zen, Ripky, Ztratoz, Joenuh, DigitalZero, Purxion, Mousi, Jrodo, Azu, Marhydash, Duque01, Fauziyt, Lordequacc, Mei7, Walghani, Dms1123, Neon, Ldm, Quihly, CuaeR, Noracull, Dce, Buvuw, Belo, Gadri, Xjazzcat14, Mkpanda, Jud, Jibrilette, Moose, Ben, Mixupyt, Zepty, Azurezn, Donnyds, Cepiksyafi, Tria, Nyoom, Slinky, Theanimator, Cheesestick[124] Findexi, Nasgubb, Dudex, Kips, GDSpeed, Lassiboy, Juhou, Lemons[125] Layout by Sohn0924, Designed by Tsukifuto, Stormfly, Ticky, Zhander, Xaro, NitroN, S1l3nce[126] The Hell Zone의 경우 Cyclic 시절부터 버프되어 있긴 했다.[127] Manix648, Platnuu, xcy7, Jo2000, Coliwog, Fred, Loogiah, Surv, Bianox, Lieb, Elanox, Terron, Edicts, Xaro, Noriega, LazerBlitz, LuichoX, KingTony[128] Isane, PotatoBaby, GunnerBones, Tob, Duffz, Verbet, Reunomi, Zafkiel, Unigeny, Enixy, Lieb, Majkomar, HelpegasuS, Spectex, FlaksY[129] CFteamgd, CreaterExtract, She3rlucks, WaffI3x, Vesimelon, Laph7, Captain, ZenThrix24[130] YakobNugget, Reunomi, iNubble, Syberian, Hyenaedon, Endlevel, MaxiKD, Sequex, HelpegasuS, Acnologia, artherr, Xaren, Zafkiel, CreatorSruj, DUBU, Duffz, CairoX, ItsHybrid, Kiba, BySelling, Arcania, Uneskladovae, Isane, Klonex, EyeOfTheStorm, ItzMezzo, GiaMMix, Scrumpy, TheShoot, Geo[131] F5night, Knobbelboy, MrKena, DarkStyle, MrSpaghetti, Mezzo, Arcania, Isanegfw, Rapace, Nosi, J i, Lujian, Yakimaru, Tartofrez, GiamMix, Dauphla, V3xer, Refruch(엔딩)[132] 참고로 그 버그라는 게, 최후반 웨이브->아이콘으로 넘어가는 구간에서 웨이브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으면 아이콘으로 변할 때 웨이브 구간의 천장에 박아서 사망(...)[133] Kains, Artumanka, guleshelt, silver, Andr1x, Maitnary[134] Rustam, Khelado, Marwec, LIEB, Wazzuuup, Jakii, Jay, Cents, Poisonous Egg, Tenebris, XZ, IndiRam, Titoalper, Nsmonster, Laaseer, GrenadeOfTacos, TheRealPeng, Avenaa, LaserGD, Mazl, BeClan, Lamellae, D3lteX, S3b1, Lavender99, Ji, Shebam, Neilious, Exiist, JustAlf, Weso, Superioxx[135] f3lixsram, Marwec, Pennutoh, Darwin, JacobRoso, Angryboy, Yakimaru, Rafer, Thomartin, ChaSe, Osiris, Enzore, Reunomi, Kurokawa, Desticy, Victorinox, Gigamix, Desumari, Nahuel, Erdyuri, Elegy, BloodStorm[172] 길이가 3분을 넘어가다 보니 특유의 저속 후살이 스트레스를 유발한 경우가 많다.[173] 다만 Ouroboros와 Nhelv는 난이도가 매우 높아서, 게임플레이에 대한 평가는 비교적 낮다.[174] Drift, Failure444, Leo32601, Pennutoh, Bianox, Cosmicsabre, Tex02, SlimJim, Splash, Juhou, Lazuli, SirHadoken, Hynaedon, Matterz, Vulcan, sqrl, Cybronaut, LeoCreatorX, Balloons, Jozhii[175] 그러나 본래 Endlevel은 맵 풀 버전 공개 당시까지 자신의 파트를 갖고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하차한 이후 그 파트는 Failure444가 맡게 되었다.난이도 떡상 만악의 근원[176] Vapen, Onnikonna, Zalspr, Straw, Nar, ManoMagician, Speir, Zina, Yakobnugget, Aquatias, Endlevel[177] Wombat, Djoxy, GaidenHertuny, KingTony, Manheadrambo, Mactanow, zhawker, Squared, SpadeKilla17, Kazia, Cyber Orion, Optation, Hexhammer, Straw, Aqwuh, Bermard, Oasiz, FozaeKitty[번역OS2] 스타트포스트를 위한 갈증이 계속되나?? 그럼, 스타트포스를 넘치게 놔두자. 우로보로스가 네 메가핵을 먹이로 삼게 해... 