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1. 개요2. 목록
2.1. Graceful2.2. Henken2.3. The Nautical2.4. Cannon Bay2.5. THE ROCK HOUSE2.6. Exens Limit2.7. Cimmerian Shade2.8. Piano Man2.9. Through the Gates2.10. Element 111 Rg2.11. Centipede2.12. Based After Based2.13. Limbo but uwu ig idk2.14. Aquamarine2.15. Ashley wave trials2.16. Piano Woman2.17. The Plunge2.18. Convulsion2.19. Apocalyptic Trilogy2.20. Subterminal Point2.21. Quanteuse Processing
1. 개요[편집]
Top 75 내에 들 정도로 극악한 데몬이지만 별이 붙지 않은 데몬들 목록이다. 베리파이된지 얼마 되지 않아 별이 붙지 않았거나 유명하지 않아 별이 붙지 못한 맵들도 여기에 포함된다.
https://demonlist.org 비공식 포럼인 이 사이트에는 별이 붙지 않은 데몬까지 묶어서 대략적인 순위를 보여주므로 참고.
또한 UDL라고 Unrated Demon끼리 순위를 매긴 사이트도 존재한다.
https://demonlist.org 비공식 포럼인 이 사이트에는 별이 붙지 않은 데몬까지 묶어서 대략적인 순위를 보여주므로 참고.
또한 UDL라고 Unrated Demon끼리 순위를 매긴 사이트도 존재한다.
2. 목록[편집]
새로운 맵을 추가할 경우 항상 맨 아래에 둬야 한다. 따라서, 맵 순서는 맵 ID가 빠른 순서다.
- 레벨 등재 조건
- 등재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 위의 등재 조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못할 경우 문단에서 지운다.
2.1. Graceful[편집]
Graceful - DaG & more[1], Verified by DaG
전체적으로 모던한 디자인의 맵.
해당 맵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게임플레이에 대한 평가는 하나같이 악평 일색. 디자인 또한 아무런 연관도 없는 디자인들끼리 짬뽕되어 어색하다며 악평이 자자하다.그냥 Travel 시리즈가 따로없다 걍 Graceful Travel로 바꿨다면 레이팅 되었을지도
2021년 7월 29일, 베리파이되었다.
ILL 상으로는 The Golden과 Zodiac 사이에 있다.
후속작으로 Gracefully가 제작되었으며 현재 베리파이 되어 레이팅도 되었다. [2]
전체적으로 모던한 디자인의 맵.
해당 맵을 플레이한 유저들의 게임플레이에 대한 평가는 하나같이 악평 일색. 디자인 또한 아무런 연관도 없는 디자인들끼리 짬뽕되어 어색하다며 악평이 자자하다.
2021년 7월 29일, 베리파이되었다.
ILL 상으로는 The Golden과 Zodiac 사이에 있다.
후속작으로 Gracefully가 제작되었으며 현재 베리파이 되어 레이팅도 되었다. [2]
2.2. Henken[편집]
Henken - Yozyo & more[3], Verified by Gokill GD
Yozyo 및 여러 폴란드 크리에이터들이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
2022년 6월 4일 Gokill GD에 의해 베리파이되었고, 난이도는 10~15위 정도라고 한다.
Yozyo 및 여러 폴란드 크리에이터들이 제작한 익스트림 데몬.
2022년 6월 4일 Gokill GD에 의해 베리파이되었고, 난이도는 10~15위 정도라고 한다.
2.3. The Nautical[편집]
2.4. Cannon Bay[편집]
2.5. THE ROCK HOUSE[편집]
2.6. Exens Limit[편집]
Exens Limit - Zylenox, Verified by Cursed
Zylenox가 만든 Sakupen Circles의 또다른 리메이크 작.
2023년 6월 19일, Cursed가 베리파이했다.
Zylenox가 만든 Sakupen Circles의 또다른 리메이크 작.
2023년 6월 19일, Cursed가 베리파이했다.
2.7. Cimmerian Shade[편집]
Cimmerian Shade - SrGuillester & Azuler, Verified by spcreat
과거 Upcoming Demon 중 최고난이도 맵 중 하나로 악명높았던 맵.[6] SrGuillester의 맵으로 2017년 2월에 처음 레이아웃이 공개되었으며, 극악의 듀얼 웨이브와 큐브 칼타, 마지막 암전 웨이브가 악명높은 맵이었다. 특히 마지막 암전 웨이브는 이 맵이 제작될 당시에는 불가능 판정을 받았었다.
