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1. 개요[편집]
투기장은 플레이어가 덱을 드래프트해 토너먼트 방식으로 다른 플레이어와 대결하며 다양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게임 모드다. 플레이어는 30번의 카드 선택을 통해 30장의 덱을 완성하고, 다른 플레이어와 겨루게 된다. 일정 횟수의 패배 또는 승리에 도달하면 투기장 도전이 종료되고, 최종 승수에 따라 보상이 주어진다.
투기장은 크게 두 가지 하위 모드로 나뉜다: 투기장과 지하다. ‘투기장’은 짧은 라운드, 적은 보상, 낮은 입장료가 특징이고, ‘지하’는 더 긴 라운드, 많은 보상, 더 높은 입장료가 특징이다.
일반 대전과 달리, 투기장에서는 카드 선택이 플레이어의 카드 보유 여부에 제한받지 않으며, 한 덱에 동일한 카드를 여러 장(전설 포함) 넣을 수도 있다. 또한, 모든 투기장 경기를 한 번에 진행할 필요 없이, 언제든 이어서 플레이할 수 있다.
투기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다양한 카드에 대한 이해와 카드 능력 및 상호작용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하다. 제시되는 카드와 선택한 직업에 따라 덱에 가장 적합한 강력한 카드를 고르는 드래프트 전략도 중요하다. 카드와 메커니즘, 드래프트 전략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다면 누구나 투기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
투기장은 신규 플레이어 경험의 수습생 트랙을 통해 잠금 해제된다.
투기장은 크게 두 가지 하위 모드로 나뉜다: 투기장과 지하다. ‘투기장’은 짧은 라운드, 적은 보상, 낮은 입장료가 특징이고, ‘지하’는 더 긴 라운드, 많은 보상, 더 높은 입장료가 특징이다.
일반 대전과 달리, 투기장에서는 카드 선택이 플레이어의 카드 보유 여부에 제한받지 않으며, 한 덱에 동일한 카드를 여러 장(전설 포함) 넣을 수도 있다. 또한, 모든 투기장 경기를 한 번에 진행할 필요 없이, 언제든 이어서 플레이할 수 있다.
투기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다양한 카드에 대한 이해와 카드 능력 및 상호작용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하다. 제시되는 카드와 선택한 직업에 따라 덱에 가장 적합한 강력한 카드를 고르는 드래프트 전략도 중요하다. 카드와 메커니즘, 드래프트 전략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있다면 누구나 투기장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다.
투기장은 신규 플레이어 경험의 수습생 트랙을 통해 잠금 해제된다.
2. 투기장[편집]

‘투기장’은 투기장 모드의 기본 하위 모드다. 입장 시 ‘선술집 입장권’ 1장이 필요하며, 입장 시점에 150 골드 또는 200 룬스톤으로 구매할 수 있다.
‘투기장’은 최대 2패 또는 5승까지의 짧은 라운드로 구성되어 있다.
5승을 모두 달성하면, 입장료에 해당하는 선술집 입장권 1장을 보상으로 반드시 돌려받을 수 있다.
2.1. 보상[편집]

승수 | 상자 | 확정 보상 | 무작위 보상 목록(확률) |
0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25-30가루 | - |
1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최신 카드 팩 무작의 희귀 카드 1장 | - |
2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70-85가루 | - |
3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무작위 보상 1개 | 이전 확장 팩 1개(50%) 이이전의 확장 팩 1개(50%) |
4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무작위 보상 1개 | 최신 카드 팩 1개(50%) 최신 카드 팩의 무작위 특급 카드 1장(50%) |
5승 | 3개 | 최신 카드 팩 1개 최신 카드 팩 1개 선술집 입장권 1장 | - |
2.2. 매치메이킹[편집]
‘지하’와 달리, ‘투기장’은 실력 기반 매칭을 사용한다.[1] 플레이어는 투기장 입장 화면에서 자신의 현재 매치메이킹 점수(MMR)를 확인할 수 있다.
3. 지하[편집]