내 첫 솔로 레벨, 2개월 만에 제로늄 cc를 4개나 만들었어!!!![179] 2024년 12월 16일 한국 포럼 기준 평점 4.4점(2개 외에는 3점 이상이다.)[180] VeXioN, AngryBoy, Ownbit, Cyberic, KrzGuzmanSB[181] icedcave, Lexycat, Stormfly[182] Tartofrez, Nottus, f3lixsram, iSparki, Bransilver, Nexander, Vrymer[189] MiniWheatDuo, Failed Username, DashinKing111, FiryTheGoat, Audile, TeamLess, ToastLord, Sparky_01, Yankes, SaturnV7, Lemuune, Stilluetto, Cannonlaw, pineto, Nell, CarlosArt16, Elvii, Glames, Pulsar, Zenith2A, Gotchi, Acrylix, AcaTwo, Paint, Cr3ator ims, Matteddy, Kirlian, Voltex, AZuLer4, teraxek, Fruitsnack, Gizbro, NecroToxinGaming, NightXStalker, Zoff[190] Yuko, Cydz, Rainar, Arax, kylerocket06, Duke, Zentraa, Orange, Zetalock, nCylix, Gradientxxd, River, Hypno[191] Moe Machine, DavJT, MistFix, IZhar, Nikce, DaCe, Gran Polli, Sandal, Zelftix[192] Konsi, Enixy, Optex, Alecast, Bianox, MoonSpark, Enzore, Voltex, Logic, Failure444[193] Luqualizer 뿐만이 아니라 다른 많은 클리어자들도 이 맵에 대한 평가가 나쁜 편이다. 맵 전체적인 난이도 밸런스가 매우 안 맞기 때문이다.[194] Geonox, Buragoz, TrueDee Fabian, ByBoy 11, DangerKat, FurixGD, DanielDLC, ZadoxxZ, Alfred, MaxyLAND[195] Failure444, GunnerBones, Skulzi, Havok, WormFodder, recillia, TGI, Endlevel, Mixer[196] BoldStep의 영상으로 대체[197] 현재 둘 다 포럼 순위권에 벗어나 Crimson Clutter와 Catastrophic 모두 Legacy로 옮겨졌다.[198] 구버젼은 Crimson Clutter의 아래라고 평가받았으며, 극상향을 먹인 후 Cataclysm 과 도토리 키 재기 난이도라고 평가받았다. 그러다가, 재평가로 인해 무려 Cataclysm보다 22단계 올라왔다. 레거시로 떨어진 현재는 Cataclysm과 순위 차이가 아득하게 많이 나는 상황.[199] Down Bass를 Tartarus 급으로 버프 및 연장한 버전이다.[200] Layout by Herdys, Designed by Fufafac, Seiun, GeometryTom, Hoshikido, Oasiz, Fardreamer, Zedaurum, Bermard, XuranoX, ZafkielGD, Diriswan97, Fardreamer(again), Auntex, Axdrel, ZenthiSuper, Killnex, Sr Gaton, Yuno, Goyuki, HKO[201] 의외로 싱크가 잘맞는다.[202] 이름이 Sneezing Cats(재채기하는 고양이)(...)[203] 2개가 서로 붙어있는데, 연타로 2개 다 눌러서 비행해야 한다![204] 파란공점을 연타해서 1칸비행을 해야 한다![205] 워낙 쉽다보니 4배속으로 클리어하는 사람도 있고 7번 연속으로 반복하는 챌린지도 깨는 사람도 있다...[206] 모바일은 미묘한 차이 때문에 컨트롤이 까다롭다.[207] Yuko, Hypno, Moosh, Skrypto, Levin, Zanna83, XLSpiral, ItsMeJhemyson, Wesp, MatthewMW, Infinistyle, xoanon, Undying, Siv, BlazeD77, IvanPercie[208] rito, SouljaBoyCrankD, vonic, notHidbid, GangstaSpongebo, Hypno74, Xuser, DerpOverlord, HiyaDerred, Fawxu, Dreamlight, Meep, awesomeme360, Electroanimator, nyseoul, Rqd[209] Enlex, Failure444, InsanE, Metalface221, Noice, Zanna83, YacobNugget, Poccottini, Corkscrew, Nico99, Nemphis, TurtleBro, Osiris, Psynapse, Altin, pennutoh[210] Pennutoh의 레이아웃[211] freedom08 베리파이어[212] ATMarbl이 129위로 떨어진후 그당시 Bloodbath의 순위는 128위.[213] 34명[214] 노래의 하이라이트 부분.[215] 여기서 나오는 보스는 별의 커비 64의 진 최종 보스 이다.[216] Convie, KrazyGFX, Zuku, Yuko, Zetalock[217] Eclipsed, ZkadliX, AlexPG, Terron, BananaMuffin, Bennxt, Nahuel2998, Marwec, Vindik, Tsukifuto, TrueLogic, SlimJim, Splash, TeslaX[218] Hermes, Motu, COSINE, Reple, Ryan LC, Luneth, Koreaqwer, RedDragon, WOOGI1411, ZenthicAlpha, Miner, Zelda, Yuri[219] N2팀 영상으로 교체[220] 사실 Guitar은 저기서 눈을 손으로 가리고 했다. 