너무 어려워서 도전자가 나오지 않았고 오랫동안 잊혀져있다가 2023년 8월 13일 맵이 시작된 지 6년 6개월만에 spcreat가 58,347어템을 써서 베리파이했다. 그의 말로는 TOP 10, 즉 Firework급이라고 하며, 이 맵의 첫번째 클리어자인 HSW는 이 맵이 확실히 Tartarus급 맵[7]보다는 압도적으로 어렵다고 하였다.이런 물건이 2.1 극초기에 나왔다.
비슷한 난이도의 레벨 중에서는 프레임 퍼펙트가 16개로 가장 적은 축에 속한다. Firework나 Kyouki 정도가 역시 프레임 퍼펙트가 적은 축에 들지만 이 맵은 짧아서 더욱 임팩트가 크다.[8] 프레임 퍼펙트가 난이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좋은 예.[9] 프레임 퍼펙트는 적지만 다른 구간도 60fps 기준 2~3프레임 수준으로 만만한 난이도가 아니며, 암전과 깜빡이는 장애물 때문에 길이 거의 보이지 않아 레이아웃보다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특히나 어렵다고 평가받는 파트들이 애매한 타이밍의 연타라는 점이 난이도 상승의 주 요인이다.
한때 매우 유명한 맵이었으나 오랫동안 맵이 중단되었으며 난이도도 1위를 할 수 없는 수준이라[10] 그런지 현재는 화제성이 거의 죽은 맵이 되었다.
과거 Upcoming Demon 중 최고난이도 맵 중 하나로 악명높았던 맵.[6] SrGuillester의 맵으로 2017년 2월에 처음 레이아웃이 공개되었으며, 극악의 듀얼 웨이브와 큐브 칼타, 마지막 암전 웨이브가 악명높은 맵이었다. 특히 마지막 암전 웨이브는 이 맵이 제작될 당시에는 불가능 판정을 받았었다.
너무 어려워서 도전자가 나오지 않았고 오랫동안 잊혀져있다가 2023년 8월 13일 맵이 시작된 지 6년 6개월만에 spcreat가 58,347어템을 써서 베리파이했다. 그의 말로는 TOP 10, 즉 Firework급이라고 하며, 이 맵의 첫번째 클리어자인 HSW는 이 맵이 확실히 Tartarus급 맵[7]보다는 압도적으로 어렵다고 하였다.
비슷한 난이도의 레벨 중에서는 프레임 퍼펙트가 16개로 가장 적은 축에 속한다. Firework나 Kyouki 정도가 역시 프레임 퍼펙트가 적은 축에 들지만 이 맵은 짧아서 더욱 임팩트가 크다.[8] 프레임 퍼펙트가 난이도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좋은 예.[9] 프레임 퍼펙트는 적지만 다른 구간도 60fps 기준 2~3프레임 수준으로 만만한 난이도가 아니며, 암전과 깜빡이는 장애물 때문에 길이 거의 보이지 않아 레이아웃보다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진다. 특히나 어렵다고 평가받는 파트들이 애매한 타이밍의 연타라는 점이 난이도 상승의 주 요인이다.
한때 매우 유명한 맵이었으나 오랫동안 맵이 중단되었으며 난이도도 1위를 할 수 없는 수준이라[10] 그런지 현재는 화제성이 거의 죽은 맵이 되었다.
2.8. Piano Man[편집]
2.9. Through the Gates[편집]
Through the Gates - Maestro, Illuminati, kentakiman & more, Verified by Zoink
2.1 초기에 만들어진 준 불가능 맵이다. 제작 당시에는 불가능한 난이도였지만, 시간이 지나며 상향평준화가 진행되자 가능한 선까지 내려와 베리파이가 시작되었다. 초중반부도 난이도가 높지만 비슷한 난이도의 레벨과 비교하면 상당히 쉬운 편인데, 극후반부에 다다르면 Thinking Space를 가볍게 뛰어넘는 후살이 펼쳐진다. 78%를 넘어가면 등장하는 일자비행과 볼 듀얼, 분홍 공점 UFO, 그리고 96%의 120fps 프레임 퍼펙트급 초극악 웨이브[11]는 어째서 이 맵이 2.1이 끝나기 직전까지 깨지지 않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베리파이 과정에서 우여곡절이 참 많았던 맵이다. 원래 Exen[12]이 베리파이에 성공했었는데, 이후 Exen이 다른 맵에 악의적 핵 사용을 한 것이 적발되어 그의 클리어 기록 대부분이 말소되었다. 여러 정황상 Exen은 이 맵도 핵을 사용하여 클리어했을 가능성이 높지만,[13] 제작팀인 TeamTheDasher에 의하면 이 맵이 핵으로 클리어되었다는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는 셈. 때문에 제작팀 TeamTheDasher는 Zoink의 클리어 이후에도 여전히 Zoink가 아닌 Exen을 베리파이어로 인정한다는 관점을 밝혔다. Zoink의 클리어 영상에도 베리파이/최초 클리어라는 표현이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어쨌든 Exen이 해커로 밝혀진 이후 이 맵도 한동안 가능과 불가능의 경계에서 머물렀지만, 구 불가능 맵들을 파는 유저 Septagon이 이 맵의 클리어를 목적으로 도전을 시작했다. 그리고 2023년 9월 9일 약 74,000어템을 사용해 93%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1달쯤 지난 2023년 10월 7일 지루했던 Zoink가 뭔가 재밌는 맵을 찾던 도중 이 맵을 발견해 파기 시작했고, The Lightning Rod를 클리어한 후 본격적으로 도전을 시작했다. 그리고 도전 시작 2일 만에 약 3,300어템으로 96%를 달성한 영상을 올렸고, 다음 날인 2023년 10월 13일 4,313어템을 소모해 베리파이/최초 클리어에 성공했다.
