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2. 사건
2.1. 1월2.2. 2월2.3. 3월2.4. 4월2.5. 5월2.6. 6월2.7. 7월2.8. 8월2.9. 9월2.10. 10월2.11. 11월2.12. 12월
3. 탄생4. 사망5. 데뷔
5.1. 배우5.2. 가수
5.2.1. 한국5.2.2. 해외
5.3. 예능인5.4. 만화계5.5. 스포츠
5.5.1. 야구5.5.2. 축구5.5.3. 농구5.5.4. 배구5.5.5. 씨름
6. 은퇴
6.1. 스포츠6.2. 연예계
7. 히트작
7.1. 드라마7.2. 영화7.3. 가요7.4. 개그 코너7.5. 애니메이션7.6. 베스트셀러7.7. 비디오 게임7.8. 히트상품
8. 출시
8.1. 자동차8.2. 식음료8.3. 생활용품8.4. 화장품8.5. 전자제품
9. 유행어10. 방송 프로그램11. 인터넷 웹사이트12. 관련 문헌

1. 개요[편집]

1994년은 세기 구분으로 20세기이며 밀레니엄 구분으로는 2천년기에 해당하며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다.

2. 사건[편집]

2.1. 1월[편집]

  • 1월 1일
    • 김영삼 대통령은 신년사에서 1994년을 세계와 미래를 향한 개혁과 전진의 새로운 출발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 북미자유무역협정이 공식 출범하였다.
  • 1월 3일: 마이티 몰핀 파워레인저가 KBS2에서 <무적 파워레인저>란 제목으로 더빙 방영되었다.
  • 1월 4일: 국회 법사위는 '김구 암살사건 조사 위한 백범 김구선생 시해 진상규명위원회'를 처음으로 가동시켰다.
  • 1월 5일: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 1월 6일
    • 서울대 등 5개 대학에서 대입 본고사가 14년 만에 실시되었다.
    • 피겨 스케이팅 선수 낸시 케리건이 괴한의 습격에 부상을 입었다.
  • 1월 7일
    • 대구 달성공단에서 암모니아성 폐수가 낙동강 칠서정수장으로 유입되어 경남 마산과 창원 등지에까지 퍼져 수돗물 악취로 피해를 보았다.
    • 리본 인기 연재작 《빨간망토 차차》 애니판이 일본 TV도쿄에서 첫 전파를 탔다.
  • 1월 8일
    • 보사부는 2월부터 약값을 전면 자율화한다고 발표하였다.
    • MBC에서 드라마 《서울의 달》이 첫 전파를 탔다.
    • 한양대 투수 박찬호가 미국 프로야구팀 LA 다저스 입단에 합의하였다.
  • 1월 11일: 산악인 허영호가 이끄는 한국 남극점탐험대가 44일만에 1,400km를 걸어 남극점 등정에 성공하였다.
  • 1월 13일
    • 환경처는 낙동강에서 발암물질인 벤젠과 톨루엔이 검출되었다고 발표하였다.
    • 미국-러시아 정상회담이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 충청북도에서 살인사건이 발생하였다. 사건 가해자 이춘재는 2019년에 연쇄살인 사건 진범으로 밝혀졌다.
  • 1월 14일
    • 정부는 '사회간접시설 확충을 위한 민자유치촉진법'을 입법예고했다.
    • 공보처는 전국 50개 구역의 종합유선방송 사업자를 최종 선정/발표하였다.
    • 낙동강식수오염공동조사단은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관계자 처벌, 수질관리대책 등을 요구하는 성명을 냈다.
  • 1월 15일
    • 이회창 총리는 낙동강 수질오염사태 사과와 5대강 환경관리청 신설 등의 대책을 발표하였다.
    • 육군 상록수부대가 소말리아에서 평화유지활동을 마치고 귀국하였다.
  • 1월 17일
    • 정일권 전 국무총리가 세상을 떴다.
    • 체신부는 우정연구소 폐지를 철회하며 그간의 검열기능 폐지론을 외면했다.
    • 북한과 IAEA가 스위스 제네바에서 제3차 실무접촉을 단행하였다.
    • 유네스코는 북한을 아-태지역 회원국으로 등록하였다.
    • 미국 LA에 진도 6.6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 1월 18일
    • 김영삼 대통령은 낙동강 수질오염 사고에 대해 공식 사과하였다.
    • '2002 월드컵축구대회 유치위원회'가 공식 출범되었다.
    • 통일운동과 민주화 운동의 원로인 늦봄 문익환 목사가 세상을 떴다.
  • 1월 21일
    • 북한 외교부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 회견에서 IAEA의 전면사찰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 '나라정책연구원'이 설립되었다.
  • 1월 24일
    • 교육부는 초중고 우수학생 월반을 허용하는 '속진제'를 도입하였다.
    • 경기 시화지구방조제 최종 물막이공사가 완료되었다.
    • '농어촌청소년육성재단'이 설립되었다.
  • 1월 26일
    • 선경그룹이 한국이동통신 주식 23%를 인수하는 대주주 지위를 얻어 민영화를 단행하였다.
  • 1월 27일: 김대중 전 민주당 대표가 '아시아태평양평화재단'을 설립하였다.
  • 1월 30일
    • '전국조선업종노동조합협의회'가 발족되었다.
    • 일본 TV 아사히에서 <블루 스왓트>가 첫 전파를 탔다.
  • 1월 31일
    • 한국 정부는 중국여행 전면 자유화를 결정하였다.
    • 북한 개성에서 고려 태조왕릉 재건식이 개최되었다.

2.2. 2월[편집]

  • 2월 중: 종전의 실리콘 & 시냅스가 '카오스 스튜디오'로 명칭을 바꾸었다.
  • 2월 1일: 농민/학생 2만여 명은 서울 대학로에서 UR 재협상쟁취와 국회비준 거부를 요구하며 '전국농민대회'를 개최하였다.
  • 2월 2일: 원로 국어학자 연안 이숭녕 박사가 세상을 떴다.
  • 2월 4일
    • 미국 정부는 월남전 종전 19년 만에 베트남에 대해 금수조치를 해제시켰다.
    • 미국-베트남 간 연락사무소가 설치되었다.
  • 2월 5일
    • 대통령 직속 교육개혁위원회가 공식 발족하였다.
    • SBS에서 <기쁜우리 토요일>이 첫 전파를 탔다.
    • 경남 울산구치소가 문을 열었다.
  • 2월 9일: 이-팔 양자가 국경관할협정에 서명하였다.
  • 2월 11일: 북한 철기산~항봉, 관평~회둔 간 전화선이 개통되었다.
  • 2월 12일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이 개최되었다. 이 대회 부터 동계올림픽은 하계올림픽의 중간해에 개최되고 있다.
    • 대전, 청주지방에 진도 3.4의 지진이 발생했다.
  • 2월 13일: 민주시인 김남주가 세상을 떴다.
  • 2월 14일: 감사원은 1994년을 '부실공사 방지 원년'으로 선포하였다.
  • 2월 15일
    • 정부기록보존소는 동학농민운동 관련자 248명의 재판기록을 공개하였다.
    • 북한측은 IAEA와 북한 내 7개 핵시설 사찰에 합의하였다.
  • 2월 18일
    • 정부는 56개 공기업의 민영화 방침을 확정 발표하였다.
    • 서울대는 새학기부터 전 단과대를 대상으로 '교수평가제'를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 '한미21세기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일본 TV 아사히에서 <닌자전대 카쿠레인저>가 첫 전파를 탔다.
  • 2월 19일
    • 검찰은 영생교 신자 실종 사건과 관련한 간부, 신도들을 불법구금 및 폭행혐의로 구속했다.
    • '생명문화운동'이 발족되었다.
  • 2월 20일: 국방부의 1997년 대공미사일사업 중 패트리어트 미사일 구입추진 결정 사실이 공개되었다.
  • 2월 21일: 영화 <화엄경>이 제44회 베를린영화제 경쟁부문 알프레드 바우어 상을 수상했다.
  • 2월 23일
    • 쇼트트랙 선수 김기훈, 김소희, 김윤미, 원혜경, 전이경 등 5명이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남자 1,000m와 여자 3,000m 계주에서 각각 금메달을 땄다.
    • 내외통신에 실린 김일성 신년사와 민중극 <아침은 빛나라> 미완성 대본을 천리안 '사회비평동우회 희망터'에 올린 노래극단 '희망새' 기획부장 이창렬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되었다.
  • 2월 24일
    • 문체부는 3단계 일본문화 개방 대책을 마련했다.
    • 문화재관리국은 일본 교토대에 보관된 5천여 장의 한국 문화재자료 복사본을 공개하였다.
    • 한국 바둑대표팀이 제2회 진로배에서 우승하였다.
  • 2월 25일
    • 팔레스타인 헤브론에서 극우 유대인인 바룩 골드스틴이 헤브론 교외인 막벨라의 모스크에서 예배 중이던 무슬림에게 총기를 난사해 29명을 살해한 뒤 현장에서 피살되었다.
  • 2월 26일
    • 미-북 양국은 북한의 핵사찰 수용과 3단계 고위급회담 개최 등 4개항에 합의하였다.
    • 법무부는 불법취업 외국인 단속을 강화했다.
  • 2월 27일
    • KBS2에서 <풍물기행 세계를 가다>가 첫 전파를 탔다.
    • MBC에서 <시사매거진 2580>이 첫 전파를 탔다.
    •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500m에서 채지훈이, 여자 1000m에서 전이경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2월 28일: 전경련은 포철을 제2이동통신 주도사업자로 선정하였다.

2.3. 3월[편집]