하나 빼고 다 맞췄다는 점에서 웨이브 컨트롤 실력 하나는 대단하나, 결국은..[221] 사실 한 열쇠를 간발의 차이로 못 먹은 것이다.[222] 그러나 Guitar는 다음에 Minus(Yuri)의 미로 구간에 도착했을 때도 눈을 가렸고, 클리어했다.[223] Reple, Cosine, Luneth, Zelda, Ryan LC, WOOGI1411, Miner, Hermes, Koreaqwer[224] 현재는 닉변을 했고, 세계 별랭킹 3위까지 했던 Satum이다.[225] Powerbomb은 1.9때 4번째로 Cataclysm 격파에 성공한 고수이다.[226] 원래는 Koreaqwer라는 N2 팀 소속 한국인 유저가 깨려 했으나, 84% 부근에서 너무 많이 죽어서 포기했다. 시간이 많이 흘러 현재는 클리어했다.[227] SlimJim, sqrl, JacobRoso, Nickrx15, Zap101, ZBM, Creatorflex, MrLorenzo, Straw, Lqah, WHErwin, Nico99, Jbeast, Balloon[228] 2020년 7월 1일 기준[229] MarEng, Quacduc, Osiris, Lemons, DanZmeN, Chlorines, Angryboy, MrKoolTrix, Bransilver, Dorami[235] 이론적으로는 소형 포탈을 타도 통과가 되나, 속도가 상당히 빠른 탓에 이 포탈을 타면 사실상 비밀길을 타는데 실패한다.[236] ChiefFlurry(+JustPark), GuitarHeroStyles, iAres, Elayad, Fillipsmen, StarshipGD, Andy10Nob, Rock3ro, Zafkiel, BitZel, Lucas, Woogi1411, AlexTheGood, NeoGamer, JamesGrosso[237] 마지막 삼단가시가 버프되었는데 핵으로 베리파이(업데이트)되어 떨어진 것이다.[238] Lazuli, Spadekilla, ZBM, Straw, Tex02, JacobRoso, Uneskladovae, Logic, SlimJim, Splash, wherwin, Failure444, Bianox, Eclipsed, YakobNugget, Vapen[239] 유튜버들 사이에서는 보통 'Heartbeat'까지 Extreme Demon으로 친다.[240] 그는 70%에서 죽지 않았더니 운 좋게 클리어하였다고 한다.[241] Texic, Picaaaa, Sting871, Electro543, Df0rDie, Endevvor, Mojitoz, ViralDl, Netaren, Leynar, Hir0shi, Vex01, N3moProd, Alkatreize[242] 한번에 105위에서 151위로 급락했다.[주의] 영상에 잔인한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다.[244] 썸네일 문제로 따로 분리했다.[245] 흑인비하, 선정성 등때문에 지금은 삭제된 맵이다.[246] Forbidden Sector 제작자인 Aurumble의 부계정[247] 레벨 중에서도 어렵다고 평가된다.[248] T17, GoodSmile, Star77, Cryomancer, Logik, P14, CubeCreator, Bio21, AbstractDark, Agent[249] 1번째는 Audio Excursion이며 인세인 데몬이다.[250] 무려 같은 방향의 웨이브가 존재한다! 그래서 그런지 그 부분의 레이아웃은 쉬워 보이나 두 개 다 부딪히지 않으려면 꽤나 극악한 구간이 되어버린다. 판정이 4칸인 웨이브를 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251] 이건 원래 GoodSmile 특유의 데몬 평가 방식(?)으로, 별로인 데몬들은 통칭 "Random Demon"으로 뭉뚱그리고, 제대로 된 어려운 데몬들은 자신의 "Extreme Cocktail" 항목에 추가하면서 임의의 과일명을 붙인다.(...) Cataclysm을 Extreme Orange라고 부르질 않나... Ice Carbon Diablo X는 졸지에 Extreme Durian(...)이 되고 말았다[252] 그러나 다른 길이 있다. 겹공점을 칼타이밍에 맞춰 연타하면 블럭에 걸치게 되는데, 여기서 점프하고 파란 공점을 밟으면 진행이 된다. 영상[253] 무려 다운로드 수 200만을 돌파했다.[254] 다만 시기 자체가 이게 훨씬 이후인 만큼 언너프 Innards가 더 어렵다. 언너프 Blade of Justice의 경우 대체로 Tartarus 정도급의 평가를 받는데 이 맵의 경우 Firework급으로 평가된다.[255] 처음에는 가볍게 여러 블록들이 헤드폰 끼고 플레이어를 지켜보는 잔잔한 분위기를 이어가다가물론 난이도는 쉽지 않지만 30%대쯤 와서 점점 분위기가 빨간색으로 변해가더니 깨진 블록, 수많은 눈알, 피를 흘리는 블록들이 마구 튀어나와서 공포 분위기를 조성한다. 8%구간에 나타난 몬스터가 84%에 보스로 등장한다.[256] 2.1 초기에 만들어진 Tartarus보다 어려운 맵은 Cimmerian Shade 정도가 있는데, 그 맵도 만들어진 지 6년이 지난 2023년에 와서야 베리파이되었으며 전반적으로 Firework급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로 Cimmerian Shade는 최초 등장 당시 불가능 판정이었으며, 이 맵도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평가를 받았다.[257] 실력파 유저 Luqualizer는 아예 영상 댓글에 "Looks like a f**king Silent Level" 이라고 했다.