클리어 이후 Zoink는 이 맵이 Top 20, 즉 Tartarus급이라고 언급했다. 제작팀이 Exen을 베리파이어로 인정하자 자신의 X에 Exen을 조롱하는 글을 올린 건 덤.# Tartarus급 맵을 단 3일 만에 4천 어템으로 클리어해내는 Zoink의 실력을 알 수 있는 부분이지만, Zoink가 먼저 클리어에 도전하고 있던 Septagon의 기록을 뺏었다며 비판하는 의견도 존재한다.[14]
2024년 1월 21일, Septagon이 96%를 달성했다.
2024년 2월 13일, Septagon이 2년 반동안 112,652어템을 쓴 끝에 클리어에 성공했다!!
2.1 초기에 만들어진 준 불가능 맵이다. 제작 당시에는 불가능한 난이도였지만, 시간이 지나며 상향평준화가 진행되자 가능한 선까지 내려와 베리파이가 시작되었다. 초중반부도 난이도가 높지만 비슷한 난이도의 레벨과 비교하면 상당히 쉬운 편인데, 극후반부에 다다르면 Thinking Space를 가볍게 뛰어넘는 후살이 펼쳐진다. 78%를 넘어가면 등장하는 일자비행과 볼 듀얼, 분홍 공점 UFO, 그리고 96%의 120fps 프레임 퍼펙트급 초극악 웨이브[11]는 어째서 이 맵이 2.1이 끝나기 직전까지 깨지지 않았는지를 단적으로 보여 준다.
베리파이 과정에서 우여곡절이 참 많았던 맵이다. 원래 Exen[12]이 베리파이에 성공했었는데, 이후 Exen이 다른 맵에 악의적 핵 사용을 한 것이 적발되어 그의 클리어 기록 대부분이 말소되었다. 여러 정황상 Exen은 이 맵도 핵을 사용하여 클리어했을 가능성이 높지만,[13] 제작팀인 TeamTheDasher에 의하면 이 맵이 핵으로 클리어되었다는 확실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한다. 심증은 있는데 물증이 없는 셈. 때문에 제작팀 TeamTheDasher는 Zoink의 클리어 이후에도 여전히 Zoink가 아닌 Exen을 베리파이어로 인정한다는 관점을 밝혔다. Zoink의 클리어 영상에도 베리파이/최초 클리어라는 표현이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어쨌든 Exen이 해커로 밝혀진 이후 이 맵도 한동안 가능과 불가능의 경계에서 머물렀지만, 구 불가능 맵들을 파는 유저 Septagon이 이 맵의 클리어를 목적으로 도전을 시작했다. 그리고 2023년 9월 9일 약 74,000어템을 사용해 93%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다.
1달쯤 지난 2023년 10월 7일 지루했던 Zoink가 뭔가 재밌는 맵을 찾던 도중 이 맵을 발견해 파기 시작했고, The Lightning Rod를 클리어한 후 본격적으로 도전을 시작했다. 그리고 도전 시작 2일 만에 약 3,300어템으로 96%를 달성한 영상을 올렸고, 다음 날인 2023년 10월 13일 4,313어템을 소모해 베리파이/최초 클리어에 성공했다.
