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 [ 목차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Main List2.1. Tidal Wave2.2. Nullscapes2.3. Avernus2.4. Anathema2.5. Acheron2.6. Silent clubstep2.7. Spectre2.8. Tunnel of Despair2.9. Abyss of Darkness2.10. Kyouki2.11. BOOBAWAMBA2.12. Slaughterhouse2.13. Sakupen Circles2.14. KOCMOC2.15. Menace2.16. Deimos2.17. Firework2.18. The Lightning Rod2.19. poocubed2.20. KOSETSU2.21. Saul Goodman2.22. Eyes In The Water2.23. MINUSdry2.24. Solar Flare2.25. Belladonna2.26. The Hallucination2.27. COMBUSTION2.28. LIMBO2.29. Edge of Destiny2.30. Codependence2.31. Mayhem2.32. walter white2.33. Deadlier Clubstep2.34. PSYCHOPATH2.35. The Yangire2.36. SARYYX NEVER CLEAR2.37. Collapse2.38. The Plunge2.39. Midnight2.40. Sinister Silence2.41. arcturus2.42. UNKNOWN2.43. BEELINE2.44. Sonic Wave Infinity2.45. Damascus2.46. Waterfall2.47. BPATA MPAKA2.48. Tartarus2.49. Jigsaw2.50. Oblivion2.51. Viprin UFO2.52. Coalescence2.53. The Golden2.54. Natural Disaster2.55. Verdant Landscape2.56. ATOMIC CANNON Mk III2.57. Climax2.58. ORDINARY2.59. Delta2.60. NETWORK2.61. Shukketsu2.62. Terminal Rampancy2.63. Critical Heat2.64. Trueffet2.65. Aerial Gleam2.66. The Paroxysm of Rage2.67. Judgement Knights2.68. Zodiac2.69. Kenos2.70. Hard Machine2.71. Esfera2.72. Destruction 192.73. Checked Steam2.74. NEUTRA2.75. DISSONANCE3. Extended List3.1. Scream Machine3.2. Keres3.3. Ascent3.4. Fragile3.5. Widestep3.6. Crackhead Circles3.7. Lotus Flower3.8. Frost Spirit3.9. Dry Out Copyable 23.10. Axinie3.11. Promethean3.12. Cold Sweat3.13. Thinking Space3.14. qoUEO3.15. Renevant3.16. SUPERHATEMEWORLD3.17. Lithium3.18. ConClusion3.19. Sky Shredder3.20. Instinct3.21. Calculator Core3.22. Trotil3.23. shimmer3.24. Crimson Planet3.25. DIRECTIONS3.26. Cognition3.27. ATOMIC CANNON Mk II3.28. Cosmic Cyclone3.29. Guideless Goobering3.30. SARY NEVER CLEAR3.31. Rigel3.32. Ykds1479ymdppr3.33. Akashic Records3.34. RUST3.35. CORRODERE3.36. Launchpad Labyrinth3.37. Lucid Nightmares3.38. Cobwebs3.39. Coral Cave3.40. Shardscapes3.41. Amalgam3.42. Indivine3.43. RUTHLESS3.44. Sides Of My Mind3.45. Horros3.46. Escape Room3.47. Ragnarok3.48. TORN3.49. me when machine gang3.50. Silent Club3.51. SAND SAILOR3.52. Omega Interface3.53. Pandemonium3.54. FARBIDI THEORY3.55. Descent Into Exile3.56. Neon Skyline3.57. The Rupture3.58. Scrubbabingo Force3.59. Jupiter My Favourite3.60. The Art of the Blade3.61. Kappa3.62. no jokes3.63. LD503.64. Nabil Let Go3.65. Bloodlust3.66. Asterios3.67. Excruciation Chamber3.68. PROTON LAUNCHER3.69. Jesse Pinkman3.70. Terminux3.71. BarbarosFinaleFinale3.72. Twilight3.73. CITRA3.74. Awedsy3.75. Fog4. 순위 변동 예정 레벨5. 순위 미정5.1. Main List6. Legacy List (151위~)7. Legacy List (151위~)8. 관련 문서5.1.1. Subterminal Point(2월 24일)5.2. Apocalyptic Trilogy(3월 14일)5.3. andromeda(3월 14일)5.4. Gaggatrondra(3월 14일)5.4.1. Crystal Crusher(무기한 연기)5.5. Main List or Extended List5.6. Extended List5.7. Extended List or Not List Worthy
💡바로가기: Main List(1~75위) / Extended List(76~150위) / 순위 미정
❗PC 환경에서 Ctrl+F, 모바일 환경에서는 설정 > 찾기로 데몬명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PC 환경에서 Ctrl+F, 모바일 환경에서는 설정 > 찾기로 데몬명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1. 개요[편집]
Geometry Dash에서 공식 포럼인 Pointercrate에 등재된 데몬맵 중 Main-Extended List에 해당하는 레벨들을 정리한 문서. PC 환경에선 Ctrl+F, 모바일 환경에선 설정 > 찾기로 데몬명을 검색할 수 있다.