[258] 다만, 실제로는 Tartarus보다 어렵기는 하지만 아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현재는 언너프 Innards를 깬 일부 유저들이 이 맵을 Firework보다도 어렵다고 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259] Innards 극초기 프리뷰.[260] 최후반에 짧은 오토 구간을 지나고 나면 빨간 발판 때문에 엄청난 속도로 튀어오르는데, 이 때 검은 공점을 쳐야 한다. 검은 공점 위로는 가시가, 검은 공점을 타고 내려가는 쪽에는 매우 폭이 넓은 가시 2개가 있다. 이 구간을 통과할 때 검은 공점을 너무 빨리 치면 바닥의 가시에, 너무 늦게 치면 천장의 가시에 박는다.[261] DollarC의 노클립 영상에서 볼 수 있다.[262] 후에 다시 원래대로 돌려놓았다. 저걸 유지시킬 거냐고 물어보는 유저의 댓글에 답글로 "저걸 유지시키느니 마지막 부분에 4단가시를 20개 넣겠다(...)"라고 했다...[263] SWI, Orochi 등등[264] Crazen도 핵 전적이 있긴 했지만 자백했다.[265] Crazen은 Knobbelboy가 Bloodlust를 베리파이한 이후에도 커뮤니티 내에서 Knobbelboy의 본명 등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 함께 놀렸고, 이 때문에 Knobbelboy의 10만 구독자 기념 얼굴 공개가 취소되기도 했다.[266] 정확히는 1/15칸 정도.[267] (의역이 포함되어 있음) 뭐.. 드디어 찾아왔네요. 이렇게 끝내는 것이 아쉽기는 해도, 시간문제일 뿐이였어요. 저는 솔직히, 제가 최선을 다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저는 이나드를 깰 실력도 없고, 이나드를 깨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제가 여러분 들을 실망시킨 것에 대해 스스로 화가 나기는 하지만, 저는 언젠간 이나드 베리파이를 포기할 것이라고 점점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저를 지지해주셔서 감사하고, 저를 지지해주어서 미안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이때까지 꽤 많은 시간을 투자했고, 저를 인내심 있고 힘내게 해준 것은 여러분이라는 것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베리파이를 포기하는 것에 대해서 스스로에게 가장 화가 났습니다. 예전에 이야기해주려고 했던 사실인데, 지난 1년동안, 이나드는 저에게 정말 어렵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나드를 하기 싫을 정도로요. 하지만, 베리파이를 포기하게 전에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해보기로 결심했습니다. 제 실력은 제가 게임을 할 때의 컨디션에 따라 정말 많이 달라지는데, 최근에 컨디션이 정말 좋았어요. 특히 녹화 중에 50~82를 달성했을 때 말이에요. 하지만, 이나드를 자주 하게 되면서 컨디션이 악화되었고, 이 때문에 지금이 이나드를 포기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이나드는 저에게 정말 많은 것을 가르쳐줬고, 비록 이나드를 포기하는 것에 대해 화가 나있기는 하지만, 적어도 저는 이나드를 통해 뭔가 배웠다는 것과 제가 이전에는 전혀 몰랐던 상황에 대한 시선을 주었다는 것이 행복합니다. 이제 아마 익데를 플레이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무언가 저를 엄청 흥미롭게 하는 게 있지 않다면요. 아마 자주는 아닐거에요. 저는 현재 크리에 관심이 많은 상태입니다. 하지만 매번 지메를 킬때마다 지메를 해야만 한다는 의무감이 들어요. 개인적으로, 무언가를 하도록 강요당했을 때 그것에 집중하기가 굉장히 어렵거든요. 이나드는 옛날부터 하기가 싫었어요. 항상 해야 한다고는 느꼈지만, 이나드를 하게 만드는 동기는 사실상 없었던 거죠. 이제 이게 끝나고 제가 정말 하고싶은 일을 하고 싶네요. 이나드를 해야 한다는 느낌 없이요. 여러분들이 제 결정을 이해해줬으면 좋겠어요. 다른 모든 이나드 영상은 영상 설명란에 있어요. Original cut 영상을 포함한 모든 영상을 올릴거에요. 꽤 옛날 영상인데다가 더 이상 베리파이를 한 생각이 없기 때문이죠. 여러분들이 이나드를 해보거나 베리파이를 도전하도록 해드릴게요. 이건 제가 플레이하던 가장 최신 버전이에요. 모든 준비는 다 되어있어요. 그냥 제일 처음의 텔레포트 포탈을 지우고 맵 마지막에 Verified by Cinci 를 Verified by "닉네임" 으로 수정하기만 하면 돼요. 곧 베리파이될거라고 기대는 하지 않을게요. 그냥 원하신다면, 재미로 플레이하세요. 비번은 Kaito 에요. 이나드를 베리파이 하는 동안 친구이자 저를 지지해준 친구를 기억하기 위해서이죠. 솔직히 알맞는 사과를 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저는 이나드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거에요. ID는 54496752 입니다. 행운을 빌어요.[269] 2022년 기준으로 3대장 데몬으로 평가받는 Slaughterhouse, Sakupen Circles, Firework보다는 쉽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이들을 넘는 Abyss of Darkness보다도 한두단계 아래급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Tartarus를 필두로 한 탑 10 후반 맵들보다는 근소하게 어렵다는 말이 많다.