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분류
1. 개요

1. 개요[편집]

해저 확장설은 해양 지각해령에서 생성되어 양쪽으로 점차 확장되며 이동한다는 지질학 이론이다. 1960년대에 제안된 이 이론은 대륙 이동설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개념으로, 후에 판 구조론으로 통합되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대양 위치한 해령에서는 맨틀에서 올라온 마그마가 분출되어 새로운 해양 지각을 형성하고, 이 지각은 시간이 지나면서 양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해양 지각은 점차 오래되고 차가워지며, 해구와 같은 곳에서 다시 맨틀로 섭입된다. 이 과정은 지구 내부 에너지의 순환과 지각 운동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간주된다.

해저 확장설은 해저 자기 이방성, 해양 지각의 나이 분포, 해령과 해구의 구조 등 다양한 지질학적 자료를 통해 뒷받침되었다. 특히 해령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지구 자기 줄무늬는, 지구 자기장이 일정한 주기로 역전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해양 지각이 양방향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되었다.

이 이론은 해양 지각의 생성과 이동을 설명함으로써, 지구의 지각이 정적인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을 반복한다는 개념을 정립하였고, 대륙의 이동, 지진과 화산 활동, 산맥 형성과 같은 지구 동역학의 다양한 현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