  • 3월 1일
    • 김영삼 대통령이 삼일절 기념사에서 국민의 역량과 국가경쟁력이 국운을 결정지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한국 정부는 국가 간 유해폐기물 이동방지 협약인 '바젤 협약' 가입서를 유엔 사무국에 제출하였다.
    • 선인학원 산하 인천대 등 13개 사학이 시/공립학교로 출범되었다.
    • IAEA 사절단이 북한 평양에 도착하였다.
  • 3월 2일
    • 전교조 해직교사 중 1,135명이 선탈퇴/후복직 조건으로 5년여 만에 복직되었다.
    • 태국인 생도 나티차이가 외국인 최초로 공군사관학교에 입교하였다.
    • 체신부는 통신비밀보호법 제정에 따라 우정연구소 폐지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체신부는 이를 번복하고 기능 조정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 3월 3일
    • 국방부는 북한측의 IAEA 핵사찰 수용을 전제로 팀 스피릿 훈련을 중단한다고 발표하였다.
    • '근로자의 날 법률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 법안에 따라 근로자의 날은 종전의 3월 10일에서 5월 1일로 바뀌었다.
    • '남북특사 교환을 위한 3차 실무접촉 회의'가 판문점에서 열렸다.
    • 육군 UH60 헬기가 경기 용인군 외사면 야산에 추락해 탑승 중이던 조근해 공참총장 부부 등 6명 전원이 순직했다.
  • 3월 4일
    • 국회 본회의는 '공직선거 및 부정선거방지법', '지방자치법 개정안' 등 3개 정치관계법안을 처리하였다.
    • 민주자유당은 이날 고위당직자회의에서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해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을 천명했다.
  • 3월 5일: '한국생활공예협회'가 발족되었다.
  • 3월 6일
    • 연세대 농구부가 1993-94 농구대잔치 결승전에서 상무 농구단을 꺾고 대학팀 최초로 우승컵을 들었다.
    • 천리안 현철동에 <러시아 아나키스트 1917>의 내용을 올린 임시의장 김모씨가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국군 기무부대에 연행되었다.
  • 3월 7일
    • '전국지하철노동조합협의회'가 발족되었다.
    • 공군사관학교는 1995학년도부터 금연/금주/금혼 3금제 점차 해제 및 여자생도 모집을 결정했다.
    • 체신부는 우정연구소 폐지를 골자로 한 조직 개편안을 제출했다.
  • 3월 8일
    • 정부는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와 바르게살기운동중앙협의회에 대한 정부지원 중단을 결정했다.
    • 대법원은 생수판매 금지 조치에 대해 국민의 행복추구권 침해라고 하여 이를 무효로 판결했다.
    • 한국까르푸가 설립되었다.
  • 3월 9일
    • 국방부는 공군 율곡사업 중 의혹이 제기된 8개 사업에 대한 특감결과를 발표하였다.
    • 국제사면위원회는 문민정부 하에서도 고문 및 양심수 체포 등으로 인해 인권 상황이 아직도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 '남북특사 교환을 위한 5차 실무접촉 회의'가 판문점에서 열렸다.
  • 3월 10일: 서울 종로 5가 지하에 매설된 한통 통신케이블에 불이 나 전국의 통신/방송/은행 등 온라인 통신망이 두절되었다.
  • 3월 11일: 김영삼 대통령은 이기택 민주당 대표와의 회담에서 국가보안법 개정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 3월 12일
    • '남북특사 교환을 위한 6차 실무접촉 회의'가 판문점에서 열렸다.
    • 구도라 극장판 15작 <진구와 꿈의 삼총사>가 일본 전역에 개봉되었다.
  • 3월 13일: 천리안 현철동 게시판에 <공산당 선언>, 빨치산 시집 <붉은 산 검은 피(오봉옥 저.)>의 내용을 갈무리해 올린 대학생 진모씨가 경찰에 연행되었다.
  • 3월 15일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설립되었다.
    • 서울 상문고 교사 36명은 학교 측이 내신성적을 조작하고 있다며 양심선언을 했다.
    • 북한 조선반핵평화위원회와 조선자연보호연맹중앙위원회는 남한 각 사회단체에 보낸 편지에서 핵폐기물 투기와 관련해 남북 공동감시활동을 제의하였다.
  • 3월 16일
    • 보사부는 광천음료수(생수) 국내판매를 공식적으로 허용하였다.
    • 한겨레신문사가 <한겨레21>을 창간하였다.
    • 대통령선거법 등 4대 선거관련법을 통합한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통칭 통합선거법)'이 제정되었다.
    • 김영삼 대통령은 상문고 비리사건에 대해 검찰에 수사를 지시했다.
    • '남북특사 교환을 위한 7차 실무접촉 회의'가 판문점에서 열렸다.
  • 3월 18일
    • 국사교육내용전개준거안연구위원회는 기존의 '5.16 군사혁명', '5.17', '12.12'를 쿠데타로 표현하는 등의 개편시안을 발표했다.
    • 서울지검은 상문고 비리사건으로 동교 교장을 소환조사했다.
    • 서울 청량리경찰서는 긴급구속장을 처음으로 실시했다.
    • 일본 팔콤 사가 <영웅전설3 ~하얀 마녀~>를 발매하였다.
  • 3월 19일
    • '남북특사 교환을 위한 8차 실무접촉 회의'가 판문점에서 열렸다.
    • 박영수 북측 대표단장이 회의장에서 '서울 불바다' 발언을 해 남북관계를 긴장시켰다.
    • 서울지검은 상문고 교장을 성적조작, 공금횡령 혐의로 구속했다.
  • 3월 20일: 일본 마쓰시타전기가 최초의 3DO 게임기 '파나소닉 FZ-1 REAL'을 발매하였다.
  • 3월 21일: 리우 협약이 전 세계적으로 발효되었다.
  • 3월 25일: '5·18진상규명과 광주항쟁정신계승 국민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3월 23일
    • 체신부는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종합계획'을 발표하였다.
    • 러시아발 홍콩행 아에로플로트 593편이 메즈두레첸스크 인근에 추락해 탑승인원 75명 전원이 사망했다.
  • 3월 24일
    • 김영삼 대통령은 호소카와 일본 총리와 도쿄에서 북핵문제 및 문화교류에 대해 정상회담을 열었다.
    • 아키히토 일본 덴노가 "과거 역사에 대해 깊은 반성"이란 표현으로 사과 메시지를 남겼다.
  • 3월 25일: 한국 정부는 농산물 분야 등을 일부 수정한 'UR 최종 이행계획서'를 GATT에 냈다.
  • 3월 26일
    • 김영삼 대통령이 중국을 공식 방문하였다.
    • 서울지검은 상문고 비리와 관련된 박병용 국립교육평가원장을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하였다.
    • 범승가종단개혁추진회 소속 승려들이 의현 조계종 총무원장의 연임에 반대하며 농성에 돌입하였다.
  • 3월 27일: '생명나눔실천회'가 발족되었다.
  • 3월 28일
    • 김영삼 대통령은 장쩌민 중국 주석과 베이징 정상회담에서 북핵문제 및 경제협력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한-중 양국은 문화협정 및 이중과세 방지 협정을 체결하였다.
    • '서울 YWCA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단'이 발족되었다.
  • 3월 29일
    • 농성 중이던 범종추와 의현 총무원장 지지파 승려들이 조계사 경내에서 폭력사태를 일으켰다. 이에 경찰 측은 전의경 병력을 투입하여 범종추 승려들을 강제로 해산시켰다.
    • '한국영상오락물제작가협회'가 설립되었다.
  • 3월 30일
    • 한국은행은 직불카드제 도입을 결정하였다.
    • 경총과 한국노총은 당년도 임금 가이드라인을 5.0~8.7%로 확정하였다.
  • 3월 31일
    • 조계종 범종추는 조계사 농성장 기습이 의현 총무원장의 지시였다고 주장하였다.
    • '독서새물결운동'이 출범하였다.

2.4. 4월[편집]

  • 4월 중: 미국 카오스 스튜디오가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로 명칭을 바꾸었다.
  • 4월 1일
    • 서울지하철 과천선 인덕원역 ~ 남태령역 구간이 개통되면서 과천선과 안산선이 종전의 1호선에서 4호선으로 편입되었다.
    • 대법원은 무영장 경찰서 유치가 불법구금에 해당된다고 판결하였다.
    • 비우주세기 건담 1호 <기동무투전 G건담>이 일본 테레비 아사히에서 첫 전파를 탔다.
  • 4월 2일: 한-일-이 3국합작 애니 <몬타나 존스>가 일본 NHK 종합TV에서 첫 전파를 탔다.
  • 4월 4일: 미국에 묻혔던 서재필 박사와 전명운 의사의 유해가 조국으로 봉환되어 서울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 4월 6일
    • 김영삼 대통령은 조계사 폭력사태에 대해 성역없는 수사를 지시하였다.
    • <떴다! 럭키맨> 애니판이 일본 TV도쿄에서 첫 전파를 탔다.
    • 르완다 대통령 쥐베날 하브자리마나와 부룬디 대통령 시프리엔 은타리아미라가 탄 비행기가 키갈리국제공항 근처에서 격추되는 바람에 탑승자 전원이 숨졌다.
  • 4월 7일
    • 조계종 중진승려 7명이 의현 총무원장을 상대로 직무정지 가처분신청을 법원에 제출하였다.
    • 대우조선 노조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안을 가결시켰다.
  • 4월 8일
    • 국민고충처리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미국의 락밴드 너바나 멤버 커트 코베인이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사인은 엽총 자살이었으며, 경찰은 사망 추정일을 당월 5일로 발표했다.
  • 4월 10일
    • 범종추는 전국승려대회에서 '조계종개혁회의'를 출범하였다.
    • 에버랜드에 아마존 익스프레스가 오픈하였다.
  • 4월 11일
    • 조계종개혁회의는 비상사태대책위원회 설치 및 경찰 철수를 요구하였다.
    • 구국민족동맹 등 8개 우익단체들은 장편소설 <태백산맥>의 저자 조정래와 발행처인 한길사 대표 김언호를 국보법 위반과 명예훼손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 4월 12일: 북한 개천~순천 간 전기철도가 개통되었다.
  • 4월 13일: 의현 조계종 총무원장이 사퇴하였다.
  • 4월 14일: 서울시교육청은 상문고에 관선이사를 파견하였다.
  • 4월 15일
    • 조계종 중앙종회는 해산과 동시에 개혁회의에 전권을 이양할 것을 결정하였다.
    • 부산지하철노조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안을 가결시켰다.
  • 4월 16일
    • 이기택(민주당)-김동길(국민당)-이종찬(새한국당) 3개 야당 대표가 3당통합에 합의하였다.
    • 정부는 한미연합사령관 김재창 등 하나회 출신 장성 8명을 보직해임하였다.
    • <가면라이더 J>가 일본 전역에서 개봉되었다.
  • 4월 17일: MBC에서 메디컬 드라마 <종합병원>이 첫 전파를 탔다.
  • 4월 18일
    • 서울민사지법은 '우조교 성희롱 사건' 손배소송 청구판결에서 가해자인 지도교수 신씨에게 처음으로 배상판결을 내렸다.
    • 일본 아스키 미디어웍스가 <월간 코믹 전격대왕>을 창간하였다.
  • 4월 19일: 강원산업 노조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의무금 납부 거부를 결의하였다.
  • 4월 20일
    • 김영삼 대통령은 페리 미 국무장관-갈루치 국무차관보와 북핵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한미 양국은 국방장관회담에서 북측이 IAEA 핵사찰 수용 거부 시 11월 팀 스피릿 훈련 실시에 합의하였다.
    •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설립되었다.
  • 4월 21일
    • 이회창 총리는 통일안보정책협의회 논의사항도 총리의 승인을 받도록 하라고 지시하였다.
    • '통일맞이 칠천만겨레모임'이 발족되었다.
  • 4월 22일: 김영삼 대통령은 통일안보정책협의회 문제로 이회창을 총리직에서 해임하고 이영덕을 새 총리직에 앉혔다.
  • 4월 23일: KBS2에서 <TV는 사랑을 싣고>가 첫 전파를 탔다.
  • 4월 24일: SBS에서 <좋은 친구들>이 첫 전파를 탔다.
  • 4월 25일: 아키모토 나미의 만화 <미라클 걸즈> 애니판이 MBC에서 <요술소녀>란 제목으로 더빙 방영되었다.
  • 4월 26일
    • 서암 스님은 종정 사임 및 조계종 탈퇴를 발표하였다.
    • 대만발 일본행 중화항공 140편이 나고야 인근에 추락해 탑승인원 271명 중 264명이 사망했다.
  • 4월 27일
    • 서울고법은 이문옥 전 감사관에 파면처분 취소 판결을 내렸다.
    • 한진중공업 노조는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안을 가결시켰다.
    • 북한 평남 온천군 금성간척지가 준공되었다.
  • 4월 28일
    • 삼성중공업은 일본 닛산차와 승용차생산 기술도입을 체결하였다.
    • '부산민중항쟁기념사업회'가 발족되었다.
    • 북한측은 미국에 정전협정을 휴전협정으로 바꾸기 위한 회담을 제의했다.
    • 북한측은 군사정전위 철수 및 중립국감시국 폴란드 대표단의 철수를 통보했다.
    • 하타 쓰토무 신생당 당수가 새 일본 총리직에 취임했다.
  • 4월 29일
    • 대법원은 윤금이 살해사건 용의자 케네스 마클에게 징역 15년을 확정했다.
    • 코리아타코마 노조가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안을 가결시켰다.
  • 4월 30일
    • 오제도 변호사 등 15명이 '북한탈출동포돕기운동본부'를 결성하였다.
    • 북한 사회안전부 대위 여만철 일가족 5명이 남한으로 귀순하였다.
    • 미국 정부는 한국을 지적재산권 우선감시대상국으로 잔류시켰다.
    • 대한검도회가 사단법인으로 출범하였다.
    • 한국화낙 노조가 총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포뮬러 F1 3R 이몰라 서킷에서 열린 산 마리노 그랑프리 퀄리파잉 도중, 오스트리아 출신의 롤란드 라첸베르거가 사고로 사망하였다.