2. Main List[편집]

Pointercrate 랭킹 TOP10
| ||||||||||
기준일: 2025년 2월 7일 |
이 항목은 가장 어려운 데몬 Top 75를 서술한다. Pointercrate와 Geometry Dash 한국 포럼으로 들어가면 각 맵을 클리어한 유저와 일정 구간까지 간 유저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영상은 베리파이한 유저의 영상으로 가져오되, 영상이 적절하지 않거나 없으면 클리어한 유저의 영상이나 쇼케이스로 가져온다.
영상은 베리파이한 유저의 영상으로 가져오되, 영상이 적절하지 않거나 없으면 클리어한 유저의 영상이나 쇼케이스로 가져온다.
2.1. Tidal Wave[편집]
2.2. Nullscapes[편집]
2.3. Avernus[편집]
2.4. Anathema[편집]
2.5. Acheron[편집]
2.6. Silent clubstep[편집]
2.7. Spectre[편집]
2.8. Tunnel of Despair[편집]
2.9. Abyss of Darkness[편집]
2.10. Kyouki[편집]
2.11. BOOBAWAMBA[편집]
2.12. Slaughterhouse[편집]
2.13. Sakupen Circles[편집]
2.14. KOCMOC[편집]
2.15. Menace[편집]
2.16. Deimos[편집]
2.17. Firework[편집]
2.18. The Lightning Rod[편집]
2.19. poocubed[편집]
2.20. KOSETSU[편집]
2.21. Saul Goodman[편집]
2.22. Eyes In The Water[편집]
2.23. MINUSdry[편집]
2.24. Solar Flare[편집]
2.25. Belladonna[편집]
2.26. The Hallucination[편집]
2.27. COMBUSTION[편집]
2.28. LIMBO[편집]
2.29. Edge of Destiny[편집]
2.30. Codependence[편집]
2.31. Mayhem[편집]
2.32. walter white[편집]
2.33. Deadlier Clubstep[편집]
2.34. PSYCHOPATH[편집]
2.35. The Yangire[편집]
2.36. SARYYX NEVER CLEAR[편집]
2.37. Collapse[편집]
2.38. The Plunge[편집]
2.39. Midnight[편집]
2.40. Sinister Silence[편집]
2.41. arcturus[편집]
2.42. UNKNOWN[편집]
2.43. BEELINE[편집]
2.44. Sonic Wave Infinity[편집]
2.45. Damascus[편집]
2.46. Waterfall[편집]
2.47. BPATA MPAKA[편집]
2.48. Tartarus[편집]
2.49. Jigsaw[편집]
2.50. Oblivion[편집]
2.51. Viprin UFO[편집]
2.52. Coalescence[편집]
2.53. The Golden[편집]
2.54. Natural Disaster[편집]
2.55. Verdant Landscape[편집]
2.56. ATOMIC CANNON Mk III[편집]
2.57. Climax[편집]
2.58. ORDINARY[편집]
2.59. Delta[편집]
2.60. NETWORK[편집]
2.61. Shukketsu[편집]
2.62. Terminal Rampancy[편집]
2.63. Critical Heat[편집]
2.64. Trueffet[편집]
2.65. Aerial Gleam[편집]
2.66. The Paroxysm of Rage[편집]
2.67. Judgement Knights[편집]
2.68. Zodiac[편집]
2.69. Kenos[편집]
2.70. Hard Machine[편집]
2.71. Esfera[편집]
2.72. Destruction 19[편집]
2.73. Checked Steam[편집]
2.74. NEUTRA[편집]
2.75. DISSONANCE[편집]
3. Extended List[편집]
데몬맵 중에서 난이도 76~150위를 차지하고 있는 맵들의 목록을 나열하는 페이지.