클리어 이후 Zoink는 이 맵이 Top 20, 즉 Tartarus급이라고 언급했다. 제작팀이 Exen을 베리파이어로 인정하자 자신의 X에 Exen을 조롱하는 글을 올린 건 덤.# Tartarus급 맵을 단 3일 만에 4천 어템으로 클리어해내는 Zoink의 실력을 알 수 있는 부분이지만, Zoink가 먼저 클리어에 도전하고 있던 Septagon의 기록을 뺏었다며 비판하는 의견도 존재한다.[14]
2024년 1월 21일, Septagon이 96%를 달성했다.
2024년 2월 13일, Septagon이 2년 반동안 112,652어템을 쓴 끝에 클리어에 성공했다!!
2.10. Element 111 Rg[편집]
2.11. Centipede[편집]
Centipede - zander12, Verified by LordVadercraft
zander12가 제작한 초록색 계열의 나인 서클 레벨. 예상 난이도는 TOP 18~19이다.[15]
2.2 업데이트 이후로 줌 인/아웃 트리거, 화면 효과 트리거 등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확실히 더 2.2스러운 레벨이 된 모습.
현재 LordVadercraft가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으며, 96%, 39-100%를 달성했다.
2024년 6월 17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4년 6월 22일 새벽 1시 6분경, Trick이 약 5,700어템만으로 최초로 클리어하였으며, TOP 15로 평가했다. #
zander12가 제작한 초록색 계열의 나인 서클 레벨. 예상 난이도는 TOP 18~19이다.[15]
2.2 업데이트 이후로 줌 인/아웃 트리거, 화면 효과 트리거 등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확실히 더 2.2스러운 레벨이 된 모습.
현재 LordVadercraft가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베리파이를 진행하고 있으며, 96%, 39-100%를 달성했다.
2024년 6월 17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4년 6월 22일 새벽 1시 6분경, Trick이 약 5,700어템만으로 최초로 클리어하였으며, TOP 15로 평가했다. #
2.12. Based After Based[편집]
2.13. Limbo but uwu ig idk[편집]
2.14. Aquamarine[편집]
2.15. Ashley wave trials[편집]
2.16. Piano Woman[편집]
2.17. The Plunge[편집]
The Plunge by Dola & more | |
현 상태 | 베리파이 됨 |
예상 난이도 | Top ?~46 |
음악 |
Dola가 주최하는 흑백 테마의 합작.
부서진 가구들이 흩날리는 소용돌이에서 빠져나가는 느낌을 준다. 중간에 노래가 먹먹해지면서 방 안에 들어가는 연출이 호평을 받는다. 공개된 당시인 2년 전엔 Top 5급의 난이도로 여겨졌으나 시간이 지나며 상향평준화로 인해 Top 15-35급으로 내려 앉았다. 엔딩아트를 제외하면 52초도 안되는 Medium급 레벨이며 그 안에 부드러운 게임플레이가 주를 이룬다.
현재 베리파이어인 Gokill GD가 85%를 달성했다.
2024년 12월 19일, Gokill GD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부서진 가구들이 흩날리는 소용돌이에서 빠져나가는 느낌을 준다. 중간에 노래가 먹먹해지면서 방 안에 들어가는 연출이 호평을 받는다. 공개된 당시인 2년 전엔 Top 5급의 난이도로 여겨졌으나 시간이 지나며 상향평준화로 인해 Top 15-35급으로 내려 앉았다. 엔딩아트를 제외하면 52초도 안되는 Medium급 레벨이며 그 안에 부드러운 게임플레이가 주를 이룬다.
현재 베리파이어인 Gokill GD가 85%를 달성했다.
2024년 12월 19일, Gokill GD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18. Convulsion[편집]
Convulsion by stellar | ||||||||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113322063 | 1분 6초 | 79913 | 2.2 | ||||
|
2.19. Apocalyptic Trilogy[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없음 | 113443235 | 4분 29초 | 409881 | 2.2 | ||||
|
호스트 Zimnyte를 필두로 유명 크리에이터 팀 APTeam과 다수의 유저들이 모여 제작한 맵. 약칭은 APT.
일명 'Apocalyptic Trilogy(종말 3부작)'로 불렸던 Cataclysm, Bloodbath, Aftermath를 이어 붙힌 뒤 극상향한 맵이다. 2016년 3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무려 7년 5개월의 시간을 거쳐 2023년 8월 27일 최종 버전의 쇼케이스가 공개되었다.[18] 오브젝트 수는 45만 이상이라고 한다.