2.5. 5월[편집]

  • 5월 1일
    • 한국노총은 37년 만에 근로자의 날 기념대회를 당일에 개최하였다.
    • 전노대는 '세계노동절 기념대회'를 개최하였다.
    • 포뮬러 F1 제3전 산마리노 GP 이몰라 서킷에서 아일톤 세나가 경기 도중 사망했다.
  • 5월 2일
    • 한국기업메시나협의회가 발족되었다.
    • 한라중공업 노조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안을 결의하였다.
  • 5월 3일
    •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경영일선 퇴진을 발표하였다.
    • 나가노 시게토 신임 일본 법무상은 마이니치신문 회견에서 태평양전쟁을 '식민지 해방전쟁'이라고 하며 중국 난징대학살은 날조되었다고 망언을 해 한-중 양국에 파문을 일으켰다.
    • 현대강관 노조는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미국 에픽메가게임즈가 PC용 게임 소프트웨어 <재즈 잭래빗>을 출시하였다.
  • 5월 6일
    • 한-일 양국 체신장관들은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 정책협의회 구성에 합의하였다.
    •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등 호국보훈단체들은 나가노 일본 법무상의 망언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였다.
    • 중국 베이징에 한국공보원이 문을 열었다.
    • 영-불 양국을 연결하는 해저유리터널 '채널 터널'이 완공되었다.
    • 미공군 소속 F-16C, F-15C 전투기가 충청남도 보령시 상공에서 공중충돌하여 F-15C 조종사가 순직하였다.
  • 5월 7일
    • 나가노 일본 법무상이 사흘 전 망언을 철회하며 사퇴했다.
    • 북한-에스토니아 간 대사급 외교관계가 수립되었다.
  • 5월 9일: 조계종 원로회의는 통도사 방장 월하 스님을 새 종정으로 추대하였다.
  • 5월 10일
    • ANC 의장 넬슨 만델라가 남아공 역사상 최초로 흑인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 5월 13일: 광주항쟁정신계승국민위원회 등 5.18 유관단체들은 전-노 전 대통령 등 신군부 관련자 35명을 내란 등의 혐의로 고소/고발하였다.
  • 5월 14일: 록뮤지컬 <지하철 1호선>이 서울 대학로 학전소극장에서 초연되었다.
  • 5월 15일: 주간신문 <일요서울>이 창간되었다.
  • 5월 16일: 한국장기협회의 후신으로 '대한장기협회'가 새로 발족되었다.
  • 5월 17일
    • IAEA 사찰단이 또다시 북한 평양을 찾아왔다.
    • 유엔 안보리는 내전 중인 르완다에 평화유지군 파견을 결정하였다.
  • 5월 18일: 아테네에 위치한 아테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1994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 5월 19일: 고려한약유통공사 대표 박순태 부부가 삼성동 자택 화재현장에서 숨진 채 발견되었다. 아들인 박한상이 유력 용의자로 지목되었다.
  • 5월 20일
    • 남북 양국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한글의 로마자 표기에 대한 국제표준제정회의'에서 기술보고서 발간을 의결하였다.
    • 대우기전 노조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도서출판 대원이 만화잡지 <영 챔프>를 창간하였다.
  • 5월 21일: 예멘이 4년 만에 남북으로 다시 쪼개졌다.
  • 5월 24일: 대우정밀 노조는 임단투 결의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5월 26일: 존속살해 유력 용의자인 박한상이 범행 일체를 자백한 뒤 구속되었다.(5월 19일 항목 참조.)
  • 5월 27일
    • 한총련 2기 출범식이 부산대에서 개최되었다.
    • PC엔진용 도키메키 메모리얼이 일본에서 발매되었다.
  • 5월 28일: 제비표필름과 삼희약품 노조가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5월 29일: 전 동독 공산당 서기장 에리히 호네커가 사망했다.
  • 5월 30일
    • 국민-신정 양당 대표가 통합을 선언하였다.
    • 내무부는 33개 시/군 통폐합을 최종 결정하였다.
    • 정부는 '지역균형개발법'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입법예고했다.
    • 경북 울진군 주민 5천여 명은 핵폐기장과 핵발전소 건립에 항의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 5월 31일
    • 김종필 민자당 대표는 경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 복수노조 금지조항 철폐와 제2노총 설립 반대를 표명하였다.
    • 효성중공업과 만도기계 노조가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2.6. 6월[편집]

  • 6월 1일: 김영삼 전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하여 옐친 전 대통령과 북핵문제에 대해 정상회담을 열었다.
  • 6월 2일: 김영삼-옐친 양국 정상은 러시아의 대북한 무기판매 중단 등을 발표하였다.
  • 6월 3일: 김영삼 전 대통령이 우즈베키스탄을 공식 방문하였다.
  • 6월 4일: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이 결성되었다.
  • 6월 6일: MBC에서 드라마 <사랑을 그대 품안에>가 첫 전파를 탔다.
  • 6월 7일: 대검은 한총련 조국통일위원회를 국보법상 이적단체로 규정하였다.
  • 6월 9일
    • 한승수 외무부장관과 첸치천 중국 외교부장이 북핵 문제에 대해 양국 입장을 조율했다.
    • (주)대우는 중국 당국과 승용차 5천대 구상무역형태 수출에 합의했다.
  • 6월 10일: 금강운수 노조가 48일간의 파업 끝에 한국노총 탈퇴 및 전노협 가입을 만장일치로 결의하였다.
  • 6월 12일
    • O. J. 심슨의 전처 니콜 브라운과 애인 로널드 골드먼이 피살되었다.
    • 보잉 777-200이 첫비행을 하였다.
  • 6월 13일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은 북핵문제와 관련해 개인 자격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하였다.
    • 북한 외교부는 IAEA 탈퇴 성명을 냈다.
  • 6월 14일
    • 김영삼 전 대통령은 카터 전 미국 대통령에게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을 시 대북제재가 불가피하다고 입장을 전달하도록 하였다.
    • 방한 중이던 아르헨티나 인권단체 '5월광장 어머니회'가 대전교도소까지 방문하여 세계최장기수 김선명 옹의 면회를 위해 정문 앞에서 다섯 시간 동안 기다렸으나, 교도소 측이 행형법상 친족이 아니면 면회할 수 없다고 하여 끝내 만나지 못했다.
    •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은 프랑스 알스톰그룹과 경부고속철도 차량도입 계약을 체결하였다.
    • 닌텐도는 SFC 부속 카트리지 '슈퍼 게임보이'를 일본에 출시하였다.
  • 6월 15일
    •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였다.
    • 이스라엘과 로마교황청이 정식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 6월 16일
    • 안기부는 지하단체 '구국전위'를 적발하고 안재구와 정화려 등 관련자 10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 최형우 전 내무장관은 조계사 경찰 투입과 승려 강제 연행에 대해 사과를 표명하였다.
    • 전지협은 동맹파업 찬반 투표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에서 변형근로제 철폐, 해고노동자 복직 등 요구가 수용되지 않을 경우 전면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전경련이 경제홍보협의회를 구성하였다.
  • 6월 17일
    • 김영삼 전 대통령은 카터 전 미국 대통령에게 김일성 북한 주석의 남북정상회담 참가의사를 전달받아 이를 수락하였다.
    • 남총련 소속 대학생 8백여 명이 'UR 비준저지 범국민대회' 참가를 위해 광주광역시 송정리역에서 통일호 열차를 타고 상경하려다 승차 저지를 당하자 강제 정차 후 탑승을 감행했다.
    • 남재희 전 노동부장관은 전지협 핵심간부 조사 후 사법 처리 및 전노대 내사 등을 발표했다.
    • 1994 미국 월드컵 개막식이 시카고 솔저 필드에서 개최되었다.(현지 시각 기준)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미국 월드컵 C조 조별리그 1차전에서 스페인을 상대로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 니콜-골드먼 살해혐의자 O. J. 심슨이 고속도로에서의 추격전 끝에 체포되었다. 당시 상황은 TV에서도 생중계되었다.
  • 6월 18일
    • 농민, 대학생, 재야단체들은 'UR 국회비준 저지를 위한 범국민대회'를 열며 가두행진을 벌였다.
    • 대검은 '남총련 열차 강제정차 사건' 관련학생 전원 검거령을 내렸다.
  • 6월 19일: 전철협 일부 강경파 세력들이 '전국철거민연합'을 발족하였다.
  • 6월 20일
    • 한국통신이 국내 최초로 상업 인터넷서비스 'KORNET'을 개통하였다.
    • 경찰은 3일전 통일호 강제정차 사건 관련학생 45명을 구속하였다.
    • 기아차노조는 임시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사)한국민속장기협회가 발족되었다.
  • 6월 21일: 내무부는 전국 31개 통합시의 명칭을 확정하였다.
  • 6월 22일
    • 북한측은 남북정상회담 예비접촉을 수락하였다.
    • 한국불교태고종은 새 종정에 보성 스님을 추대하였다.
    • 휴스턴 로켓츠가 1994 NBA 파이널에서 뉴욕 닉스를 4승 3패로 꺾어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하였다.(현지시각 기준)
  • 6월 23일
    • 정부는 남북정상회담 예비접촉 대표로 이홍구 통일부총리 등 3명을 확정하였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미국 월드컵 C조 조별리그 2차전에서 볼리비아를 상대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현지 시각 기준)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서대신역 ~ 신평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경찰 측은 새벽 4시에 전기협 소속 14개 지부에 경찰력을 투입해 농성 중이던 조합원들을 강제 연행했다.
    • 전기협은 새벽 정부의 공권력 투입에 맞서 총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 양대 지하철노조도 준법운행 투쟁에 돌입하였다.
  • 6월 24일
    • 검찰은 전노대 소속 노조들의 연대파업 결정에 대해 수사에 들어갔다.
    • 디즈니 사가 제작한 라이온 킹이 미국 전역에 개봉됐다.
    • 미국 워싱턴주 페어차일드 공군기지에서 B-52H가 선회기동 중 지상에 추락해 탑승인원 4명 전원이 사망했다.
  • 6월 25일
    • 대우중공업은 임시주총에서 대우조선 흡수합병계약을 승인하였다.
    •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중공업지부는 27일부터 철도와 연대파업을 결의하였다.
    • 부교공노조가 부산지역노동위의 직권중재 결정에 맞서 총파업에 돌입하였다.
  • 6월 27일
    • 김영삼 전 대통령은 새 국회의장에 황낙주, 국회부의장에 이춘구와 홍영기를 내정했다.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미국 월드컵 C조 조별리그 3차전에서 독일에게 2:3으로 패배하여 16강 진출이 좌절되었다.(현지 시각 기준)
  • 6월 28일
    • 남북 양국은 판문점 남북정상회담 예비 접촉에서 정상회담을 1994년 7월 25일 평양에서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남북분단 이후 50년 만에 가장 처음으로 양국 정상 김영삼과 김일성이 서로 만날 듯 싶었다.
    • 국회 본회의는 새 국회의장에 황낙주, 국회부의장에 이춘구와 홍영기를 선출했다.
    • 통신비밀보호법이 시행되었다.
    • 열린사회문화연구소가 설립되었다.
    • 일본 휴먼 사가 SFC 게임 태권도를 출시하였다.
  • 6월 30일: 통비법 시행에 따라 체신부 우정연구소가 26년 만에 문을 닫아 우편검열제가 사라졌다.