3.1. Scream Machine[편집]
3.2. Keres[편집]
3.3. Ascent[편집]
3.4. Fragile[편집]
3.5. Widestep[편집]
3.6. Crackhead Circles[편집]
3.7. Lotus Flower[편집]
3.8. Frost Spirit[편집]
3.9. Dry Out Copyable 2[편집]
3.10. Axinie[편집]
3.11. Promethean[편집]
3.12. Cold Sweat[편집]
3.13. Thinking Space[편집]
3.14. qoUEO[편집]
3.15. Renevant[편집]
3.16. SUPERHATEMEWORLD[편집]
3.17. Lithium[편집]
Verified by Kloone. Another 2.2 bugfix update 14.07.2024 | ||||||||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97364686 | 2분 05초 | 141379 | 2.2 | ||||
|
3.18. ConClusion[편집]
ConClusion by DreamZoneGD, verified by BrowarKedawar | ||||||||
Get ready to be concluded. | ||||||||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96471171 | 1분 27초 | 99955 | 2.1 | ||||
|
DreamZone이 제작한 Control 시리즈 3부작의 마지막 맵. 스토리 상으로 ConTroller와 ConFusion의 이후이다.
3.19. Sky Shredder[편집]
Sky Shredder - by Dorvict
1.9 GDPS에서 Dorvict가 1위를 노리고 제작된 익스트림 데몬. 출시 당시에는 1.9 GDPS 상에서 1위를 달성하였지만 현재는 아니다.
여담으로 베리파이 영상 설명창에 따르면, 블룬스 TD 6의 에이스 원숭이 A 루트 5티어 업그레이드인 하늘 파쇄기(Sky Shredder)에서 맵 제목을 가져왔다고 한다.
1.9 GDPS에서 Dorvict가 1위를 노리고 제작된 익스트림 데몬. 출시 당시에는 1.9 GDPS 상에서 1위를 달성하였지만 현재는 아니다.
여담으로 베리파이 영상 설명창에 따르면, 블룬스 TD 6의 에이스 원숭이 A 루트 5티어 업그레이드인 하늘 파쇄기(Sky Shredder)에서 맵 제목을 가져왔다고 한다.
3.20. Instinct[편집]
Instinct - Dysbelief, KrmaL, pocke & more[2], Verified by KrmaL
Dysbelief이 주최하고 KramL이 베리파이한 합작맵으로, Valor와 Mystic을 이은 포켓몬 고 3부작의 비공식 후속작.[3] 맵의 이름은 전작들처럼 Pokémon GO의 팀 인스팅트에서 따 왔으며, 그에 맞게 노란색 테마를 가졌고 맵 마지막 부분에는 썬더가 등장한다. 공식 후속작과는 다르게 전작들의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한 파트를 제외하곤 2.0 느낌으로 제작되었으며, 게임플레이도 그에 맞추어 독특한 것이 특징. 여담으로 KramL의 파트는 기존에 쓰였던 파트를 그대로 재탕했다(...).
사용된 노래는 AeronMusic - Sourcream으로, 전작들에 쓰인 곡과 같은 작곡가.
여담으로 이 맵은 Sonic Wave를 Legacy로 보낸 맵임과 동시에 Bloodlust를 Extended로 보낸 맵이다. 이후 Tidal Wave의 등재로 인해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Dysbelief이 주최하고 KramL이 베리파이한 합작맵으로, Valor와 Mystic을 이은 포켓몬 고 3부작의 비공식 후속작.[3] 맵의 이름은 전작들처럼 Pokémon GO의 팀 인스팅트에서 따 왔으며, 그에 맞게 노란색 테마를 가졌고 맵 마지막 부분에는 썬더가 등장한다. 공식 후속작과는 다르게 전작들의 분위기를 맞추기 위해 한 파트를 제외하곤 2.0 느낌으로 제작되었으며, 게임플레이도 그에 맞추어 독특한 것이 특징. 여담으로 KramL의 파트는 기존에 쓰였던 파트를 그대로 재탕했다(...).
사용된 노래는 AeronMusic - Sourcream으로, 전작들에 쓰인 곡과 같은 작곡가.
여담으로 이 맵은 Sonic Wave를 Legacy로 보낸 맵임과 동시에 Bloodlust를 Extended로 보낸 맵이다. 이후 Tidal Wave의 등재로 인해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3.21. Calculator Core[편집]
3.22. Trotil[편집]
Trotil - Eiriley & more, Verified by ItzTayfun
러시아의 겨울 테마 합작. Tartarus보다 근소하게 어려운 난이도였으나 떡너프를 받아 Bloodlust보다 조금 어려운 수준이 되었다.
러시아의 겨울 테마 합작. Tartarus보다 근소하게 어려운 난이도였으나 떡너프를 받아 Bloodlust보다 조금 어려운 수준이 되었다.