공개 당시부터 최고 난이도 2.1 데몬이라고 공언되었으며, 그에 걸맞게 모든 파트의 간격이 원본 맵과 비교해 극도로 좁아졌다.[19] 베리파리어인 Trick은 68-100%를 가는 것만 해도 Top 15급 난이도라는 평을 내렸다.[20] 맵의 길이도 세 맵을 합쳐 놓은 덕에 4분 30초 가량으로 매우 길다. Trick은 Tidal Wave 클리어 영상에서 Tidal Wave가 현재 인간 능력의 정점이지만, 이 게임에서 어디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지 알고 싶기 때문에 APT를 Tidal Wave보다 훨씬 더 어렵게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21] 즉 크리에이터와 베리파이어 모두 작정하고 압도적 1위 맵을 만드려는 목적으로 탄생시킨 맵이다.[22]
7년 5개월이 걸린 프로젝트답게 맵의 디자인이 굉장히 뛰어나 지옥 테마에 학을 떼는 유저들도 이견 없이 베리파이된다면 역대 최고의 Top 1 맵이 될 것이라 호평하고 있다. 원본 맵들의 좋은 게임플레이도 호평 요소.[23] 무엇보다도 원본인 Cataclysm과 Bloodbath는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이 큰 맵을 꼽을 때 반드시 들어가는 맵인데, 이러한 맵을 엄청난 퀄리티와 극악한 난이도로 리메이크했으니 Bloodlust가 그랬듯 공개 직후부터 유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Trick이 30%[24], 68-100%[25]를 달성했다.[56-100%]
2.2 업데이트 이후 Zimnyte가 2.2 편집기에서 APT를 열어 보니 맵이 모두 날아가 버렸다는 사실을 공개했다.#1#2 2.2 업데이트 때문에 버그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데 맵이 통째로 날아가는 건 APT가 처음 알려진 사례이다. 백업은 당연히 해놓았다고 한다. 버그로 레벨 하나가 날아가는 게 웃겨서 비웃음의 의미로 올린 거라고.
2024년 7월 4일, fnm04가 버프된 버전의 쇼케이스를 올렸다. 처음 쇼케이스가 올라왔을 때 여론과는 정반대로 악평이 자자하다.
사실 비판거리는 상당히 많은 레벨이었는데, 상징성을 빼면 Top 1, 또는 그게 아니더라도 상당히 부족한 부분이 많다. 대형 합작임을 감안해도 동굴, 용암 바다[27], 코어 디자인이 난잡하고 일관성없게 짜여있으며 파트마다 퀄리티 차이가 나는 게 눈에 띨 정도이다. 게임 플레이도 수 년은 우려먹은 지옥 삼부작을 그대로 답습해 지루하고 안그래도 Avernus 등 버프에 대한 반감이 높은 상태에서 시행한 어이없을 정도로 빡빡한 가시배치는 피로할 수 밖에 없다. 직접 쇼케이스를 찍은 fnm04에 따르면, 어두운 칼타, 맞지 않는 싱크, 쉐이크 남용, 비밀길과 버그 등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걸 알 수 있다. 덜 익은 눅눅한 피자(...)같은 짝퉁이라는, 강도 높은 비판이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영상 댓글에 트릭도 2015년의 게임플레이를 Top 1로 만드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프로젝트에 대한 애정이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28]
7월 5일, Trick이 베리파이어 자격을 박탈당하고 Polterghast[29]가 새로운 베리파이어가 되었다. 사유는 레벨 유출 및 활동 부재라고 한다. APTeam의 리더인 Zimnyte는 Trick이 직접 버프했지만 진전 없이 1년이나 미뤄놓고 불가능해 너프가 필요하다고 불평했다고 말한다. 또한 fnm04는 Trick의 요청으로 이를 허락 없이 쇼케이스 영상을 올린 것이다.
이에 Trick도 쫓아내줘서 고맙다고 화답하며 대립하고 있다.
한편 Polterghast 는 기록에 연연하지 않고 Tartarus급으로 너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현재 Polterghast가 81%, 70-100%를 달성했다.[30]
2024년 12월 24일, 8년 9개월이라는 시간 끝에 드디어 베리파이되었다!!#역대급 리액션 많은 사람들이 크리스마스의 선물 내지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며 축하하고 있다.
사용된 노래는 at the speed of light를 Zimnior12가 리믹스한 것이다.
일명 'Apocalyptic Trilogy(종말 3부작)'로 불렸던 Cataclysm, Bloodbath, Aftermath를 이어 붙힌 뒤 극상향한 맵이다. 2016년 3월에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무려 7년 5개월의 시간을 거쳐 2023년 8월 27일 최종 버전의 쇼케이스가 공개되었다.[18] 오브젝트 수는 45만 이상이라고 한다.