2.7. 7월[편집]

  • 7월 1일
    • 브라질 정부는 자국 통화를 기존의 크루제이루에서 헤알로 교체했다.
    • PLO의장 아라파트가 망명 27년 만에 처음으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귀환하였다.
  • 7월 2일
    •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가 결성되었다.
    • 1994 미국 월드컵 당시 콜롬비아 대표팀 선수 중 미국전에서 자책골을 넣었던 안드레스 에스코바르가 클럽에서 3인조 괴한들에게 살해당했다.
  • 7월 5일: 아시아차노조는 총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7월 6일
    • 동아일보사가 '그린스카우트'를 창단하였다.
    • 기아정기 노조는 총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7월 7일: 북예멘군은 남예멘의 최후거점 아덴을 점령해 내전을 종식시켰다.
  • 7월 8일
    • 한중노조는 대의원대회에서 한국노총 탈퇴를 결의하였다.
    • 북한의 김일성 주석이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당일 북측은 그의 사망 사실을 비밀에 부쳤다.
    • 서울 서초경찰서는 혁명적국제사회주의노동자동맹 기관지인 "노동자권력의 깃발" 등을 제작, 반포한 혐의(국가보안법상 이적표현물 제작, 반포)로 혁사노 조직원이며 단국대 선후배 사이인 백근화, 한영환 등 2명을 긴급구속했다.
  • 7월 9일
    • 북한 각 언론은 당일 정오에 김일성 사망 사실을 발표했다.
    • 김영삼 대통령은 김일성 사망을 계기로 전군에 특별경계령 및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였다.
    • 미-북 3단계 고위급회담 역시 김일성 사망으로 무산되었다.
  • 7월 10일: 미-북 양국은 김일성 장례 후 3단계 고위급회담 개최에 합의하였다.
  • 7월 11일
    • 북한측은 김일성 사망에 따라 남북정상회담 연기를 통보하였다.
    • 국무회의는 고졸 이상 학력자의 자비유학 외국인 시험을 폐지하기로 의결했다.
    • 국철 경인선 간석역과 도원역이 개통하였다.
  • 7월 12일
    • 대검은 전국 대학의 김일성 사망 추도 유인물/대자보 등을 국보법 위반으로 간주해 수사를 지시했다.
    • 범민련 남측본부는 김일성 조문단 파견을 결정하고 이를 위해 통일원에 협조했다.
    • 세계일보 사장 박진희와 재미언론인 문명자가 김일성을 조문하기 위해 방북했다.
  • 7월 13일: 서울경찰청은 '서총련 문예일꾼 전진대회'에 참석한 이종욱 의장 등 서총련 간부 55명과 국보법 위반/수배자 3명을 연행하였다.
  • 7월 14일
    • 법무부는 체포영장제와 법관의 영장실질심사제 등을 담은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 통일원은 범민련 김일성 조문단 방북을 불허한다고 발표했다.
    • 북한측은 남한 정부의 김일성 조문을 받아들이겠다고 발표했다.
  • 7월 15일
    • 전남대학교 학생회관 내에 당시 남총련 소속인 본교 총학생회에서 설치한 김일성 분향소가 발견되어 검찰이 수사에 나섰다.
    • 북한측은 김일성 조문 논란에 대해 대남비방방송을 시작했다.
  • 7월 16일: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목성에 충돌했다.
  • 7월 17일: 브라질 축구대표팀이 미국월드컵 결승전에서 이탈리아를 승부차기로 꺾어 24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였다.(현지시각 기준)
  • 7월 18일
    • 서강대 총장 박홍 신부는 청와대 대학총장 초청 간담회에서 일부 학생들이 북한의 지령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 이영덕 국무총리는 김일성에 대해 "민족분단 고착과 전쟁을 비롯한 불행한 사건의 책임자"라고 정부의 공식 입장을 밝혔다.
    • 경찰은 김일성 분향소 설치 등의 이적행위 혐의가 있는 140여명에 대해 일제 검거령을 내렸다.
  • 7월 19일
    • 동아일보사가 '일민문화재단'을 설립하였다.
    • 북한 평양 금수산의사당에서 김일성의 장례식이 열렸다.
    • <달려라 부메랑> 애니판이 SBS에서 더빙 방영되었다.
  • 7월 20일: 정부는 러시아 측으로부터 입수한 한국전쟁 관련 문서 216건을 공개하여 한국전쟁이 북한-중국-소련의 공조로 일어난 전쟁임을 밝혔다.
  • 7월 22일: 대검 공안부는 전대협-한총련이 1991년부터 팩시밀리로 북한과 40여번이나 교류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
  • 7월 24일: 서울지역 기온이 38.4°C를 기록했다. 이는 기상관측 87년 이래 처음이었다.
  • 7월 25일
    • SBS에서 드라마 <영웅일기>가 첫 전파를 탔다.
    •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 준비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7월 26일: 한국디자이너협회가 세워졌다.
  • 7월 27일: 강성산 북한 총리의 사위 강명도는 이날 귀순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탄두 5개를 보유했다고 밝혔다.
  • 7월 28일: 강희남 북한 부총리가 사망하였다.
  • 7월 30일: 국제사면위원회는 북한 정치범수용소의 실태와 북한 내 정치범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2.8. 8월[편집]

  • 8월 1일
    • MBC에서 납량특집 드라마 <M>이 첫 전파를 탔다.
    • 한국 대표팀이 캐나다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대회 결승에서 쿠바를 꺾어 우승했다. 이 대회에서 이승엽, 김선우, 김건덕 등이 배출되었다.
    • 김영삼 대통령은 국제사면위원회가 밝힌 북한 정치범 실태와 관련해서 납북자 송환에 총력을 다할 것을 지시했다.
  • 8월 2일
    • 대구 수성구 등 4개 지역에서 재보궐 선거가 치러졌다. 모두 민주자유당 의원들의 지역구였는데, 선거 결과 민자당은 다시 한번 참패를 당했다.
    • 검찰은 경상국립대학교 교양과목인 <한국사회의 이해(장상환 등 9명 공저)>의 이적성 여부를 밝히기 위해 수사에 착수했다.
  • 8월 4일
    • 서울지검은 혁명적국제사회주의노동자동맹 기관지인 "노동자권력의 깃발" 등을 제작, 반포한 혐의(국가보안법상 이적표현물 제작, 반포)로 혁사노 조직원이며 단국대 선후배 사이인 백근화, 한영환 등 2명을 구속 기소했다.
    • 쿠바 의회는 경제난에 따라 27년 만에 세금 법률안을 통과시켰다.
  • 8월 5일
    •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북 양국 간에 핵관련 3단계 고위급회담 1차 회의가 개최되었다.
    • 북한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는 평양 일대에서 단군조선 시대 유물들을 발굴해냈다.
    • 쿠바 아바나 부두에서 수천 명의 시민들이 카스트로 퇴진을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 피델 카스트로 의장은 반정부 투쟁을 와해하기 위해 항구를 개방했다. 이 여파로 4만여 명의 난민들이 보트피플화되어 미국으로 향했다.
  • 8월 6일
    • 서울지검 서부지청 특수부는 김일성 자서전 <세기와 더불어>를 국내에 출판하고자 시도한 도서출판 가서원을 압수수색했다.
    • 엑스피아월드는 구 대전엑스포 국내전시장 구역에 '엑스포 과학공원'을 열었다.
    • 조훈현 9단이 제7회 후지쯔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에서 우승했다.
  • 8월 7일: 남북한 학자들은 분단이래 처음으로 중국 연변에서 '1994 코리안 컴퓨터처리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 8월 8일: 이스라엘과 요르단 양국은 국경을 개통해 46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하였다.
  • 8월 9일: 경찰은 범추본 의장 이창복과 집행위원장 황인성을 국보법 위반혐의로 긴급 구속하였다.
  • 8월 10일
    • 서울발 대한항공 2033편 A330-600R기가 제주국제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다가 기상악화로 인해 활주로를 이탈한 후 불이 났다. 다행히 승객과 승무원 152명은 모두 비상탈출해 생존했다.
    • 라빈-아라파트 양측 정상은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에레즈 정상회담에서 팔레스타인 자치확대를 위해 노력하도록 합의하였다.
  • 8월 11일: 경남 밀양군 삼랑진읍에서 무궁화호 열차가 충돌해 4명이 사망하고 2백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 8월 12일
    • 대한적십자사 총재 강영훈은 남북적십자회담 23주년을 맞이해 북측에 이산가족 및 납북자 송환을 주제로 한 남북적십자회담을 제의했다.
    •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케이블방송의 채널번호를 확정했다.
    • 미국 메이저리그선수노조가 일제히 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월드시리즈를 포함한 남은 시즌들이 모두 취소됐다.
  • 8월 14일: 한총련 소속 학생들은 범민족대회 개최를 위해 서울대에 재집결해 시위를 했다.
  • 8월 15일
    • 김영삼 대통령은 광복절 기념사에서 북한 핵투명 보장 시 경수로 건설지원 및 민족발전공동계획을 제안하였다.
    • 제5회 범민족대회 남측행사가 서울대 관악캠에서 개최되었다.
    • 경찰은 서울대 범민족대회장에 헬기를 띄워 최루액 4천 리터를 상공에서 대량 살포해 해산작전을 벌였다.
  • 8월 16일
    • 김영삼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민자당 재/초선 만찬장에서 "공권력을 총동원해 주사파를 발본색원하겠다."라고 천명했다.
    • 현대중공업이 직장폐쇄를 철회하였다.
    • 북한인 시베리아 벌목공 8명이 남한으로 귀순하였다.
  • 8월 17일
    • 김영삼-클린턴 한미양국 정상이 북한 경수로지원은 특별사찰이 이루어져야 가능하다고 의견을 일치시켰다.
    • 김기설 유서대필 혐의자 강영훈이 3년 만에 만기 출소했다.
    • 석달 전 귀순한 시베리아 벌목공 6명이 최초로 직업훈련원에 입교되었다.
  • 8월 18일
    • 안기부는 이틀 전 귀순한 시베리아 벌목공 중 1명이 위장 귀순자였다고 발표하였다.
    • 검찰은 박홍 서강대 총장의 발언근거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 경찰은 범민족대회 관련자 42명을 구속했다.
  • 8월 19일
    • 정부는 미전신호소 사고 등 일련의 철도사고와 관련해 최훈 대신 김인호를 철도청장직에 임명했다.
    • 정부와 민자당은 대한뉴스와 문화영화(기록영화)를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 유엔 인권소위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조사해 인권위에 보고토록 하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쿠바 난민 입국 불허방침을 밝혔다.
  • 8월 20일: 북한 외교부 대변인은 기자회견에서 IAEA의 특별사찰을 거부했다.
  • 8월 21일
    • 철도청은 증기기관차를 부활시켜 서울역에서 의정부역까지 다시 운행했다.
    •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쿠바 제재조치 4개항을 발표하였다.
  • 8월 22일
    • 경찰은 고교생 잡지 <새날열기>를 고교생 정치세력화 선동혐의로 수사에 착수했다.
    • '농수축임중앙협의회'가 발족되었다.
    • 대륙연구소 발해유적발굴조사단은 러시아 연해주에서 러시아 측과 공동으로 발해유물 1천여 점을 발굴해냈다.
    • '한민족아리랑보존연합회'가 설립되었다.
  • 8월 23일
    • 국무회의는 운전면허시험 전국 응시 가능을 골자로 한 '도로교통법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 교육부는 교과서에서 국민교육헌장을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 현대중공업 노사분규가 파업 61일만에 타결되었다.
  • 8월 25일
    • 서울경찰청은 북한서적을 탐독하며 연구해 온 외대생 3명을 체포했다.
    • 박홍 서강대학교 총장이 여의도클럽에서 각계에 주체사상파가 750명이나 분포해 있다고 주장하여 파문을 일으켰다.
    • SNK는 KOF 시리즈 제1작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4>를 일본에 발매하였다.
  • 8월 26일
    • 안기부는 홍승문 사회민주주의청년연맹 의장을 국보법 위반혐의로 구속했다고 밝혔다.
    • 경상대는 이적성 여부 수사 진행중인 <한국사회의 이해> 강좌를 폐강한다고 결정했다.
  • 8월 27일
    • 정부는 남한강을 경계로 경기도를 남북으로 분할시킬 계획을 언급했다.
    • 교통부는 제주도 전역을 비롯해 부산 해운대, 경주, 속초, 대구 일부를 관광특구로 지정하고 영업시간 제한을 없앴다.
  • 8월 28일
    • 중부지방 폭우로 3명이 죽고 8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입었다.
    • 닌텐도는 <MOTHER 2>를 일본에 발매하였다.
    • 해사 충무공해전유물발굴단은 전북 여천시 신덕 앞바다에서 승자총통 2점과 지자총통 1점을 인양했다.
  • 8월 29일
    •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256Mb D램을 개발했다.
    • 창원지검 특수부는 <한국사회의 이해> 공동집필자 장상환 교수 등 3명을 국보법 위반혐의로 불구속 입건하였다.
    • 경찰은 고교생 통일운동 잡지 <새날열기> 투고자 이미연 민정련 정책국장을 국보법 위반으로 긴급구속했다.
    • 롯데복지재단이 설립되었다.
    • 오아시스의 첫번째 앨범 <Definitely Maybe>가 발매되었다.
  • 8월 30일
    • 정부는 경기도 남북 분할안을 유보했다.
    •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 <토지>의 연재가 완결되었다.
  • 8월 31일
    • 최형우 내무장관은 부산 등 3개 직할시를 광역화하고 울산시를 직할시로 승격하는 '행정구역 개편계획'을 발표했다.
    • 교육부는 4.19, 5.16 등의 공식용어를 변경한 <1996학년도 국사교과서 기술 준거시안>을 최종 발표했다.
    • 서울지검은 부산 초원복집 사건 관련자 김기춘 전 법무장관 등 5명에 대해 공소를 취소시켰다.
    • 경찰은 <태백산맥>의 저자 조정래 씨와 김언호 한길사 대표를 국보법 위반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2.9. 9월[편집]