[270] 이 곡 자체가 분위기가 급변하는 곡이다.[271] Wesp, Zipixbox, Iris, Nikrodox[272] Zanna83, HelpegasuS, Tear Rai, Sminx, V9lt, Temp, UltraCharge, Patchimator, Golden, Yoshikawa[273] Helpegasus와 Temp의 파트를 예시로 들었다.[274] Renedi, Handexx, Dami, Damianos, Kabanos, crowlley, Laxoutz, Supris, nCylix[275] Flukester, Jghost217, Zink Zeta, Killua, Venom, CreatorDino, Jude, Gachristian1, Kenny[276] 이때 아주 약간의 버프가 된 채로 베리파이되었다.[277] 이 게임플레이는 후속작인 Infinite Iniquity의 마지막 파트에서 재활용되었다. 파트 제작자는 똑같이 CreatorDino.[278] 직접 해보면 알겠지만, 타이밍을 잡는 데에 도움이 되는 장애물 등이 없는 거의 텅 빈 공중일 뿐더러, 마지막 부분이라 그 당황스러움은 더더욱 커진다. 게다가 직접 해보면 알겠지만 은근히 칼타이밍도 요구한다. 지속적인 연습으로 감을 쌓아놓는 게 답.[279] 한 가지 팁이 있다면, 배모드 포탈을 타고 그대로 있다가, 중력반전 포탈과 배 모드 포탈의 중간쯤 되는 지점에서 꾹 누르고 있으면 된다. 다만 웨이브 궤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운이 꽤 요구되는 편.[280] 여담으로 이 유저가 다음으로 도전한 Incipient에서 88%를 5번 먹음으로써 자타공인 88요정(...)이 되었다.[281] 마지막 중력포탈을 타지 않고 그대로 큐브포탈을 타서 아래로 내려갔다.[282] 그는 이 미친 맵을 60~100 플루크를 성공할 수 있었으나 중력반전 직전에 샷건을 쳤다가 점프가 되어서(...) 99%를 먹었다.[추가] 다른 버프데이트 익데들인 Fabrication, Torrential Storm의 예를 들어보자. Fabrication 같은 경우에는 극버프이긴 하지만 이전부터 버프데이트를 예고했었고, Torrential Storm은 예고는 없었지만 맵이 인기가 없고, 클리어유저도 거의 없었던데다가, 그리 심한 버프도 아니었다. 그러나, 이 맵의 업데이트는 그런 거 없다. 애초에 이전에 버프를 진행한다고 말했던 적도 없고, 그렇게 자기 혼자 초극버프를 해버렸기 때문이다.[284] 당장 맨 처음의 비행조차 넘어가는 것이 정말 힘들다.[285] 물론 듀얼이 Novalis급이기는 하다. 웨이브도 어려운 편.[286] 그 만큼 이 맵의 비행 구간은 정말로 압도적인 난이도를 자랑한다. 포럼 전체에 있는 맵을 통틀어서도 비행 구간은 손 꼽을 정도로 어렵다.[287] CairoX, iNubble, DonutTV[288] Byboy11, BitZel, Rock3ro, Blasting Ant, Fragox, Teddy Creator, Axdrel, JaxtilanX, Polli, Astrofox, Zafkiel, Alfred, Male20, NeoGamer, Minimax, AlexTG, Oasiz, xSergid1g, GuitarHeroStyles[289] Quiken, YakobNugget, Tex02, ShowtimeVonParty, Alfred, Amidon, JonathanGD, xStar7, Mazl, Axils, Witby, GuitarHeroStyles, FrancaDash, Rocketeer, CastriX, Pikappa, MrPPs, Xylph, Pix3lest[290] Epsilonic, Ryder, Liebz, Lipz, Eggnog, Sminx, JaoDay, Nico99, Franx6, Masu, Zafkiel, Temp, Voltex, PokeChatt, HelpegasuS, Mezzo, Golden, Pennutoh, Makaron, Burrito, Marwec[291] 버그픽스 이전 버전이다.[292] DreamEater, Pennutoh, Zanna83, Avakai, ISanEGFW, Nico99, BIANOX, Poccottini, DiscJoker, DryBones, NotSucc, Altin[293] Bianox, Dynix, TeslaX, Seedot, Alecast, Frotzn, DWShin[294] Nico99, MrLorenzo, HadiGD, Goose, Enzore, NightXStalker, SSRav3n[295] Derpskull, Yusuksto, XLGamer10, Nightlight, Derplight, Qorbo, Ryu, Moone, Turbo868[296] 현재 약 열 단계 밑의 The Ultimate Phase보다도 아래였다.[297] Reunomi, Kurokawa, VirtualCrack, Enzore, rRaddy, TheRealnbsier[298] ZeroSR, linus02, Jenkins, Vapen, GiaMMix, endevvor, Darwin, James, Dawnfall, Codex, Arclia, Deadlox, Juhou, ewop, Scrumpy[299] 여담으로 이 부분을 디자인한 Hinds는 후에 Yatagarasu에 엄청나게 극악한 나비모드를 만들었다.[300] Noriega는 본인이 제작한 공식 스테이지의 극상향 리메이크작을 v3라고 이름붙인다.[301] Ozpectro의 첫 맵은 Nos Of Psilocybin으로 현재 서버에 남아있지 않다.[302] 51-52 구간의 경우 개인차에 따라 갈리지만 비슷한 티어의 익스트림 데몬의 모든 순간난이도 중 가장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이다.