공개 당시부터 최고 난이도 2.1 데몬이라고 공언되었으며, 그에 걸맞게 모든 파트의 간격이 원본 맵과 비교해 극도로 좁아졌다.[19] 베리파리어인 Trick은 68-100%를 가는 것만 해도 Top 15급 난이도라는 평을 내렸다.[20] 맵의 길이도 세 맵을 합쳐 놓은 덕에 4분 30초 가량으로 매우 길다. Trick은 Tidal Wave 클리어 영상에서 Tidal Wave가 현재 인간 능력의 정점이지만, 이 게임에서 어디까지 밀어붙일 수 있는지 알고 싶기 때문에 APT를 Tidal Wave보다 훨씬 더 어렵게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21] 즉 크리에이터와 베리파이어 모두 작정하고 압도적 1위 맵을 만드려는 목적으로 탄생시킨 맵이다.[22]
7년 5개월이 걸린 프로젝트답게 맵의 디자인이 굉장히 뛰어나 지옥 테마에 학을 떼는 유저들도 이견 없이 베리파이된다면 역대 최고의 Top 1 맵이 될 것이라 호평하고 있다. 원본 맵들의 좋은 게임플레이도 호평 요소.[23] 무엇보다도 원본인 Cataclysm과 Bloodbath는 가장 유명하고 영향력이 큰 맵을 꼽을 때 반드시 들어가는 맵인데, 이러한 맵을 엄청난 퀄리티와 극악한 난이도로 리메이크했으니 Bloodlust가 그랬듯 공개 직후부터 유저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Trick이 30%[24], 68-100%[25]를 달성했다.[56-100%]
2.2 업데이트 이후 Zimnyte가 2.2 편집기에서 APT를 열어 보니 맵이 모두 날아가 버렸다는 사실을 공개했다.#1#2 2.2 업데이트 때문에 버그가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데 맵이 통째로 날아가는 건 APT가 처음 알려진 사례이다. 백업은 당연히 해놓았다고 한다. 버그로 레벨 하나가 날아가는 게 웃겨서 비웃음의 의미로 올린 거라고.
2024년 7월 4일, fnm04가 버프된 버전의 쇼케이스를 올렸다. 처음 쇼케이스가 올라왔을 때 여론과는 정반대로 악평이 자자하다.
사실 비판거리는 상당히 많은 레벨이었는데, 상징성을 빼면 Top 1, 또는 그게 아니더라도 상당히 부족한 부분이 많다. 대형 합작임을 감안해도 동굴, 용암 바다[27], 코어 디자인이 난잡하고 일관성없게 짜여있으며 파트마다 퀄리티 차이가 나는 게 눈에 띨 정도이다. 게임 플레이도 수 년은 우려먹은 지옥 삼부작을 그대로 답습해 지루하고 안그래도 Avernus 등 버프에 대한 반감이 높은 상태에서 시행한 어이없을 정도로 빡빡한 가시배치는 피로할 수 밖에 없다. 직접 쇼케이스를 찍은 fnm04에 따르면, 어두운 칼타, 맞지 않는 싱크, 쉐이크 남용, 비밀길과 버그 등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걸 알 수 있다. 덜 익은 눅눅한 피자(...)같은 짝퉁이라는, 강도 높은 비판이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영상 댓글에 트릭도 2015년의 게임플레이를 Top 1로 만드는 것에 대해 비판하며 프로젝트에 대한 애정이 떨어진 모습을 보였다.[28]
7월 5일, Trick이 베리파이어 자격을 박탈당하고 Polterghast[29]가 새로운 베리파이어가 되었다. 사유는 레벨 유출 및 활동 부재라고 한다. APTeam의 리더인 Zimnyte는 Trick이 직접 버프했지만 진전 없이 1년이나 미뤄놓고 불가능해 너프가 필요하다고 불평했다고 말한다. 또한 fnm04는 Trick의 요청으로 이를 허락 없이 쇼케이스 영상을 올린 것이다.
이에 Trick도 쫓아내줘서 고맙다고 화답하며 대립하고 있다.
한편 Polterghast 는 기록에 연연하지 않고 Tartarus급으로 너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현재 Polterghast가 81%, 70-100%를 달성했다.[30]
2024년 12월 24일, 8년 9개월이라는 시간 끝에 드디어 베리파이되었다!!#
사용된 노래는 at the speed of light를 Zimnior12가 리믹스한 것이다.