  • 9월 하순경: 컴파일은 뿌요뿌요 2 아케이드판을 일본에 출시하였다.
  • 9월 1일
    • 법무부는 재독 작곡가 윤이상의 입국규제를 풀었으나, 입국금지 해제는 아니라고 발표하였다.
    • 대법원은 PC통신 천리안에 '대법원 란'을 신설해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 경찰은 조계사에서 농성 중이던 전기협 간부 8명을 연행했다.
    • 미국 워싱턴 메릴랜드대에서 제15차 '민족통일을 위한 범해외동포 학자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 수도권 전철 분당선 수서역 ~ 오리역 구간이 처음 개통되었다. 당시엔 노선색이 서울 지하철 3호선 색깔하고 같아서 오해를 많이 일으켰다.
  • 9월 2일: 경찰은 서울 구로/영등포지역 청소년 운동권단체 '샘' 회원 등 관련자 16명을 연행해 조사하였다.
  • 9월 3일: KBS2에서 드라마 <딸부잣집>이 첫 전파를 탔다.
  • 9월 4일
    • 경찰은 성남지역노동자회 관련자 5명을 국보법 위반혐의로 구속했다.
    • 일본 오사카에 간사이 국제공항이 개장됐다.
    • IOC는 파리 총회에서 태권도를 2000 시드니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하였다.
    • 군산 쌍방울 원정에서 패한 OB 베어스 선수 17명이 윤동균 감독의 체벌에 항의하며 전주 합숙소에서 탈주 후 기차로 상경했다.
  • 9월 5일: 이기택 민주당 대표가 대북 화해정책 추진 등 대북정책 전면 재검토를 촉구하였다.
  • 9월 7일
    • 외무부는 중국 칭다오에 총영사관을 개설한다고 밝혔다.
    • 한국자수박물관이 1883년에 창설된 고종 친위대 군복을 발견하였다.
    • 지휘자 정명훈이 파리항소법원 판사의 중재로 파리오페라단 감독직 사퇴에 합의했다.
    • 유네스코 프랑스지부 청사에서 북한유물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 9월 8일
    • '윤이상 음악축제'가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개최되었다.
    • 오헤어발 피츠버그행 USAir 427편 B737-3B7기가 미국 피츠버그 국제공항 착륙 도중 러더 오작동으로 추락해 탑승인원 132명 전원이 사망했다.
  • 9월 9일
    • 김종인 무소속 의원이 동화은행 비자금사건 대법판결로 의원직을 상실했다.
    • '21세기 진보학생연합'이 결성되었다.
    • SNK는 '네오지오 CD'를 일본에 발매하였다.
  • 9월 10일
    •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가 발족되었다.
    • <신기한 스쿨버스>가 미국 PBS에서 첫 전파를 탔다.
  • 9월 11일: 인천직할시 북구청 세무담당 공무원들이 법무사와 짜고 조직적으로 재산세 및 등록세를 횡령해 온 사실이 언론에 알려졌다.
  • 9월 13일
    • 북한측은 판문점에서 미군 유해 34구를 미국에 인도하였다.
    • 이스라엘 외무부는 '오슬로 선언'을 체결한다고 발표하였다.
  • 9월 15일: 내무부는 인천 북구청 세금포탈 사건을 계기로 일선 시/도에 1995년까지 지방세업무를 전산화하도록 지시하였다.
  • 9월 17일
    • 정부 민영화추진대책위는 국정교과서의 교과서 독점발행권을 1999년부터 폐지키로 결정하였다.
    • 인천지검은 세금포탈 사건과 관련해 이광전 전 북구청장을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하였다.
    • 경부고속도로 양재 ~ 신탄진 구간에 버스전용차로제가 국내 최초로 실시되었다.
  • 9월 19일
    • 서울 서초경찰서는 1993년 결성 때부터 5명을 연쇄살인한 '지존파' 두목 등 조직원 5명을 구속하였다.
    • 최기선 인천시장이 인천 북구청 세금비리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였다.
    • 영국 수학자 앤드루 와일스가 페르마의 대정리를 완성했다.
  • 9월 21일: 마이크로소프트가 Windows NT 3.5를 발매하였다.
  • 9월 22일: 워너 브라더스가 제작한 <프렌즈>가 미국 NBC에서 첫 전파를 탔다. 이는 당시 90년대 세계 트렌드의 수요를 절묘하게 반영하고 미국 문화계에 붐을 불러일으켰다.
  • 9월 23일: 자이언트판다 밍밍(明明)과 리리(莉莉)가 한국에 들어왔다.
  • 9월 27일: 육군 53사단 소대장과 하사 등 2명이 사병들의 하극상에 경종을 울린다며 무장탈영했다.
  • 9월 28일: 대형 카페리선 '에스토니아 호'가 발트해상에 침몰해 탑승객 989명 중 852명이 숨졌다.
  • 9월 30일
    • 검찰은 인천 북구청 세무비리사건 중간수사결과 지방세 횡령액은 60억 2,400만원에 달한다고 했으며, 관련자 21명을 구속, 4명을 수배했다고 밝혔다.
    • 키린엔터테인먼트가 성인 3DO게임 소프트웨어 <배관공은 넥타이를 매지 않는다>를 미국 전역에 출시하였다.

2.10. 10월[편집]

  • 10월 1일
    • 한국방송공사(KBS)가 KBS 1TV, KBS 제1라디오, KBS 제1FM에 TV수신료를 한국전력공사에 위탁징수 및 수신료징수제도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에 따른 KBS 2TV 및 KBS 제2라디오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편성 및 시간을 확대했다.
    • 데이콤이 상용 인터넷서비스 '데이콤 인터넷'을 개설하였다.
    • 나우콤이 PC통신 '나우누리'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 국군의 날 서울 시가행진이 4년 만에 부활하였다.
    • 석공 민영화계획이 노조와 지역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 범청학련 남측본부 공동사무국장 최정남이 단군릉 준공식 참석을 위해 방북했다.
    • 팔라우가 47년의 신탁통치를 끝내고 완전히 독립되었다.
  • 10월 2일
    •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개막식이 일본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개막되었다.
    • 대검은 최정남의 입북경위에 대한 수사를 지시하였다.
    • 일본 자위대 병력 470명이 전후 최초로 르완다에 해외파병을 나갔다.
  • 10월 3일
    • 동아시아경기협의회는 부산을 1997년 대회 개최지로 결정하였다.
    • UN 국제평화유지군이 아이티에 도착하였다.
  • 10월 4일
    • 김영삼 대통령은 경제부처를 대폭 개각하여 홍재형을 새 경제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에 임명하였다.
    • 광주국악진흥회가 설립되었다.
  • 10월 5일: 육군측은 탈영사건을 유발시킨 하극상 관련 장교 및 사병 29명을 구속하였다.
  • 10월 6일
    • 강원 태백시 계산동 장성광업소 문곡갱 막장에서 유독가스가 분출되어 광부 10명이 질식해 숨졌다.
    • 법무부는 문민정부 출범 이래 최초로 사형수 15명에 대해 형 집행을 단행하였다.
  • 10월 7일
    • 한국 사격대표팀이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단체전 및 개인전에서 각각 금메달을 석권하였다.
    • 한국 여자배구팀이 동 대회 결승전에서 대만을 꺾어 금메달을 차지하였다.
    • 신세계백화점은 서울 양평동에 회원제 창고형 도소매점 '프라이스클럽' 1호점을 오픈하였다.
  • 10월 8일: 박경리 작가의 대하소설 <토지>가 25년 만에 완간되었다.
  • 10월 9일: 마라토너 황영조가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땄다.
  • 10월 10일: 미국 ID소프트웨어는 <둠 2: 헬 온 어스>를 발매하였다.
  • 10월 11일: 북한 언론이 단군릉 복원 사실을 보도하자 남한 역사학계에서 논란이 일었다.
  • 10월 13일
    • 문체부는 '영상진흥기본법안'을 입법 예고하였다.
    • 부산북부경찰서는 국교생 유괴살인 혐의자 3명을 구속하였다.
    • 경륜이 출범되었다.
    • '신사회공동선운동연합'이 발족되었다.
    • 북아일랜드 신교 무장단체 UDA는 IRA 및 구교도에 대한 휴전선언 성명을 발표하였다.
  • 10월 14일
    • 국내 종합주가지수가 1103.37p로 뛰어올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 안기부는 북한 회령수용소 경비병 안명철이 귀순했다고 밝혔다.
    • 대만 인기드라마 <판관 포청천>이 KBS2에서 더빙 방영되었다.
  • 10월 15일
    • 정부는 도농복합형 광역시제도 도입 등을 담은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였다.
    • 서울 잠실 올림픽공원 벨로드롬에서 첫 번째 경륜 경기가 열렸다.
    • 문화방송의 드라마 서울의 달이 81화를 끝으로 종영하였다.
  • 10월 16일
    • 1994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폐막식이 일본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개최되었다.
    • 한국 선수단이 히로시마 아시안게임에서 종합 3위를 차지하였다.
    • 유엔 안보리는 아리스티드 전 대통령 귀국을 계기로 아이티에 대한 모든 제재를 해제시켰다.
  • 10월 18일
    • 법무부는 11월부터 재소자들의 소내집필을 허용한다고 결정하였다.
    • 서울경찰청은 '국제사회주의자들(IS)' 관련자 10명을 구속하고 7명을 불구속입건, 12명을 각각 수배했다고 밝혔다.
    • KBS1에서 <긴급구조 119>가 첫 전파를 탔다.
  • 10월 19일: 1980년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관련자 및 유족 22명은 전-노 전 대통령 등 신군부 관련자 10명을 '내란목적의 살인죄 및 살인미수죄'로 고발하였다.
  • 10월 21일
    • 서울 한강에 있는 성수대교 중간 5~6번 교각상판 부분이 50m 가량이나 무너져 32명이 목숨을 잃고 17명이 다쳤다.
    • 김영삼 대통령은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관련해 이원종 서울시장을 경질한 후, 우명규 전 경북도지사를 후임 시장직에 임명하였다.
    • 미-북 양국은 핵문제 해결을 위해 <제네바 기본합의서>에 공식 서명하였다.
  • 10월 22일
    • 이기택 민주당 대표는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관련해 내각 총사퇴를 요구하였다.
    • 건설부는 성수대교 붕괴 사고를 계기로 주요 교량 5년단위 안전점검 실시 등 교량대책을 마련하였다.
    • 검-경은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와 동아건설 등을 상대로 전면수사에 착수하였다.
    • 프로바둑기사 이창호 7단이 제38기 국수전 결승에서 조훈현 9단을 누르고 타이틀을 방어하였다.
  • 10월 23일: 1994년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가 4연승으로 태평양 돌핀스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확정지었다.
  • 10월 24일
    • 김영삼 대통령은 성수대교 붕괴 사고에 대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였다.
    • 충북 단양군 적성면 문곡리 충주호에서 운항 중이던 관광유람선 '충주 5호'에서 화재가 발생해 29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했다.
    • 안기부는 납북 국군포로 조창호 소위가 조국으로 귀순했다고 발표하였다.
  • 10월 27일
    • 민주-신민-무소속 의원 105명이 성수대교 붕괴 사고와 관련해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전원해임안을 제출하였다.
    • 삼성그룹은 사업구조를 4개 중핵사업군으로 분할하고 계열사 수를 24개로 축소하는 개편계획을 발표하였다.
    • 한전이 공기업 사상 두 번째로 나스닥에 상장하였다.
  • 10월 28일: 국회 본회의는 '성수대교 붕괴 사고 관련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 전원해임안'을 부결했다.
  • 10월 29일
    • 검찰은 12.12 사태를 군사쿠데타로 결론짓고 신군부 관련자 34명을 기소유예 처분시켰다.
    • 인천 영종도 신공항부지 물막이공사가 완료되었다.
  • 10월 30일: 한남대가 지방대학 중 최초로 사회복지활동을 정규과목으로 신설하였다.
  • 10월 31일
    • 미드 X파일이 <FBI 비록 X파일>이란 제목으로 KBS2에서 더빙 방영되었다.
    • 지존파 조직원들의 1심 선고 공판에서 김기환,김현양등 조직원 6명에게 사형을 선고했다.