3.23. shimmer[편집]
shimmer - by Amplitron
Amplitron이 Zeronium의 크리에이터 콘테스트에 제출할 목적으로 제작한 레벨. 전체적으로 잔잔한 분위기이며 레벨의 컨셉은 원하는 꿈을 이루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
Amplitron이 Zeronium의 크리에이터 콘테스트에 제출할 목적으로 제작한 레벨. 전체적으로 잔잔한 분위기이며 레벨의 컨셉은 원하는 꿈을 이루기 위해 여행을 떠나는 것.
3.24. Crimson Planet[편집]
3.25. DIRECTIONS[편집]
DIRECTIONS - ryli06 and Nightning, Verified by SwordBx
ryli06과 Nightning의 합작. 밤하늘 배경에 경사면을 활용한 게임플레이가 대부분인 것이 특징이다.
ryli06과 Nightning의 합작. 밤하늘 배경에 경사면을 활용한 게임플레이가 대부분인 것이 특징이다.
3.26. Cognition[편집]
3.27. ATOMIC CANNON Mk II[편집]
3.28. Cosmic Cyclone[편집]
3.29. Guideless Goobering[편집]
Guideless Goobering - Akunakun & more, Verified by Zytrox
3.30. SARY NEVER CLEAR[편집]
3.31. Rigel[편집]
3.32. Ykds1479ymdppr[편집]
Ykds1479ymdppr - Kapycta999, Verified by BONN
Kapycta999가 제작한 Kjdf8314jlfssf의 후속작. 전작과 비슷하게 키보드를 막 누른 듯한 레벨 제목이 특징이다.
여담으로 이 레벨의 제작 기간은 5일이다.
Kapycta999가 제작한 Kjdf8314jlfssf의 후속작. 전작과 비슷하게 키보드를 막 누른 듯한 레벨 제목이 특징이다.
여담으로 이 레벨의 제작 기간은 5일이다.
3.33. Akashic Records[편집]
3.34. RUST[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
없음 | 71912451 | 1분 27초 | 39062 | 2021.07.29 |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 111.07 |
데몬리스트 점수(51%) (공식포럼) | 11.11 |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 93.367 |
RUST - by neigefeu, verified by Keir
This is my hardest level, inspired by KrmaL and Crohn44. Good luck.
가장 쉬운 익데 중 하나로 꼽히는 Acu를 제작한 neigefeu의 새로운 맵. Black blizzard와 Sunset Sandstorm에서 영감을 받았다. 노래는 Sunset Sandstorm과 같은 Creo - Outlaw이나 Sunset Sandstorm보다 훨씬 어려운 게임플레이와 동타를 동반한 미쳐 돌아가는 칼타가 일품이다. 특히 후반부 큐브 칼타는 헛구역질이 날 정도. 다만 클리어 유저들의 평가는 재밌다는 의견이 많다.
세계 최초 클리어 유저인 Kelvin은 컨트롤러로 클리어했다.
한국 최초로 RedCraft가 클리어 했다.
3.35. CORRODERE[편집]
CORRODERE - Moosh & more[4], Verified by Gzeee
2021년경 Moosh가 Corrosion이라는 제목으로 주최한 익스트림 데몬. 클래식한 스타일의 메가콜라보 레벨이며 후반에 저중력 웨이브 게임플레이가 존재한다.
2021년경 Moosh가 Corrosion이라는 제목으로 주최한 익스트림 데몬. 클래식한 스타일의 메가콜라보 레벨이며 후반에 저중력 웨이브 게임플레이가 존재한다.
3.36. Launchpad Labyrinth[편집]
Launchpad Labyrinth by Moffe, verified by WSCKR
Moffe의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어는 WSCKR이였는데, 이후 해커로 밝혀졌다.
게임플레이가 매우 좋지 않기로 악명 높으며 대부분의 클리어자들이 혹평을 아끼지 않았다. 디자인도 상당히 좋지 못한 편인데, 최적화가 심각해 LDM을 켜도 프레임 드랍이 걸리는 수준이다. 나쁜 게임플레이, 나쁜 최적화, 나쁜 베리파이어 삼위일체를 달성한 여러모로 레전드 맵. 순위는 Bloodlust급이지만, wPopoff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이 Tartarus, Oblivion을 상회한다고 주장했다.