[303] Shaggy23, Fr3mite, Colombia Dash, JeffryNeko, Dasilio, Zeithex, IHellRaiser, Rock3ro[304] Mojitoz, DangerKat, Meox, Skele, Lyomi, N3moProd, KWMS, Shadowboy, Nau, Xatz, Epochal, Allie, iBoop, Viper, Trudde, 7Rodo[305] vyp, DangerKat, AgSilver, pyrtsune, tenzk, truongwf, AudieoVisual, SmoopInc, GDSynthetik, minusx, Exiked, bunch, RavingRafters, Lyriaki, Joenuh, JVix, Ellisha, mau9375, TropoGD, Kimi18, CryoChemist, Skipumi, endevvor, Kazey, LillyVX, HollowEarth, marrk, VoidOfTheSkies, Voxicat, Cdpre, Xender Game, Antigen, JA4Y, SKepler, R4NGER, Adafka, ZeroSR, fJud, Knots, Nascence, Xolarzz, XdMaNiaC, JamAttack, ItzKiba, SmitN, oraangee, neigefeu, Kitzsune, Y0rk, Subpixel, SleyGD[306] Zoink Doink, MiniWheatDuo, Valentine, Lazer, ryli06, Agaat, snowkeo, Raddie, Renn24,1 Blankb, ViewSonic[307] VigorousGard3n, Atimistic, Rokioto, Usagi, Th3HungGD, PeterNguyen2k4, SharksVN, Wiston02, Nexorous, Lammyzz, HyperBlastz, ShinichiVN, Hyperlink, Tecler, Kientong345, NamK, FFlame, Maxie25, Dangnghi, Xegear, Markydash, Kittom, Xyanide, Sorext[308] Canonlaw, s3batr0nic, Haidenn, CarlosArt16, GTrap[309] deadlox, EndLevel, Ka1ns, ewop, Silver[310] BlassCFB, Aviila RX2X, MaxiS9, Slypp, Skullo, GD Kapinapi, SoulsTRK, TheJaco9, Epsilonic, AmStr0ng PWR, SrGuillester, Mullsy, TheRealZephal, Pablohh, TastyToast, Sungsu Kim, MetaManZ, TomPP & Luqualize, Tipp7, EVW[311] For Matilda 시리즈의 세번째 맵이기도 한다. 맵의 설명창에 For Matilda 시리즈 3과 Machine 시리즈 3을 합쳤다고 적혀있다.[312] GDSkele, LIEB, Studt, Wless, Megantwoo, Marcel, El3ctrO, Vampur, Kakemancool, Firs, pocke, Rynoxious, Grax, Splash[313] TROLLM4CHINE, Lagnugg, LATEO, Tsuzuito, Luvery, Vitchrose, Ishigiru, RT[314] Zafkiel7, ARtu, DYZEX, DavidProduction, ShawDowBoy, Miguel135, SrAntho, Sagascius, DoliaX, Kava, JairoP18, vyu74, AppleCr, Byomix, iTzRolexio18, iMeox, TheElectro, Sekya, iHanzu, xThundra, Mangosteen, Mostr0, SrLuiPech, Ashene, Ryaldymont, FallingStarGD, Vermnt, iboii, djsahrpnel[315] Rustam, Zober, ZenthicAlpha, Amoramc, Platnuu, Sharks, Berke423, Lucasyecla99, Ryder, Mazl, Krampux, Disp[316] 맵을 보면 초반의 3~5번째 파트와 그 이후의 파트의 퀄리티가 눈에 띄게 차이나는 것을 볼 수 있다.[317] Disp, Disappear, UltimateGuy, Vird, Sl@v.ik, Sightorld, XCore, RespectVG, MUFF1N, Namtar, Snowr33de, ChaSe[318] 2.0때 찍은 거라서 그렇다. 2.0은 배모드로 바뀔 때 가끔씩 배가 한 바퀴 정도 도는 버그가 있었다. 물론 플레이에 지장은 없다. 이후 2.1버전때 수정되었다.[319] 제작자의 맵 설명을 보면 '24% bug fixed" 라고 써져 있는데 아직도 버그가 걸리고 있다...[320] 심지어, 제작자가 11달 전 댓글 이후 활동이 없어서 고쳐질 가능성이...[321] 파괴적인이라는 뜻도 있다.[322] 그러나 24% 버그는 아직도 있는 것을 보아 그냥 고치는 방법을 모르는 듯 하다.[323] McCoco, at4244, destinykawaii, kamuiman89, frhyoko, championjoshu, aakunakunn, ijacek_cz, melonz_man, poison, GrisClub[324] Marwec, ggnog, zalspr, Buragoz, FerdeFunky, Dominuus, OpteX, Vapen, Subwoofer, victorinoxX, Sminx[325] TheGamerPiggy, Geocrafterz, cTRL, Doodloo, Mactanow, Arclight, Aqueous, Yendis, Plexidit, TheRealIgno, omegaGMD, Albertalberto, Hunter5202, Erm4ck, CheeseSlayer, RpgRaketti[326] SeoRo, Alice, Lunaris, Jun17, AnGyung, akaCreamz, MintJelly, cleangame, almondy, dunts, Gaudium, lagreed, rxvinn[327] Riot 버전 Cataclysm보다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328] Explorers의 작곡가가 맞다.