2.11. 11월[편집]

  • 11월 1일
    • 우명규 서울시장이 붕괴된 성수대교 관리책임과 관련해 임명 11일만에 사퇴했다.
    • 경찰청은 '광역수사단'을 발족하였다.
    • '천주교 조작간첩 진상규명 대책위원회'가 발족되었다.
  • 11월 2일
    • 김영삼 대통령은 새 서울시장직에 최병렬을 임명하였다.
    • 정승화 전 육참총장 등 12.12 사태 고소인 22명이 검찰의 불기소처분에 불복하며 서울고검에 항고하였다.
  • 11월 3일: '제1회 신사미술제'가 서울 강남 신사동 화랑 일대에서 개최되었다.
  • 11월 4일: '공공부문노동조합대표자회의'가 발족되었다.
  • 11월 5일: 국산 포르노 애니 1호 <블루시걸>이 전국 50개 극장에서 동시 개봉되었다.
  • 11월 6일: '기아그룹노동조합총연맹'이 발족되었다.
  • 11월 8일
    • 대검은 횡령 혐의를 지닌 박태준 전 포철 회장을 건강상 이유로 불구속기소했다.
    • 국내 종합주가지수가 1138.75p라는 사상 최고점을 찍었다.
  • 11월 9일
    • 삼성생명공익재단은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 '삼성서울병원'을 개설하였다.
    • 영화 <홍콩 97#s-1>이 미국 전역에 개봉되었다.
  • 11월 10일
    • 서울고검은 검찰의 12.12 사태 불기소처분 관련 항고를 기각했다.
    • 북한 조평통은 한국 정부가 제의한 남북경협안 거부 담화를 발표했다.
  • 11월 11일: '사랑의 장기은행'이 발족되었다.
  • 11월 12일
    • 12.12 사태 고소인 22명은 서울고검의 불기소처분에 불복하며 대검에 항고하였다.
    • 이틀 뒤 열릴 폐연료봉 보관 관련 미-북 전문가협상에 즈음해 미국측 대표단이 평양에 도착하였다.
    • 동의대병원은 납제련공장 노동자에게서 국내 최초로 뇌석회화병이 발생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주 딜리에서 학생 29명이 분리독립을 요구하며 미국 대사관을 월담해 농성에 돌입하였다.
  • 11월 13일
    • 스웨덴 정부는 국민투표를 열어 유럽연합에 가입하는 것을 의결했다.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준비위원회가 결성되었다.
  • 11월 14일
    • 국무회의는 '공무원범죄에 대한 몰수특례법'을 의결하였다.
    • 대우그룹은 2020년까지 해외기지 650개 구축 등을 목표로 한 '세계경영 2단계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 '폐연료봉 보관 관련 미-북 전문가회의'가 북한 평양에서 개최되었다.
  • 11월 15일
    • 서울형사지법은 한약상부모 패륜살해범 박한상에게 사형 선고를 내렸다.
    • 인도네시아 보고르에서 제6차 APEC 정상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무역자유화 달성을 강조한 '보고르 선언'이 채택되었다.
  • 11월 17일: '한국여성유권자연맹'이 설립되었다.
  • 11월 18일: '동학 1백주년 기념관'이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납동에서 착공되었다.
  • 11월 19일: 김영삼 대통령은 세계화 구체화 작업을 지시하였다.
  • 11월 20일: 서울 남산 외인아파트가 '남산 제모습 찾기 사업'의 일환으로 폭파 해체되었다.
  • 11월 21일
    • 경기 부천시 세무공무원 7명이 법무사와 짜고 세금 22억원을 횡령해 도주한 사실이 언론에 알려졌다.
    • 전 조계종 총무원장 월주 스님이 총무원장 경선에서 14년 만에 선출되었다.
    • 세가 오브 아메리카가 제네시스 주변기기 제네시스 32X를 북미지역에 발매하였다.
    • 일본 무민 사가 아타리 재규어를 일본 국내에 발매하였다.
  • 11월 22일
    •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창설되었다.
    • 세가 게임즈는 차세대 게임기 '세가 새턴'을 일본에 발매하였다.
  • 11월 23일
    • 부산지법은 국교생 유괴살해 혐의자 2명이 고문당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 미국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창사 이래 최초로 RTS 게임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을 발매하였다.
    • 1995학년도 대입수학능력시험이 치러졌다.
  • 11월 25일: 경제장관회의는 '정보화촉진기본법안'을 통과시켰다.
  • 11월 26일: 김근태 등 재야인사들이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를 발족하였다.
  • 11월 27일: 서울 여의도 라이프빌딩이 폭파 해체되었다.
  • 11월 29일
    • 서울 남산공원에 '서울 1000년 타임캡슐'이 매설되었다.
    • 프로바둑기사 서봉수 9단이 왕위전 본선리그에서 장수영 9단을 꺾어 한국 바둑사상 첫 1천승을 달성하였다.
    • 국방부는 군용 담배를 '솔'에서 '88라이트'로 교체하였다.
    • 공정경쟁협회가 발족되었다.
  • 11월 30일
    • 제1차 미-북 경수로 관련 전문가협상이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다.
    • 한미 양국은 국군 평시작전통제권 환수 관련 교환각서에 서명하였다.

2.12. 12월[편집]

  • 12월 3일
    • 정부는 경제기획원+재무부 등 부처 통합을 골자로 한 '정부조직 개편안'을 발표하였다.
    • 금성사는 CD 복합게임기 '3DO 얼라이브'를 한국과 북미지역에 출시하였다.
    • SCE는 차세대 게임기 '플레이스테이션'을 일본에 출시하였다.
    • 세가 게임즈는 MD의 부속기기 '슈퍼 32X'를 일본에 출시하였다.
  • 12월 7일
    • 서울 마포구 아현동에서 도시가스 공급 지하저장탱크가 폭발해 주민 4명이 사망하고 실종 9명, 중경상 65명, 건물 50채 전소 등의 피해를 남겼다.
    • 국립대구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 12월 8일
    • 교육부는 중학교 환경교과서를 편찬하였다.
    • 부천 세금비리 사건 관련자 2명이 자수하였다.
  • 12월 9일
    • 미-북 양국은 연락사무소 개설에 합의하였다.
    • 해태그룹이 인켈을 인수하였다.
  • 12월 10일: 러시아 공군기가 체첸 공화국 수도 그로즈니를 공습해 전쟁이 시작되었다.
  • 12월 11일: 연예계 1세대 매니저 배병수가 최진실의 로드매니저 전용철에게 살해당했다.
  • 12월 15일
    • '진보청년통신동우회'가 결성되었다.
    • 군사정전위 중국대표가 41년 만에 북한에서 완전 철수하였다.
    • 신생 독립국 팔라우가 UN에 가입했다.
  • 12월 16일: 국회 본회의는 '세계무역기구(WTO)가입 비준동의안'과 'WTO이행 특별법안'을 찬성 152표, 반대 58표, 기권 1표로 통과시켰다.
  • 12월 17일: 김영삼 대통령은 이영덕 대신 새 국무총리직에 이홍구를 임명하였다.
  • 12월 22일
    • '한국애니메이션제작가협회'가 창설되었다.
    • '만도 위니아'(HL 안양) 아이스하키단이 창단했다.
  • 12월 23일
    •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경제기획원/재무부는 재정경제원으로, 체신부는 정보통신부로, 보건사회부는 보건복지부로, 건설부/교통부는 건설교통부로, 환경처는 환경부로, 상공자원부는 통상산업부로 각각 개편되었다. 또한 교통부 관광국이 문화체육부로 이전되었다.
    • NEC는 게임기 PC-FX를 일본에 출시하였다.
    •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의 첫 편성인 501편성이 도입됐다. 이것은 2기 지하철의 첫 열차라고 볼 수 있다.
  • 12월 24일
    • 부산직할시 동서고가로 낙동대교 ~ 문현램프 구간이 개통되었다.
    • 알제리 알제공항에서 에어 프랑스 8969편 납치 사건이 발생해 탑승인원 232명 중 3명이 테러리스트에게 살해되었다. 주범인 테러리스트 4명 역시 연료를 재급유하기 위해 이동한 마르세이유 공항에서 GIGN의 진압작전에 의해 모두 사살되었다.
  • 12월 25일: 지방세합동특별감사본부는 전국 259개 시/군/구에서 지방세 150억 원 가량의 비리를 적발하였다.
  • 12월 26일
    • 경기도 화성군 반월면이 폐지되어 구 반월면의 관할구역은 안산시, 군포시, 수원시 권선구로 흩어졌다.
    • 게임회사 넥슨이 창립하였다.
    • 일본에서 신세기 에반게리온 만화판이 연재되기 시작했다.
  • 12월 31일
    • 1920년 신정 당시 임정요인 58명이 찍힌 사진과 명단이 일본 외무성 사료관에서 발견되었다.
    • 국민예술협회가 설립되었다.
    • 체첸 공화국 수도 그로즈니에 진입하던 러시아군 기갑부대가 매복해있던 체첸 군대의 기습으로 패퇴했다.
    • 대한뉴스가 2040호를 끝으로 종영하였다.