‘지하’는 ‘투기장’에서 누적 7승을 달성하면 잠금 해제된다.[1] 이 기록은 소급 적용되지 않으므로, 과거 오리지널 투기장에서 더 많은 승수를 거두었더라도 새로 7승을 달성해야 한다.
‘지하’는 기존 투기장 모드가 분리되기 전의 오리지널 투기장에 가까운 모드다. 최대 3패 또는 12승까지 도전할 수 있으며, 입장에는 선술집 입장권 2장이 필요하다(입장 시 300 골드 또는 400 룬스톤으로 구매 가능).
‘지하’에서는 패배할 때마다 ‘패배 시 재드래프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각 패배 후, 플레이어는 기존 드래프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새 카드 5장을 제시받고, 이 5장으로 자유롭게 덱을 수정할 수 있다(최종적으로 30장 덱 유지 필요). 즉, 새 카드 5장을 모두 버리거나, 모두 채택해 기존 덱에서 5장을 빼거나, 일부만 교체하는 등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지하’에서 7승 이상을 달성하면, 입장료에 해당하는 여관 티켓 2장이 반드시 보상으로 지급된다.
3.1. 보상[편집]
아래 표는 각 상자에서 받을 수 있는 보상의 범위를 정리한 것이다.
무작위 보상 풀에서 더 가치 있는 아이템일수록 등장 확률이 낮다.
6승부터는 도전 종료 시 2000 골드를 획득할 확률이 증가하며, 6승에서는 5% 확률, 무패로 12승을 달성할 경우 최대 13% 확률로 2000 골드를 받을 수 있다.


무작위 보상 풀에서 더 가치 있는 아이템일수록 등장 확률이 낮다.
6승부터는 도전 종료 시 2000 골드를 획득할 확률이 증가하며, 6승에서는 5% 확률, 무패로 12승을 달성할 경우 최대 13% 확률로 2000 골드를 받을 수 있다.

승수 | 상자 | 확정 보상 | 무작위 보상 목록(확률) |
0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이이전 확장 팩 1개 | - |
1승 | 2개 | 최신 카드 팩 1개 무작위 보상 1개 | 최신 카드팩 1개(50%) 이전 카드팩 1개(50%) |
2승 | 3개 | 최신 카드팩 1개 무작위 보상 1개 30-40골드 | 최신 카드팩 1개(50%) 이전 카드팩 1개(50%) |
3승 | 3개 | 최신 카드팩 1개 무작위 보상 1개 45-60골드 | 최신 카드팩 1개(50%) 이전 카드팩 1개(50%) |
4승 | 3개 | 최신 카드팩 1개 무작위 보상 1개 95-115골드 | 최신 카드팩 1개(50%) 이전 카드팩 1개(50%) |
5승 | 3개 | 최신 카드팩 2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1장 |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희귀 카드 1장(50%) 45-55가루(50%) |
6승 | 3-4개 | 최신 카드팩 2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1장 2000골드(5%) |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특급 카드 1장(50%) 선술집 입장권 1장(50%) |
7승 | 3-4개 | 최신 카드팩 2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2장 2000골드(6%) | 최신 카드팩 1-2개(50%)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특급 카드 2장(50%) |
8승 | 3-4개 | 최신 카드팩 3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2장 2000골드(7%) | 최신 카드팩 1-2개(50%) 220-270가루(50%) |
9승 | 3-4개 | 최신 카드팩 3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2장 2000골드(8%) | 최신 카드팩 2개(50%)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전설 카드 1장(50%) |
10승 | 3-4개 | 최신 카드팩 4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2장 2000골드(9%) | 최신 황금 카드팩 1개(50%)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황금 특급 카드 1장(50%) |
11승 | 4-5개 | 최신 황금 카드팩 1개 최신 카드팩 3개 무작위 보상 1개 선술집 입장권 2장 2000골드(10%) | 최신 황금 카드팩 1개(50%)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황금 특급 카드 1장(50%) |
12승 2패 | 4-5개 | 최신 카드팩 1개(90%)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황금 전설 카드 1장(10%) | |
12승 1패 | 4-5개 | 최신 카드팩 2개(85%)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황금 전설 카드 1장(15%) | |
12승 0패 | 4-5개 | 최신 카드팩 3개(80%) 최신 카드팩의 무작위 황금 전설 카드 1장(20%) |
3.2. 매치메이킹[편집]
각 경기의 매칭은 현재 투기장 도전에서 플레이어의 승/패 기록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가능한 한 비슷한 기록을 가진 상대와 매칭되도록 설계되어 있다.[3] 직업, 덱 구성, 과거 투기장 성적 등은 매칭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4][5][6]
한 투기장 도전 중 같은 상대와 두 번 매칭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7] 예를 들어, 플레이어 A가 플레이어 B를 이기고 다음 경기에서 패배하며, 플레이어 B는 A에게 졌다가 다음 경기에서 승리했다면, 세 번째 경기에서 두 플레이어가 다시 매칭될 수 있다. 다만, 플레이어 풀이 워낙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우 드문 일이다.
29.2 패치 이후, 극단적인 플레이 패턴을 방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도전을 일찍 포기하는 플레이어는 별도의 매칭 풀에 배정되어 서로 만나게 된다. 일부 소수의 플레이어가 강력한 덱이 나올 때까지 반복적으로 새 덱을 드래프트하는 수법을 막기 위한 조치다.
한 투기장 도전 중 같은 상대와 두 번 매칭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7] 예를 들어, 플레이어 A가 플레이어 B를 이기고 다음 경기에서 패배하며, 플레이어 B는 A에게 졌다가 다음 경기에서 승리했다면, 세 번째 경기에서 두 플레이어가 다시 매칭될 수 있다. 다만, 플레이어 풀이 워낙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매우 드문 일이다.
29.2 패치 이후, 극단적인 플레이 패턴을 방지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도전을 일찍 포기하는 플레이어는 별도의 매칭 풀에 배정되어 서로 만나게 된다. 일부 소수의 플레이어가 강력한 덱이 나올 때까지 반복적으로 새 덱을 드래프트하는 수법을 막기 위한 조치다.
4. 시작[편집]