2023년 9월 20일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간만에 하면서 엄청나게 열받았다며 설명창에 어마어마한 욕을 퍼부었다. 어지간히 끔찍했는지 영상 제목의 맵 이름도 Absolute Garbage[5]라고 적어 두었다. 설명창에는 맵 이름을 Shitty Silent clubstep이라고 적어 둔 건 덤. 그리고 체감 난이도 순위도 -1위로 매겨 놨다(...)
Moffe의 익스트림 데몬. 베리파이어는 WSCKR이였는데, 이후 해커로 밝혀졌다.
게임플레이가 매우 좋지 않기로 악명 높으며 대부분의 클리어자들이 혹평을 아끼지 않았다. 디자인도 상당히 좋지 못한 편인데, 최적화가 심각해 LDM을 켜도 프레임 드랍이 걸리는 수준이다. 나쁜 게임플레이, 나쁜 최적화, 나쁜 베리파이어 삼위일체를 달성한 여러모로 레전드 맵. 순위는 Bloodlust급이지만, wPopoff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이 Tartarus, Oblivion을 상회한다고 주장했다.
2023년 9월 20일 Seturan이 한국 최초로 클리어했다. 간만에 하면서 엄청나게 열받았다며 설명창에 어마어마한 욕을 퍼부었다. 어지간히 끔찍했는지 영상 제목의 맵 이름도 Absolute Garbage[5]라고 적어 두었다. 설명창에는 맵 이름을 Shitty Silent clubstep이라고 적어 둔 건 덤. 그리고 체감 난이도 순위도 -1위로 매겨 놨다(...)
3.37. Lucid Nightmares[편집]
3.38. Cobwebs[편집]
Cobwebs - by NineDice & Taika, Verified by Cursed
NineDice와 Taika가 제작한 제일 짧은 익스트림 데몬. 엔딩을 제외하면 28초밖에 되지 않는다.
2022년 7월 25일, Cursed가 85%을 달성하였으며, 다음날 베리파이했다.
2024년 12월 27일, 베리파이 된지 약 2년 5개월 만에 레이팅 되었다.
2024년 12월 30일, Cursed가 레이팅 되고 나서 게임플레이를 조금 손봐서 재베리파이 했다.
2025년 1월 27일 등재되었으며 Congregation이 레거시 리스트로 추락했다.
3.39. Coral Cave[편집]
Coral Cave - Washed and awesomeme360, verified by Washed, published by awesomeme360
모티브는 소닉 러쉬 어드벤처의 3번째 레벨인 코럴 케이브이다.
모티브는 소닉 러쉬 어드벤처의 3번째 레벨인 코럴 케이브이다.
3.40. Shardscapes[편집]
3.41. Amalgam[편집]
Amalgam - XLSpiral, Verified by Wooshi
과거 XLSpiral이 장난식으로 만들어 둔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맵이다. 맵의 거의 대부분이 반배속으로 진행되며, 웨이브 꼬리가 길목을 다 덮을 정도로 좁은 웨이브 파트가 특징이다.
베리파이는 Wooshi가 맡았으며, 2023년 10월 22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Crimson Planet보다 확실히 어려우며 Sinister Silence와 Thinking Space 사이인 32~48위 사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Paqoe가 3,613 어템을 들여 최초 클리어 하였으며, 난이도는 Crimson Planet 주변으로 평가하였다.
2023년 11월 2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포럼에 Crimson Planet보다 낮은 순위인 59위에 랭크되었으며 60위로 하루만에 이동하였다.
과거 XLSpiral이 장난식으로 만들어 둔 레이아웃을 디자인한 맵이다. 맵의 거의 대부분이 반배속으로 진행되며, 웨이브 꼬리가 길목을 다 덮을 정도로 좁은 웨이브 파트가 특징이다.
베리파이는 Wooshi가 맡았으며, 2023년 10월 22일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클리어 이후 이 맵이 Crimson Planet보다 확실히 어려우며 Sinister Silence와 Thinking Space 사이인 32~48위 사이일 것이라고 언급했다.
Paqoe가 3,613 어템을 들여 최초 클리어 하였으며, 난이도는 Crimson Planet 주변으로 평가하였다.
2023년 11월 2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포럼에 Crimson Planet보다 낮은 순위인 59위에 랭크되었으며 60위로 하루만에 이동하였다.
3.42. Indivine[편집]
3.43. RUTHLESS[편집]
RUTHLESS - Surjaco & more, Verified by LordVadercraft
Surjaco가 주최한 합작으로, RELENTLESS의 후속작. 난이도는 Top 10이라고 한다.
2022년 11월 12일, LordVadercraf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현재 20위에 배정 되었다.
2023년 4월 21일 40~60위권 수준으로 너프되었다.