3. 탄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94년/탄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사망[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1994년/사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데뷔[편집]

5.1. 배우[편집]

  • 김남주
  • 김서형
  • 김소연
  • 박용하
  • 손건우
  • 성지은
  • 안재욱
  • 원기준
  • 유태웅
  • 윤손하
  • 윤용현
  • 이민영
  • 이병욱
  • 이하얀
  • 전현아
  • 정우성
  • 정욱(1973)
  • 최지우

5.2. 가수[편집]

5.2.1. 한국[편집]

  • 쿨(혼성그룹): 김성수, 이재훈, 최준명(7월 10일)
  • 김경호
  • 김정민(1968)
  • 구본승
  • 녹색지대
  • 닥터레게: 바비 킴
  • 룰라: 김지현, 이상민, 신정환, 고영욱
  • 뮤(혼성그룹)
  • 서지원
  • 성진우
  • 유리(쿨)
  • 이예린(1974)
  • 이원진
  • 좌회전: 김진(배우)
  • 조관우
  • 정인수
  • 토이: 유희열
  • 투투: 김지훈, 황혜영
  • CRASH(밴드)
  • DJ DOC: 김창렬, 이하늘, 박정환
  • Z: 3인조 남성그룹

5.2.2. 해외[편집]

  • 나스(래퍼)
  • 노토리어스 B.I.G.
  • 다 브랫
  • 메이헴(밴드)
  • 본 석스 엔 하모니
  • 블랙스트릿
  • 데이브 홀리스터
  • 스캣맨 존
  • 아웃캐스트: 빅 보이, 안드레 3000
  • 어셔
  • 오아시스: 리암 갤러거, 노엘 갤러거
  • 워런 G
  • 쿠로유메 (메이저 데뷔)
  • 포티스헤드
  • 푸지스
  • Korn
  • 69 보이즈
  • CASCADE
  • TOKIO
  • 윌피스 카터

5.3. 예능인[편집]

  • 강남영
  • 김가연
  • 김경희(코미디언)
  • 김광회
  • 김소정
  • 김철민(1967)
  • 김태균(방송인)
  • 김현철(코미디언)
  • 나도야
  • 서길자
  • 심원철
  • 안잣슈
  • 정성화
  • 정성한
  • 정찬우
  • 홍석우
  • 황봉알

5.4. 만화계[편집]

  • 강대영 - <엑센트>
  • 강지톨 - <복남이와 삼식이는…?>
  • 강태준 - <사신전>
  • 공일민 - <도둑신화>
  • 김도연
  • 민경태 - <초범>
  • 박명운 - <쿠키>
  • 박상선 - <일루션>
  • 박지훈 - <폭풍 속으로>
  • 박진성 - <Cool>
  • 박은아 - <키 작은 보호자>
  • 박찬섭 - <못말리는 게임꾼들>
  • 비타민 - <마계도가>
  • 서영웅 - <못 말리는 수호천사>
  • 서정은 - <그라운드 파이터>
  • 스즈키 나카바 - <Revenge>
  • 신민경 - <3월에는>
  • 신동주 - <인형 만들기>
  • 신영우 - <오렌지 보이>
  • 안중규 - <Mr.삐삐>
  • 양여진 - <호랑이랑>
  • 윤종문 - <탱크 파이터>
  • 이경석 - <Turn on off on>
  • 이소영 - <활옷>
  • 이영숙 - <갑순이>
  • 이은누 - <바람난 사람들>(스토리 담당)
  • 이주연 - <신검 아나키라스>
  • 이진경 - <GETTO JAM>
  • 이현주 - <꽃순이>
  • 정상희 - <우리는 불량이 아니다>
  • 조남준 - <만화 같은 세상>
  • 최미정 - <거기 누구>
  • 최지민 - <스피드 업>
  • 카와시타 미즈키 - <고교남자 -BOYS->
  • 케이 - <The Sea>
  • 타케이 히로유키 - <이타코의 안나>
  • 하시현 - <우울증에 걸린 앨리스>
  • 형민우 - <열혈유도왕전>

5.5. 스포츠[편집]

5.5.1. 야구[편집]

  • 김재현(1975)
  • 김한수
  • 박찬호
  • 서용빈
  • 유지현
  • 이숭용
  • 이호준
  • 임수혁
  • 최동수
  • 최상덕
  • 허문회

5.5.2. 축구[편집]

  • 유상철
  • 최용수

5.5.3. 농구[편집]

  • 그랜트 힐
  • 글렌 로빈슨
  • 김승기
  • 김영만
  • 김재현(1975)
  • 김재훈
  • 디르크 노비츠키
  • 라몬드 머레이
  • 문경은
  • 아론 맥키
  • 에디 존스
  • 에릭 피아코스키
  • 조동기
  • 조성원
  • 제이슨 키드
  • 주완 하워드
  • 홍사붕

5.5.4. 배구[편집]

  • 김성희

5.5.5. 씨름[편집]

  • 김경수

6. 은퇴[편집]

6.1. 스포츠[편집]

  • 농구
    • 래리 낸스
    • 박찬숙(2차 은퇴)
    • 서대성
    • 아이제아 토마스(1961)
    • 이원우
  • 배구
    • 이경석
    • 장윤창
  • 탁구
    • 현정화

6.2. 연예계[편집]

  • 4월: 김동원(1916) - 연극 《이성계의 부동산》

7. 히트작[편집]

7.1. 드라마[편집]

  • KBS
    • 한명회
    • 느낌
    • 폴리스
    • 딸부잣집(~'95)
  • MBC
    • 마지막 승부
    • 서울의 달
    • 사랑을 그대 품안에
    • M
    • 아들의 여자(~'95)
    • 짝(~'98)
  • SBS
    • 결혼
    • 사랑의 향기
    • 작별
    • 이 남자가 사는 법
    • 이 여자가 사는 법(~'95)
  • EBS
    • 언제나 푸른마음
  • 해외
    • 바빌론 5
    • 삼국연의(1994)
    • 프렌즈
    • 후루하타 닌자부로

7.2. 영화[편집]

  • 국산
    • 너에게 나를 보낸다
    • 세상 밖으로
    • 태백산맥
    •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
    • 게임의 법칙
  • 해외
    • 중경삼림
    • 인생
    • 가을의 전설
    •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 쇼생크 탈출
    • 레옹
    • 라이온 킹
    • 마스크
    • 에이스 벤추라
    • 덤 앤 더머
    • 트루 라이즈
    • 스피드
    • 포레스트 검프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부리부리 왕국의 보물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꿈의 삼총사
    • 펄프 픽션
    • 폼포코 너구리 대작전
    • 쥬니어
    • 동사서독
    • 베이비 데이 아웃
    • 작은 아씨들
    • 남자가 사랑할 때
    • 일 포스티노
    • 리치 리치
    • 백조 공주
    • 스트리트 파이터
    • 타임캅
    • 알라딘 2: 돌아온 자파
    • 총알탄 사나이 3

7.3. 가요[편집]

  • 한국
    • 강산에 - 넌 할 수 있어
    • 강진 - 삼각관계
    • 구본승 - 너 하나만을 위해
    • 김건모 - 핑계, 어떤 기다림
    • 김광석 - 일어나, 서른 즈음에, 바람이 불어오는 곳
    • 김민교 - 마지막 승부
    • 김성호 - 당신은 천사와 커피를 마셔본 적이 있습니까
    • 김원준 - 너 없는 동안, 짧은 다짐
    • 김종서 - 남겨진 독백
    • 김준선 - 마마보이
    • 김태영 - 혼자만의 사랑
    • 김현철 - 달의 몰락
    • 김혜연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 노이즈 - 내가 널 닮아갈 때, 변덕스런 그녀
    • 듀스 - 우리는, 여름안에서, 약한 남자
    • 룰라 - 100일째 만남, 비밀은 없어
    • 마로니에 - 칵테일 사랑
    • 모노 - 넌 언제나, 파라다이스
    • 모자이크 - 자유시대
    • 뮤 - 새로운 느낌
    • 민들레 - 난 너에게
    • 박상민 - 멀어져간 사람아
    • 박형준 - 내 맘속의 너
    • 배일호 - 신토불이
    • 부활 - 사랑할수록 (Vocal. 김재기, 김재희)
    • 서태지와 아이들 - 발해를 꿈꾸며, 교실 이데아
    • 손성훈 - 내가 선택한 길
    • 손지창 - 사랑하고 있다는 걸
    • 신성우 - 서시
    • 신승훈 - 그 후로 오랫동안
    • 신효범 - 난 널 사랑해
    • 여행스케치 - 운명, 산다는 건 다 그런 게 아니겠니
    • 윤종신 - 오래전 그날
    • 이상우 - 비창
    • 이원진 - 시작되는 연인들을 위해
    • 이현석 - 학창시절
    • 임종환 - 그냥 걸었어
    • 임주리 - 립스틱 짙게 바르고
    • 장철웅 - 서울 이곳은
    • 전람회 - 기억의 습작
    • 정경화 - 나에게로의 초대
    • 정인수 - 변하지 않는 건
    • 조관우 - 늪
    • 최연제 - 너를 잊을 수 없어
    • 코코 - 그리움으로 지는 너, 요즘 우리는
    • 쿨 - 너이길 원했던 이유
    • 태진아 - 사모곡
    • 투투 - 일과 이분의 일, 그대 눈물까지도
    • 틴틴파이브 - 어떤 날은
    • 피노키오 - 사랑과 우정 사이
    • 한혜진 - 갈색추억
    • 화이트 - W.H.I.T.E
    • 황규영 - 나는 문제 없어
    • 황세옥 - 결론
    • 황승호제 - 너만을 느끼는 나
    • The Blue(손지창, 김민종) - 그대와 함께
    • The Classic - 마법의 성
    • DJ DOC - 슈퍼맨의 비애
    • Mr.2 - 하얀 겨울, 난 단지 나일 뿐
    • N.EX.T - 날아라 병아리
  • 해외
    • 머라이어 캐리 - Without You,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 보이즈 투 멘 - I’ll Make Love to You
    • 셀린 디옹 - The Power of Love
    • Green Day - Dookie
    • Lebo M & Carman Twillie - Circle of Life
    • 스눕 독 - Gin and Juice
    • The Notorious B.I.G. - Juicy
    • Oasis - Definitely Maybe
    • Mr.Children - innocent world
    • SMAP - がんばりましょう
    • WANDS - 世界が終わるまでは…

7.4. 개그 코너[편집]

  • 폭소대작전
    • 집중 여성채널
  • 오늘은 좋은 날
    • 큰집 사람들
    • 소나기
    • 별들에게 물어봐
  • 新 웃으면 복이 와요
    • 덩달이와 썰렁이
    • 트로이카 탕! 탕! 탕!
  • 기쁜 우리 토요일
    • 영자의 전성시대
  • 웃으며 삽시다
    • 12평 사람들
    • 개그실화극장 코미디 천국
    • 클레오파틀화

7.5. 애니메이션[편집]

  • KBS
    • 꾸러기 로보컴
    • 무적 파워레인저 (특촬)
    • 사랑의 학교
    • 오리형사 다크 (디즈니 만화동산)
    • 쥐라기 월드컵
    • 초롱이의 옛날여행
  • MBC
    • 바람돌이 소닉
    • 요술소녀
    • 이크는 멋쟁이
    • 피그마리오
    • 핑크 팬더
  • SBS
    • 꼬꼬리코 돌격대
    • 달려라 부메랑
    • 롤러왕 파워킹
    • 쌍둥이 줄루 줄리
    • 우주함장 버키
    • 울트라 탐험대
    • 태풍의 그라운드
  • 비디오 더빙
    • 슬램덩크
    • 엑스맨
    • 전설의 용사 다간
  • 해외
    • 스파이더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S
    • 빨간망토 차차
    • 기동무투전 G건담
    • 마크로스 7
    • 떴다! 럭키맨
    • 마멀레이드 보이
    • 마법기사 레이어스

7.6. 베스트셀러[편집]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유홍준 저
  • 영원한 제국 - 이인화 저.
  • 일본은 없다 - 전여옥 저.
  • 퇴마록 - 이우혁 저.