투기장 입장료를 지불하면, 세 개의 무작위 직업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플레이어가 직업을 선택하면 덱 드래프트가 시작된다.
드래프트 과정에서 플레이어는 30번에 걸쳐 각각 3장의 카드 중 1장을 골라 덱에 추가한다. 한 번 선택한 카드는 취소할 수 없으며, 30장을 모두 선택하면 덱이 완성되어 투기장 대전을 시작할 수 있다.
일반 덱 구성과 달리, 투기장에서는 한 종류의 카드를 여러 장(전설 포함) 덱에 넣을 수 있다. 특히 희귀도가 낮은 카드는 여러 번 선택지로 등장할 수 있다. 또한, 선택 가능한 카드는 중립 카드와 선택한 직업의 직업 카드만 나온다.
카드를 고르는 동안 화면 오른쪽에는 현재까지의 덱 목록이 표시되고, 하단에는 덱의 마나 커브가 시각적으로 나타나 덱 밸런스를 파악할 수 있다. 덱이 완성되면 “플레이” 버튼을 눌러 다른 투기장 플레이어와 대전 대기열에 들어가게 된다.
투기장 덱은 무작위로 카드를 선택하며, 실제 화폐 지출로 플레이에 우위를 얻는 방식이 없기 때문에 모든 플레이어가 거의 동일한 조건에서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5. 카드 선택[편집]