[329] ryli06, plexx, Insidee, Loltad, nwolc, quac, rustere, para[330] ilnm, Kastinq, Molds, Sungjin, Yonaka, Sola, LXVT, Flosia, Mangolu, Muon, InterChange, Milena22, SeokSo, wapon77, Gaudium, LekuJX, Naimmaro, Dobby11, Mephitz, Zesqur, SomeoneD, Cdpre, SyQual, Iagreed, Maplegaegosu, 3niv, Mintjelly, Decorus[331] BIANOX, Marwec, Woom, Vlacc, Jenkins, Thomartin, FerdeFunky, Koolboom, TCHKE, Buragoz, ZeroSR, Sauzzeth, GRINDEX, BUCKENDOOF, Artu, para, Scrumpy, E.0.T.S[332] 이쪽은 144hz 클리어자가 거의 없는 반면에 Retention은 그래도 버그 고친 복사본으로 깨거나, 버그가 나오거나 말거나 그냥 144hz로 깨는 사람들도 있다. 버그가 나올 확률이 비교적 적다고 한다.[333] HelpegasuS, kDarko, Sequex, Zero, Enlex, Voltex, Bianox, Jenkins GD, Zipixbox, Sxap, Arceus4[334] 한국포럼에서 너프 후의 순위가 너프 전의 순위보다 약 35위 가량 낮아진것으로 보아, 너프가 심각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335] 60hz로는 세계최초이다.[336] Xinpa, Onnikonna, GDSean, Worfy, Jiikoo, Xingtik, HJfod, Worz, Paristo, Aksum, Lestainen, Juhou, Manheadrambo, Miikkem, WhitePythor, Latezk, Hadronic, Jaipes, Duffz, Axiomslayer, Flaksy, Arkki, Unerve, Zigc, Zosemiux[337] Vismuth, LekuGD, Krampux, Mango80[338] Ezel142, ViralDl, Ylliee, MichciachGD, Texic, Supris, RicoMeister, Zgredek Władca Kredek, Anime Animator, Lazyer, blazer2[339] atheoz, xevenfurious, raptorz, reverier, megaspeed, codly, crispy creepz, IIIRyanIII[340] 당시 Cataclysm 15위, The Flawless 19위[341] 여담으로 SrGuillester가 클리어하기 전전 시도에서 99%를 먹었었다... 정확히 마지막 가시에서 죽은 것이다.[342] 보통 이런 경우는 롭탑이 레이팅을 하지 않거나 은색코인을 붙이지 않는다. The Hell Factory, Wcropolix 등등...그러나 2020년 12월 4일 업데이트 이후로 코인 루트가 생겨 이젠 공짜로 주지 않는다.[343] 2024년 4월 현재는 익스트림 데몬이다.[344] 너프 이전, 이후 비교 영상. 보면 알 듯 정말 심각할 정도로 너프를 먹였다. 그 중에서도 암전 이전 웨이브는 다방면적으로 너프를 했는데, 시야 방해 제거는 물론, 가시까지 제거하면서 난이도가 급하락했다! 이후 나비모드의 경우도 1칸 간격에서 2~3칸으로 늘리는 등의 대대적이 너프가 있었다.[345] 롭탑을 대신해 별을 책정하는 걸 도와주는 사람[346] 오후 11시 56분에 깨서 매우 아슬아슬하게 7일차에 성공했다 한다.[347] BowTie, xVoid, SmitN, FraPai, Jaxxn, alaskafx, Smartish, HugoLA, Classic10, mordroc7, Hasik[348] 그러나 그는 이미 Carnage Mode라는 유명 포럼 합작맵에 참여한 전적이 있기에 완전한 신인이라 보기는 어렵다.[349] endevvor, hyp3rlink, Sauzzeth, DiamondSkull, SmitN, Yoonsr, linus02, Bli, matty2003, voltex, guleshelt, TheShoot, CuaeR, AppleCr, qMystic, Convie, curxe[350] Enlex, Sxap, Lyal, Niji, Ryder, Nosef, MrLorenzo, Roomen, CesDroid[351] 그래서인지 기본 오브젝트가 많이 보인다.