7.7. 비디오 게임[편집]

  • 동키콩 컨트리
  • 소닉 더 헤지혹 3
  • 소닉&너클즈
  • 소닉 3&너클즈
  • 슈퍼 메트로이드
  • MOTHER 2: 기그의 역습
  • 파이널 판타지 6
  • 둠 2: 헬 온 어스
  • 철권
  • 에이리언 대 프레데터
  • 킬러 인스팅트
  • 어스웜 짐
  • 라이온 킹
  • 워크래프트: 오크와 인간
  • 엘더스크롤: 아레나
  • 헤러틱
  • 시스템 쇼크
  • 타이 파이터
  • 윙커맨더 3
  • 킹스 퀘스트 7
  • 니드 포 스피드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4
  • NBA LIVE 95
  • FIFA Soccer 95
  • X-COM: UFO Defense
  • 슈퍼 마리오 랜드 3: 와리오 랜드
  • 동키콩
  • 마스터 오브 매직
  • 슈퍼 봄버맨 2
  • 파이어 엠블렘 문장의 비밀
  • 뱀파이어 킬러
  • 샥 푸
  • 마라톤
  • 죽음의 달빛 아래서
  • 뱀파이어 더 나이트 워리어
  • 라이브 어 라이브
  • 호텔 마리오
  • 폴리스너츠
  • 콘트라 더 하드 코어
  • 스노우 브라더스 2
  • 뿌요뿌요 2
  • 덩크 드림

7.8. 히트상품[편집]

  • 대우 입체냉장고 탱크
  • 금성 아트비전 그린
  • 금성 그린헬스 컴퓨터
  • 현대 쏘나타2
  • 현대 엑센트
  • 제일제당 컨디션
  • 삼성 그린컴퓨터
  • 유공 팡이제로
  • 경남관광상품
  • 태평양 마몽드 트로픽 오렌지캠페인/미스티퍼플
  • 동서 컨셉트가구
  • 서울경금속 120mm 스텐칼라샤시
  • 대한생명 교직원연금보험
  • 비락식혜
  • 롯데 고드름
  • 동양매직 와이드그릴 가스레인지

8. 출시[편집]

8.1. 자동차[편집]

  • BMW 7시리즈/3세대
  • 기아 그랜버드
  • 기아 아벨라
  • 닛산 라신
  • 닛산 루시노
  • 닷지 네온
  • 대우 씨에로
  • 대우 아카디아
  • 데 토마조 과라
  • 란치아 제타
  • 란치아 카파
  • 마쓰다 AZ-왜건
  • 머큐리 미스틱
  • 메르세데스-벤츠 O400
  • 메르세데스-벤츠 투리스모
  • 미쓰비시 FTO
  • 미쓰비시 델리카 스페이스 기어
  • 미쓰비시 파제로 미니
  • 벤투리 400GT
  • 삼성 MAN 22.5t 덤프트럭
  • 삼성 SM트럭
  • 스바루 아웃백
  • 스코다 펠리치아
  • 시트로엥 스페이스투어러
  • 시트로엥 이베이전
  • 쌍용 트랜스타
  • 아우디 A4
  • 아우디 A6
  • 아우디 A8
  • 아우디 RS2 아반트
  • 알파 로메오 145
  • 애스턴 마틴 DB7
  • 오펠 티그라
  • 올즈모빌 오로라
  • 이스즈 기가
  • 케이터햄 21
  • 코닉세그 CC
  • 크라이슬러 LHS
  • 크라이슬러 뉴요커/14세대
  • 타타 스모
  • 타트라 베타
  • 토요타 라브4
  • 토요타 아발론
  • 토요타 카렌
  • 페라리 F355
  • 페로두아 칸찔
  • 포드 윈드스타
  • 포드 컨투어
  • 폭스바겐 L80
  • 폭스바겐 포인터
  • 폰티악 선파이어
  • 푸조 806
  • 푸조 박서
  • 푸조 트래블러
  • 프로톤 사트리아
  • 프로톤 페르다나
  • 프로톤 페르다나/1세대
  • 피아트 울리세
  • 현대 에어로타운
  • 현대 엑센트
  • 현대 엑센트/1세대
  • 혼다 오딧세이
  • 혼다 오딧세이/국제형
  • 혼다 호라이즌

8.2. 식음료[편집]

  • 농심
    • 6월: 안성탕면 김치
    • 7월: 맛가루(소고기맛)
    • 8월: 쌀과자 콩고물
    • 11월: 생생라면
  • 롯데제과
    • 7월: 제크
  • 롯데칠성음료
    • 3월: 카파 카페오레/모카, 이브
  • 동서식품
    • 맥스웰하우스 아메리칸 블렌드/스페셜 마일드 블렌드
    • 맥스웰 블루엣
    • 포스트 쵸코 후레이크
    • 제티 초콜릿맛/딸기맛/지관제품
    • 맥스웰 레귤러커피
    • 동서 도자기꿀
  • 동양제과/오리온프리토레이
    • 1월: 오리온 체스터쿵 딸기맛
    • 3월: 오리온 치토스 달콤한 치즈맛
    • 5월: 오리온 고래밥 매콤한맛
    • 7월: 오리온 엑서스
    • 오리온 스윙칩
  • 제일제당
    • 4월: 백설 진한참기름
  • 백화
    • 1월: 설화
  • 경월
    • 1월: 그린
  • 남양유업
    • 아인슈타인
  • 서울우유협동조합
    • 어린이 우유/요구르트 앙팡
  • 오뚜기
    • 오뚜기 스파게티
    • 11월: 참깨라면
  • 한국야쿠르트유업
    • 빅3 해물맛/버섯전골맛/참치김치맛
    • 슈퍼100 키위멜론
    • 야쿠르트 에이스

8.3. 생활용품[편집]

  • 애경산업
    • 미티비누
    • 유황온천비누
    • 나이브샴푸
    • 딱따구리 어린이치약
    • 습기제로

8.4. 화장품[편집]

  • 애경산업
    • 포인트 UV 화이트닝스킨케어
  • 제일제당
    • 리필용 스프레이·젤

8.5. 전자제품[편집]

  • 삼성전자
    • 삼성 바이오냉장고 5계절
    • 삼성 바이오TV 명품 (CT-2999P)
    • 삼성 월드 위너 VTR (SV-300W)
    • 삼성 위너 VTR 더블데크 (SV-2040)
    • 삼성 위너 VTR 다이아몬드 (SV-7200D)
    • 삼성 신바람 세탁기 (SEW-9091/8091/7090/9091M/8091M/1096W/9596W/80S1/75P1)
    • 삼성 미니미니 (MM-488)
    • 삼성 왕발이 청소기
    • 삼성 CD-OK (KCD-2/KCD-1)
    • 삼성 애니콜 (SH-770)
    • 삼성 그린컴퓨터
    • 삼성 가스레인지 미니듀오 (SGR-90P(N))
    • 삼성 그린 컴퓨터 III (486SX/486DX/486DX2)
    • 삼성 매직스테이션 (486SX/486DX2)
    • 삼성 매직스테이션 II (486SX/486DX2/486DX2: MM242M)
  • 금성사
    • 금성 아트비전 그린 (CNR-2994P/2594P)
    • 금성 와이드비전 (WN-3200/3600)
    • 금성 더블 VTR (GHV-750D)
    • 금성 미니스타 (F-676VCD)
    • 금성 싱싱냉장고 그린 (GR30-2CC)
    • 금성 싱싱냉장고 김장독 (GR50-2DK/GR47-2DK)
    • 금성 카오스세탁기 팡팡 (WF-1710A/2000A/2000AG/1600A/1500A)
    • 금성 동글이청소기 씽씽 (V-317FC)
    • 금성 빨래건조기 (DK-420AI)
    • 금성 그린헬스 컴퓨터 486 센시스트/그린알파/액센트
    • 금성 그린헬스 컴퓨터 다이나믹스 VIP
    • 금성 그린헬스 컴퓨터 심포니 (486SX-33MHz/486DX2-50MHz/486DX2-66MHz/펜티엄-60MHz)
    • 금성 그린헬스 컴퓨터 심포니 비전
    • 말하는 오븐 전자레인지 스페셜
  • 금성통신
    • 금성 테크폰 GT-700
    • 금성 셀스타 GC-920
    • 금성 키폰 (GDK-186)
  • 금성정보통신
    • 금성 베테랑 (GHP-500)
  • 대우전자
    • 대우 임팩트 플러스 (DTQ-2991FW)
    • 대우 임팩트 세이프 (DTQ-2591FWS)
    • 대우 임팩트 플러스 9 (DTQ-2989FW)
    • 대우 초간편 VTR (DVR-7070, DV-G892)
    • 대우 초간편 VTR 딱한번 (DV-G592/F54/F34/F44/F24)
    • 대우 입체냉장고 탱크 (FRB-5810NT/6510NT)
    • 대우 탱크 오븐렌지 블랙미러
    • 대우 공기방울세탁기 Z (DWF-9290RDPS/8590RDS/7590RDS/6650DS/1080R3)
  • 대우통신
    • 대우 윈프로 펜티엄 (CPC-5860)
  • 아남전자
    • 아남 대형TV 화왕 (CK-2959AIP)
  • 동양매직
    • 매직골드/매직쉐프 (GR243BT/R27B1/GR241BB)
    • 매직쉐프 퀵 (MW230A)
    • 매직 시스콤
      • 매직 가스오레인지 브로드그릴 (MT410RT)
      • 매직 식기세척기 콤비 (DW070C)
    • 매직 폭포봉 세탁기 (WS823MTE/WS021MTK)
    • 매직 폭포봉 세탁기 V (WS721MTV)
    • 매직 건조기 (ED1350SR)
  • 현대전자
    • 현대 멀티캡
    • 현대 유선전화기 예써 (HCP-M930)

9. 유행어[편집]

  • X세대
  • 미시(Missy)
  • 오렌지족
  • 썰렁
  • OO파 (주사파, 지존파)
  • 서울 불바다
  • 파~ - 최불암 시리즈
  • 그래! 결심 했어! - 이휘재 (일밤 - TV 인생극장)
  • 반갑습니데~이/다녀 오이소~ - 강호동 (오늘은 좋은 날 - 소나기)
  • 행님아! - 김영대 (오늘은 좋은 날 - 소나기)
  • 별들에게 물어봐 - 이경규 (오늘은 좋은 날 - 별들에게 물어봐)
  • 안 계시면 오라~이 - 이영자 (기쁜우리 토요일 - 영자의 전성시대)
  • 저게 내 브란감(불안감)? - 홍기훈
  • 그랬잖나 - 조혜련 (폭소대작전 - 집중 여성채널)
  • 좌우지 장지지지 - 조형기
  • 내 안엔 또 다른 내가 있어 - 심은하 (드라마 M)
  • 서울, 대전, 대구, 부산, 찍고~ - 김영배 (드라마 서울의 달)
  •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엄기영
  • 피로야, 가라! - 이덕화 (상아제약 젠 CF)
  • 줘도 못 먹나 - 더블비얀코 CF
  • 사랑보다 먼 우정보다는 가까운 - <사랑과 우정 사이> 가사
  • 빠샤! - 대한민국 황대장
  • 하쿠나 마타타 - 티몬과 품바 (라이온 킹)
  • 에네르기파 - 드래곤볼
  • 왼손은 거들 뿐 - 슬램덩크
  • 신바람 야구 - LG 트윈스
  • Smokin'!/Somebody stop me! - 마스크(영화)
  • Life was like a box of chocolates. - 포레스트 검프

10. 방송 프로그램[편집]

  • KBS1
    • KBS 뉴스라인
    • KBS 빅쇼
    • KBS 일요스페셜
    • 긴급구조 119 (1차)
    • 역사의 라이벌
  • KBS2
    • 스포츠 중계석
    • TV는 사랑을 싣고
    • 퀴즈로 배웁시다 (2차)
    • 풍물기행 세계를 가다
    • 혼자서도 잘해요
    • KBS 뉴스비전
    • 생방송 게임천국
  • MBC
    • 그사람 그후
    • 사랑의 스튜디오
    • 시사매거진 2580
    • 콤비콤비
    • TV 인생극장(일요일 일요일 밤에)
  • SBS
    • SBS 나이트라인
    • 달려라 코바
    • 생방송 출발 새아침
    • 토요특집 좋은 아침입니다
    • 일요특집 아침은 아름답다
    • 좋은 친구들
    • 기쁜 우리 토요일
    • 생방송 TV 가요 20
  • EBS
    • 꼬마요리사

11. 인터넷 웹사이트[편집]

  • 야후!
  • 인포시크
  • 지오시티
  • 트라이포드닷컴

12. 관련 문헌[편집]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1994년 문서의 r23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