각 드래프트의 첫 번째 선택지에는 반드시 전설 카드와 해당 전설을 지원하는 3장의 카드가 등장하며, 이후에는 전설 카드가 등장하지 않는다. 한 전설을 지원하는 3장의 카드는 항상 동일하다. 다른 희귀도 카드는 무작위로 등장한다.
- 다중 직업 카드는 선택한 직업과 일치할 경우 포함될 수 있다.
- 카드 선택은 이전 선택, 이전 도전, 시너지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8]
- 죽음의 기사 직업은 드래프트 중 룬 제한 규칙이 적용된다.
- 죽음의 기사는 드래프트 과정에서 선택한 룬에 따라 선택 가능한 카드가 실시간으로 달라진다.
- 예시: 1픽으로 알렉산드로스 모그레인을 고르면, 덱이 3혈기 룬으로 고정되어 냉기나 부정 룬 카드는 이후 등장하지 않는다.
5.1. 금지 카드[편집]
아래 표는 투기장에서 제외되어 카드 선택지로 등장하지 않는 카드 목록이다. 주로 덱을 변형하는 카드(예: 위대한 위즈뱅 님)나, 덱 구성 과정에서 수동 입력이 필요한 카드(예: 2단 합체 질리악스 3000) 등이 해당된다. 이 외에도 일부 글로벌 밴 카드가 포함되어 있다. 다만, 무작위 효과로 인해 대부분의 제외 카드도 여전히 생성될 수 있다.[9]
29.0 패치 이후로 기존의 카드 제외 규칙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며, 이제는 확장팩 로테이션마다 제외 카드가 개별적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영웅 카드, 퀘스트, 크툰 카드 등은 더 이상 자동으로 투기장에서 제외되는 것이 보장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외될 수 있다. 투기장 로테이션 중에만 밴되는 카드는 해당 회전에만 적용되므로,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29.0 패치 이후로 기존의 카드 제외 규칙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며, 이제는 확장팩 로테이션마다 제외 카드가 개별적으로 지정된다. 따라서 영웅 카드, 퀘스트, 크툰 카드 등은 더 이상 자동으로 투기장에서 제외되는 것이 보장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외될 수 있다. 투기장 로테이션 중에만 밴되는 카드는 해당 회전에만 적용되므로,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여기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6. 전략[편집]
투기장의 전략은 일반 덱 구성과 크게 다르다. 드래프트 모드는 카드풀과 이전에 선택한 카드들을 바탕으로 어떤 카드를 고르는 것이 최선인지를 판단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투기장 입장료가 있기 때문에, 각 직업의 특징과 게임 전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경험이 적은 플레이어에게는 다소 부담이 될 수 있다.
투기장과 일반 덱 구성(정규/야생)에는 세 가지 주요 차이가 있다.
첫째, 카드 선택이 상당히 무작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력한 시너지 덱을 만들기가 어렵다. 즉, 상대가 정규/야생에서 자주 보이는 강력한 시너지 콤보를 들고 있을 확률이 낮으므로, 상대의 콤보보다는 매 턴 전장을 장악하고 유지하는 데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둘째, 상대가 어떤 카드를 썼다고 해서 그 덱의 전체 전략을 쉽게 추측할 수 없다. 다만, 초반에 소형 하수인을 빠르게 여러 번 내는 경우에는 어그로 덱일 가능성이 높고, 초반을 영웅 능력만 쓰면서 넘기는 경우에는 컨트롤 덱일 가능성이 높다.
셋째, 투기장 덱에는 같은 카드를 2장까지 넣는 제한이 없다. 영향이 큰 요소는 아니지만, 이론적으로는 마법사가 대마법사 안토니다스를 2장, 흑마법사가 뒤틀린 황천을 4장, 사제가 사원 집행자를 5장 뽑아 덱에 넣을 수도 있다. 카드 세트가 많을수록 확률이 매우 낮지만,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으니 참고할 만하다.
투기장과 일반 덱 구성(정규/야생)에는 세 가지 주요 차이가 있다.
첫째, 카드 선택이 상당히 무작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력한 시너지 덱을 만들기가 어렵다. 즉, 상대가 정규/야생에서 자주 보이는 강력한 시너지 콤보를 들고 있을 확률이 낮으므로, 상대의 콤보보다는 매 턴 전장을 장악하고 유지하는 데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둘째, 상대가 어떤 카드를 썼다고 해서 그 덱의 전체 전략을 쉽게 추측할 수 없다. 다만, 초반에 소형 하수인을 빠르게 여러 번 내는 경우에는 어그로 덱일 가능성이 높고, 초반을 영웅 능력만 쓰면서 넘기는 경우에는 컨트롤 덱일 가능성이 높다.
셋째, 투기장 덱에는 같은 카드를 2장까지 넣는 제한이 없다. 영향이 큰 요소는 아니지만, 이론적으로는 마법사가 대마법사 안토니다스를 2장, 흑마법사가 뒤틀린 황천을 4장, 사제가 사원 집행자를 5장 뽑아 덱에 넣을 수도 있다. 카드 세트가 많을수록 확률이 매우 낮지만, 전혀 불가능하지는 않으니 참고할 만하다.
[1] 1.1 1.2 https://hearthstone.blizzard.com/ko-kr/news/24208800[3] https://x.com/bbrode/status/827918913883082753[4] https://x.com/bbrode/status/685525869914230784[5] https://x.com/bdbrode/status/718440547665321984[6] https://www.youtube.com/watch?v=HM1ByFwTjOw[7] https://x.com/bbrode/status/535316280639635457[8] https://x.com/bbrode/status/714199465427505154[9] https://x.com/bbrode/status/709796934664388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