2023년 4월 22일, Miro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같은 날에 Fh1r이라는 한국유저도 클리어하였다.
2023년 9월 24일, 한국유저 Seturan이 클리어했다.
Surjaco가 주최한 합작으로, RELENTLESS의 후속작. 난이도는 Top 10이라고 한다.
2022년 11월 12일, LordVadercraft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현재 20위에 배정 되었다.
2023년 4월 21일 40~60위권 수준으로 너프되었다.
2023년 4월 22일, Miro가 한국 최초로 클리어 했다. 같은 날에 Fh1r이라는 한국유저도 클리어하였다.
2023년 9월 24일, 한국유저 Seturan이 클리어했다.
3.44. Sides Of My Mind[편집]
Side Of My Mind - MaxxoRMeN, Verified by Polyatomic & TheyCallMeEvan
MaxxoRMeN의 2P 레벨.
2023년 5월 28일, Polyatomic와 TheyCallMeEvan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14일, Rqd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MaxxoRMeN의 2P 레벨.
2023년 5월 28일, Polyatomic와 TheyCallMeEvan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14일, Rqd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3.45. Horros[편집]
Horros - Shrc, Verified by Shrc & Sr3k.
Shrc의 2P레벨.
2022년 11월 14일, Shrc와 Sr3k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4일, Ryclix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Shrc의 2P레벨.
2022년 11월 14일, Shrc와 Sr3k에 의해 베리파이되었다.
2023년 10월 4일, Ryclix가 혼자서 클리어에 성공했다.
3.46. Escape Room[편집]
Escape Room - SleyGD, Verified by MiniShoey
2023년 5월 27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5월 27일 에픽으로 레이팅되었다.
3.47. Ragnarok[편집]
3.48. TORN[편집]
TORN - Kyhros, Woom, para & more, Verified by DiamondSplash
2023년 6월 24일,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2023년 6월 24일, DiamondSplash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3.49. me when machine gang[편집]
me when machine gang - Akunakunn, verified by Motor8
3.50. Silent Club[편집]
3.51. SAND SAILOR[편집]
SAND SAILOR - Custi & ked, Verified by nei
3.52. Omega Interface[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
없음 | 68654380 | 1분 12초 | 134688 | 2021.04.28 |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 104.5 |
데몬리스트 점수(49%) (공식포럼) | 10.45 |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 84.1 |
Omega Interface - by Platnuu and Zipixbox, verified by RG, published by Platnuu
void GiveHint (string& asName, string& asMessageCat, string& asMessageEntry, float afTimeShown);
Delta Interface, Sigma Interface에 이은 Platnuu의 Interface 시리즈 3번째 레벨. 사용된 노래는 onumi - NOSTALGIA이다. 전체적으로 회색과 빨간색이 어우러진 테마이며, 저속으로 시작하다 8%부터 배속이 자주 바뀌는 웨이브 구간과 칼타로 이루어진 미니큐브 구간이 여러번 나온다.
베리파이어인 RG는 이 맵이 Cognition과 SARY NEVER CLEAR 사이라고 하며 2021년 8월 17일 기준으로 Cognition 바로 위인 15위에 안착해있다.
최초 클리어자는 Dice88로 약 5900어템 만에 클리어하였으며, 한국인 유저 Jeller가 11280 어템을 사용하여 한국 최초, 세계 5번째로 클리어했는데, 무려 51%에서 플루크했다.
2021년 9월 29일, 재평가로 인해 22위로 떨어졌다.
3.53. Pandemonium[편집]
3.54. FARBIDI THEORY[편집]
3.55. Descent Into Exile[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
없음 | 77518059 | 1분 39초 | 73707 | 2022.01.22 |
DIE.
GrenadeOfTacos, Icedcave, Riot이 주최한 합작맵이다.
2022월 1월 22일, BGram이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3월 3일, 26위에 배치되었다.
3.56. Neon Skyline[편집]
Neon Skyline - by recillia
3.57. The Rupture[편집]
3.58. Scrubbabingo Force[편집]
3.59. Jupiter My Favourite[편집]
Jupiter My Favourite - Akunakun, Verified by LuigiDB
3.60. The Art of the Blade[편집]
The Art of the Blade - mbed, Subwoofer, Zoroa & more, Verified by Kyoto
3.61. Kappa[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
없음 | 59800588 | 1분 49초 | 184350 | 2020.02.21 |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 112.86 |
데몬리스트 점수(50%) (공식포럼) | 11.29 |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 95.462 |
Kappa - XLSpiral and more, published by Armadeus, verified by nSwish
My very first megacollab, featuring multiple amazing creators, verified by nSwish. EDIT: Visual bugs fixed.
|
베리파이가 된 지 약 1년 6개월 만에 레이팅 되었다.