2.20. Subterminal Point[편집]
2.21. Quanteuse Processing[편집]
Quanteuse Processing by Blankb & Renn241 | |
현 상태 | 베리파이 |
예상 순위 | Top 1~5[31] |
음악 |
Quantum Processing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레벨. Blankb가 레이아웃을, Renn241이 디자인을 맡았다.
중간중간 연타와 동타, 웨이브 중간에 중력반전 등 유저들이 기피하는 겜플을 가진 조크 레벨이다. 조잉크 차력쇼라며 불호의 의견이 많다. 레이팅을 받을 수 있을지는 불명.
현재 Zoink가 87%를 달성했다.
2024년 12월 31일[32], 베리파이에 성공했다.연말 선물
중간중간 연타와 동타, 웨이브 중간에 중력반전 등 유저들이 기피하는 겜플을 가진 조크 레벨이다. 조잉크 차력쇼라며 불호의 의견이 많다. 레이팅을 받을 수 있을지는 불명.
현재 Zoink가 87%를 달성했다.
2024년 12월 31일[32],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1] Reunomi, DaG, Knots, Crescent, Exomin, GMDPandakun, Ardolf, ItsAGSilver, Zen, Ragle, Galaxxyss, robotchief, FSS[2] 이쪽도 디자인이 난잡하긴 하지만, 연관성은 있으며 파트 자체 디자인도 좋은 편이다. 난이도는 BloodLust급으로 전작보단 쉽다.[3] Avati, Shtaba, Plolek, Yozyo, Pyziu, Asuith, JuzGiew, Janucha, Jneh, Nekon[4] ph0bic, DrCuber, maxfs, NXISE, Xeox, Ewop, Silver, fnm04, Darmuth[5] Vernam, Lilium, ORte, Enely, Ilnm[6] Innards보다도 이전 시기에 유명해진 맵이다. 언너프 Innards와의 난이도 우열은 알 수 없다. 둘 다 Firework급인데 Unrated Demon List에서는 언너프 Innards를 더 어렵게 보고 있다.[7] SWI, The Golden, Tartarus.[8] Firework는 길이가 2분에 밸런스가 좋고 Kyouki는 길이도 1분 40초에 2프레임 타이밍이 무려 120개로 흉악하게 많다.[9] 이 맵보다 쉽다고 평가받는 Solar Flare에 89개의 프레임 퍼펙트가 있다. HSW에 따르면 이 맵은 Solar Flare와 비슷한 Tartarus급 맵을 압도하는 난이도라고 한다.[10] 2021년에 나왔어도 Tartarus급 맵들을 압도하는 난이도였기에 1위를 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11] 현재 Zoink가 클리어한 영상 썸네일에 박혀 있는 바로 저 파트이다. 저 공간을 3배속 미니 웨이브로 지나가야 하는데 길도 비직관적이다. 단 1초 만에 지나가는 매우 짧은 파트이지만 그 1초의 순간난이도는 Slaughterhouse의 River 파트와 비교해도 우위를 점하는 수준인데, 저 파트를 맵 96%에다 박아 놓았다.[12] 핵 사건 이후 Neiro로 닉네임을 바꾸고 쇼케이스 전문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는 인물이다. 현재는 Slaughterhouse를 핵 없이 480hz 컴으로 파는 걸 볼 수 있다.[13] Exen이 클리어 이후 이 맵을 Crimson Planet보다 우위라고 언급했는데 정작 Zoink는 이 맵을 Tartarus보다 근소 우위로 언급했다. Exen이 당시 핵 없이 클리어했다면 이 맵이 1위를 탈환했어야 한다. 거기다 UDL 기준으로는 상술한 Cimmerian Shade보다 위로 놓아서 Zoink 역시나 저평가했을 가능성도 있었고 현재는 Firework보다 근소 우위로 평가받고 있다.[14] Tartarus처럼 수많은 유저들이 레이스 형식으로 베리파이에 도전한 경우라면 딱히 문제가 안 되지만, Through the Gates는 이미 Septagon이 8만 어템 가량을 사용하여 93%까지 프로그레스를 낸 상태에서 Zoink가 갑자기 도전을 시작한 경우이다. 규정 위반은 아니지만 이런 경우는 어떤 게임계든 비매너 취급을 받기 좋다. paqoe도 Vision의 Silent clubstep 베리파이 기록을 뺏었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은 전적이 있으며, 한국 유명 유저 Tipp7도 베리파이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Freedom08을 43%까지 가서 논란이 있었다.