[352] Anime Animator, RicoMeister, ZWK, Milos482, Mobi, BlastFurnace, LaysMan, Prisma, Corrox, Craf, ViralDL[353] RLOL, Jakerz, PotatoPlayer, LazerBlitz, Samifying, f3lixsram, Dudex, Stubbypinata, Tronzeki, Nahuel2998, Skitten, iZinaDash, Ilrell, Bianox, Loogiah, Twoots, SirHadoken, knobbelboy, Darwin, ThorMode, RapidBlaze, Funnygame, TiTi26, Drift, SlimJim, YunHaSeu14, Thomartin, Rustam[354] MaxyLAND, Daxfan, Irving Soluble, Retropt, Strill, FurixGD, Chuchito Domin, Abdula, RaZZ[355] Metalface221, Duffz, Kllnex, Paristo, Temp, Majkomar, XinpA, Unigeny, Surge, Flaksy, Enixy, ShowtimeVonParty[356] Findexi, Isane, Hadronic, Killa, Paristo, XinpA, Juhou, CreatorAP, Worfy, Rhythmical, Leksitoo, Kllnex, CloudX9, LinkTheGamer, JJoona, Blitzmister, Ja8pes, Saria, JHdash77[357] Laser10, Diplow, Zafkiel7, ByBoy 11, Chi, Enboy, M3llo, Dro3, Azos11, Chuchitodomin, NVATIUM, Aqours, JaxtilanX, xanN, ZadoxxZ, icotchy, DanielDLC, Abdula, TheBoringBoy, Zyplex, Lucalry, Mapex, DangerKat, Gathitho, IPersuit, Trudee Fabian, Blasting Ant, ItzStrill, Slip Goast, llJoanll,Stamina[358] Bibox, testicle49, Opry_GD, Kodex360gdm, humbyjumby, _ego11, PDKhoa, TheRealJustJrock, notredboi634, Antobyy, slayerzgmd, kalvinn1, HarekuGD, Drunya, Drewch, ENCEL4DUX, synage3211, xVolo2, khronos4687, goldeneragd7563, Rupellar, xe_nithhhh[359] Looou, Piseto, AbstractDark, Rishi, Soluble, Yoppe, Rafer, Zoomks[360] GaidenHertuny, HelpegasuS, Sh4rkyGD, TrusTa, PeroXide01, Isane, iMasu, Mactanow, Nahuel2998, Manix648, ZeroSR, Deso, Reunomi[361] 여담으로 JonathanGD도 이 CC에 참가해서 3위에 등극했는데, 그 맵이 바로 Dark Travel이었다.[362] 영상 제목에도 Crazy Insane Demon이라 작성했고, 클리어한 후 반응을 보면 정말 어려웠다는 것을 알 수 있다.[363] 여담으로 97%부근에서 죽은 적이 있는데 그 구간은 타이밍 대충 잡고 유에프오를 3번 클릭하면 되는 구간이었다. 그 타이밍을 잘못 잡아 죽은 게 아닌 그냥 말 그대로 클릭도 못 해보고 뚝 떨어져 죽었다.[364] ryamu, linus02, curxe, Zuku, Maitnary, Crouley, Loqie, Markus, Helpegasus, HadoX, SirZaiss, gulesheltenqler, Itami, CuaeR, voltex, Sauzzeth[365] royen, qjamie, Smellbert, silver, Demented, Theorical[366] Sruj, gdpluff, Marwec, Vapen, ChiN3x, Movietheaters, Elliptic4l, Dawnf4ll, para, voltex, e0ts[367] Asuith,Aranda,Mrgm,Titoalper,KrazyGFX,Genoxide,Pedro,TheRealPeng,BeClan,Teno[368] 2024년 10월 26일 기준[369] Kodex360, WoiteForesst, Revv, G3oGame, Unne, Destriv, TruDee, Elliptic4l, TheRealPeng, Mordroc7, Mangosteen, Terraform, Akvaz, PreeZee, Atlex, MadRy, NoobyPro27, 8uua, Nekotik, Ka1sa, Sparkle224[370] Squizaaard, RatQuesadilla, xyuns, Onvil, ovdfo[371] whlt, J27Blaze, MaxxoRMeN[372] LiquidoxGMD, nifiro, YKSWAAG, synage3211, exiiime, GDdisease, ego11, Hantein, Sigex, heptanone[373] LiquidoxGMD, nifiro, YKSWAAG, synage3211, exiiime, GDdisease, ego11, Hantein, Sigex, heptanone[374] Wombat, Djoxy, GaidenHertuny, KingTony, Manheadrambo, Mactanow, zhawker, Squared, SpadeKilla17, Kazia, Cyber Orion, Optation, Hexhammer, Straw, Aqwuh, Bermard, Oasiz, FozaeKitty[375] 현재 약 열 단계 밑의 The Ultimate Phase보다도 아래였다.[376] royen, qjamie, Smellbert, silver, Demented, Theorical[377] royen, qjamie, Smellbert, silver, Demented, Theorical[378] Findexi, Isane, Hadronic, Killa, Paristo, XinpA, Juhou, CreatorAP, Worfy, Rhythmical, Leksitoo, Kllnex, CloudX9, LinkTheGamer, JJoona, Blitzmister, Ja8pes, Saria, JHdash77[379]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