2021년 9월 9일 한국인 유저 Baeru가 8020어템을 사용해 세계최초로 클리어했다.
2021년 9월 29일 16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3월 14일, 28위로 하락했다.
2021년 9월 9일 한국인 유저 Baeru가 8020어템을 사용해 세계최초로 클리어했다.
2021년 9월 29일 16위에 배치되었다.
2022년 3월 14일, 28위로 하락했다.
3.62. no jokes[편집]
no jokes - theParadoxTeam
길이가 39초로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이다. 웅장하게 전주를 깔아 놓고 드랍을 예고하는데 막상 드랍 파트는 평화로운 BGM과 디자인으로 흘러가는 게 특징.
길이가 39초로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이다. 웅장하게 전주를 깔아 놓고 드랍을 예고하는데 막상 드랍 파트는 평화로운 BGM과 디자인으로 흘러가는 게 특징.
3.63. LD50[편집]
3.64. Nabil Let Go[편집]
3.65. Bloodlust[편집]
3.66. Asterios[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
130420 | 60870688 | 2분 9초 | 211417 | 2020.04.13 |
데몬리스트 점수(100%) (공식포럼) | 96.63 |
데몬리스트 점수(53%) (공식포럼) | 9.66 |
데몬리스트 점수(100%) (한국포럼) | 75.042 |
Asterios - Exen & More[11], Verified By Atomic
I am very grateful to all the participants. Verified by Atomic. Thanks!
2018년경 Exen이 1년간 만든 Extreme Demon이다.
Aronia와 더불어 서버에서 몇 없는 최상위 싱크를 가진 익데이며, 본래 세미 임파서블급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었으나 Aronia 난이도로 너프되었다.
2021년 7월에 별이 붙었으며, 25위에 배치되었다.[12]
2022년 3월 30일, 39위에서 35위로 올라갔다.
3.67. Excruciation Chamber[편집]
Excruciation Chamber - spcreat
3.68. PROTON LAUNCHER[편집]
PROTON LAUNCHER - by MultiverseGD & Tyson, verified by Tyson
3.69. Jesse Pinkman[편집]
Jesse Pinkman - Renn241, Verified by Comlayze
Renn241이 제작한 레벨이다. 레벨의 제목은 브레이킹 배드라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제시 핑크맨이다.[13]
2022년 5월 2일, Comlayz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Lucid Nightmares와 The Rupture 사이라고 말했다.
2022년 5월 30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30일, 35위에 등재되었다.
여담으로, 이 맵에 사용된 곡은 Let's Stomp!로, 비대칭 듀얼 데몬으로 유명한 Celestial Force와 같은 곡이다. [14] 또한 맵 제작자가 맵을 만드는 데 2일 밖에 안 걸렸다고 한다. [15]
Renn241이 제작한 레벨이다. 레벨의 제목은 브레이킹 배드라는 드라마의 등장인물 중의 한명인 제시 핑크맨이다.[13]
2022년 5월 2일, Comlayz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Lucid Nightmares와 The Rupture 사이라고 말했다.
2022년 5월 30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6월 30일, 35위에 등재되었다.
여담으로, 이 맵에 사용된 곡은 Let's Stomp!로, 비대칭 듀얼 데몬으로 유명한 Celestial Force와 같은 곡이다. [14] 또한 맵 제작자가 맵을 만드는 데 2일 밖에 안 걸렸다고 한다. [15]
3.70. Terminux[편집]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일자 |
271828 | 76865589 | 1분 17초 | 109669 | 2021.12.27 |
3.71. BarbarosFinaleFinale[편집]
BarbarosFinaleFinale - awesomeme360, Moffe & Dep96
3.72. Twilight[편집]
Twilight - Yuko
3.73. CITRA[편집]
Citra - Varse
Varse가 제작한 39초길이의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이다.
2022년 6월 13일, Vars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6월 15일, Jori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7월 23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8월 15일 40위에 등재되었다. 이로 인해 5년 넘게 메인리스트 자리에 있었던 Sonic Wave가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Varse가 제작한 39초길이의 가장 짧은 익스트림 데몬 중 하나이다.
2022년 6월 13일, Varse가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난이도는 40위 정도라고 한다.
2022년 6월 15일, Jori가 최초로 클리어했다.
2022년 7월 23일, 레이팅되었다.