[15] 베리파이어인 LordVadercraft는 자신이 베리파이했던 Eyes in the water보단 쉽고, 같은 나써맵인 Solar Flare보다는 어렵다고 했다.[16] 영상이 아직 올라오지 않은 상태이다.[17] Zimnyte, GD Endy, El3cTr0, Realvet, galofuf, CDMusic, Kuki, Uriun, Dahzen, Nahuel, CuLuC, OverDCE, Antares, ThunderDarkness, Old Space, AppleCR, Salamander, GD Iris, Djoxy, PBS, Alex PG, C14, NikroPlays, Requiem, ilnm, Alphanetic, AeonAir, ViperArctarus, Diris, LordVadercraft, Diamond, DoSh7T, Denni, Linus02, Derflax and Magilax[18] 원래 2018년에 공개된 기존 버전이 있었는데, 크리에이터와 플레이어 양면의 상향 평준화로 기존 버전으로는 더 이상 최고의 퀄리티와 난이도의 맵이라는 수식어를 붙히기 어려워지자 맵을 전부 뜯어고쳐 작업 시간이 길어졌다. 기존 버전과 신규 버전의 차이 뜯어고치는 와중에도 트리거 그룹 수 999개를 넘어가버리면 생기는 버그 현상 때문에 버그를 고치느라 더 오래 걸리게 되었다.[19] 원본 맵들도 익스트림 데몬이지만 2.1이 끝나 가는 시점에서 CC는 익데 수문장, BB와 AM은 중하위권 익데 수준의 평을 받는다. BB의 후속작이자 극상향 버전인 Bloodlust도 Extended 상위권이다.[20] 이 맵은 엔딩 아트가 30초 가량으로 매우 길기 때문에, 68-100%면 실질적으로 맵의 4분의 1 정도 길이이다. 즉, aftermath 부분만 해도 poocubed, Saul Goodman 등에 필적하는 난이도가 되는 것이다.[21] Trick은 Tidal Wave 43% 영상에서 APT를 얼마나 어렵게 만들어야 하는지 알기 위해 이 맵을 플레이하고 있다고 밝혔으며, APT 30% 영상에서 이미 APT가 Tidal Wave보다 훨씬 어렵다고 평했다. 어템 수도 7만 어템 밑으로 쳐낸 Tidal Wave와 달리 APT는 4만 어템을 투자했음에도 30%와 68-100%에 그쳐 상당히 차이가 난다.[22] 공교롭게도 APTeam은 지오메트리 대시의 최고의 크리에이팅 팀 중 하나라고 평가받음에도 Top 1 맵을 하나도 내지 못했다. 가장 순위가 높았던 레벨이 3위를 달성한 Sonic Wave Infinity. Trick 역시 최고의 지오메트리 대시 유저 중 하나이나 현재까지 베리파이한 맵 중 가장 순위가 높은 레벨은 Top 2를 달성했던 Firework이다.[23] Bloodbath는 그 영향력에 가려져 이야기가 잘 나오지 않아서 그렇지 역대 Top 1 맵 중에서도 밸런스와 게임플레이가 꽤 괜찮은 편이다. Cataclysm은 쉬운 파트와 어려운 파트 간의 밸런스 불균형이 조금 있는데, 이 맵은 모든 구간의 간격을 공평하게 줄여 놓아서 밸런스 문제를 피해 가고 있다. 실제 게임플레이는 클리어자들이 나와 봐야 알겠지만 원본이 원본인 만큼 좋아 보인다는 기대를 받는다.[24] Cataclysm + Bloodbath 초반 볼 파트까지의 구간이다.[25] Bloodbath 마지막 3단 가시부터의 구간이다.[56-100%] 본인의 채널에 업로드하진 않았지만 스트리밍 도중 56-100%의 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Bloodbath의 Etzer 파트부터 시작한 기록이다.[27] 특히 Avernus에서 디자인적으로 비판을 받은 용암 디자인과 다를 바 없다는 평을 받는다.[28] 그래서인지 많은 사람들은 트릭이 아닌 APTeam에 대한 비판을 주로 하고 있다.[29] Edge of Destiny의 베리파이어다.[30] 너프된 모습이 한 눈에 보일 정도로 최초 공개 버전에 비해 굉장히 너프가 많이 된 모습이다. Aftermath 파트만 보더라도 굉장히 너프가 많이 되었으며 덕분에 이전에 비해 오히려 밸런스가 잘 잡혀진 것 같다는 호평이 많아졌다.[31] Silent clubstep의 베리파이어인 paqoe의 언급에 따르면 사클텝 이상이라고 한다.[32] 한국시간으로는 202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