2022년 8월 15일 40위에 등재되었다. 이로 인해 5년 넘게 메인리스트 자리에 있었던 Sonic Wave가 Extended List로 떨어졌다.
3.74. Awedsy[편집]
3.75. Fog[편집]
Fog - Notes & Slayer, Pixll
4. 순위 변동 예정 레벨[편집]
5. 순위 미정[편집]
150위 안에 들수 있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레이팅이 되었지만 아직 순위가 정해지지 않은 맵이다.
5.1. Main List[편집]
5.1.1. Subterminal Point(2월 24일)[편집]
5.2. Apocalyptic Trilogy(3월 14일)[편집]
5.3. andromeda(3월 14일)[편집]
andromeda by insxne | ||||||||
인게임 내 레벨의 설명 작성 | ||||||||
레벨 비밀번호 | 레벨 ID | 레벨 길이 | 오브젝트 수 | 업로드 버전 | ||||
X | 114283297 | 1분 16초 | X | 2.2 | ||||
|
5.4. Gaggatrondra(3월 14일)[편집]
Gaggatrondra by MoistyJC, verified by Zeronium
40위권 익스트림 데몬.
40위권 익스트림 데몬.
5.4.1. Crystal Crusher(무기한 연기)[편집]
Crystal Crusher - by Zeniux and Zeus, Verified by GuitGuit
5.5. Main List or Extended List[편집]
5.6. Extended List[편집]
5.7. Extended List or Not List Worthy[편집]
5.7.1. Axiom Asterism(2월 24일)[편집]
Axiom Asterism - by Filqh and fusion425, verified by fusion425
5.7.2. Sank(2월 29일)[편집]
Sank - Waterbound, Verified by Waterbound
6. Legacy List (151위~)[편집]
7. Legacy List (151위~)[편집]
8. 관련 문서[편집]
[1] L4TeZk, RpgRaketti, xVainaja, DreamZoneGD, At424, Copc, Kekis, LapoGD, ManHeadRambo, Ked, Aleph, Valentine, ArtsiBurn, Cookieszs, Darksive, Novaach, TrueInverse, goob, Lepuska, kloone, Xenote, Flaksy[2] Nightning, Zendayo, reshiria, Valentlne, Pennutoh, pocke, DogGoesWolf, KrmaL, ryli06, talia, SleyGD, krisking, gamingmaster310, Dysbelief, IIKugelBlitZII, S3rios[3] 공식 후속작은 ItsHybrid가 주최한 동명의 맵이다. Varium에 의해 베리파이되어 똑같이 익스트림 데몬으로 레이팅되었으며 난이도는 더 쉽다.[4] Moosh, Hinds, Zeostar, Vlacc, GrenadeofTacos, Kiba, Giron, goob, Licen, FrostBurn, ewop, Deadlox, Lieb, Skrypto, silver, neoraptor, TheZinkYT, Blitzer, Awedsy, 64x, Starbom[5] 근데 Absolute Garbage는 네덜란드 유저 bli의 고퀄 위클리 맵이다...[6] Mercury6779, Walroose, Xolarzz, ryli06, AlrexX, Blankb[7] Vermillion, spcreat, Theorical, Awedsy, Cersia, Viprin, maxfs, ewop, Loogiah, zDeadlox, Pokechatt, weoweoteo, artos, RealVet[!] 공식포럼과 한국포럼 모두 등재되어 있음.[9] StarkyTheSalad, paqoe, ryli06, Blitzer[10] nab, CelestialCat, Zeba, gaB, vxvian, artimeows, moonlightmari, Youknowwho, silver, Jakalope, Limit2, Kacurro, Manu, Moustache, SundayGMD, solarion, ApeqX, sebestein, Awedsy[11] Exen, Kentakiman, Buragoz, Hantein, Maelstorm, DiamondBlade, Pineapple Cat[12] 비슷한 난이도인 Aronia는 당시 23위였다.[13] 레벨 마지막에 나오는 얼굴이 이사람이다.[14] 차이점이 있다면, Celestial Force에선 나오지 않는 후반부를 사용했다는 것.[15] 학교를 이틀동안 쉬게 되어서 그 틈에 제작했다고 한다.[16] 1374, SyQual, TheCdPre, ZenthicAlpha, lnex, iEstia, Flosia, Mintjelly[17] 무려 68%에서 플루크 하였다![18] 여담으로 이 문서가 시작된 곳을 보려면 여기를 참조.[19] 여담으로 이 문서가 시작된 곳을 보려면 여기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