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하스스톤
,
,
,
,
1. 개요2. 특징3. 판정4. 팁5. 역사

1. 개요[편집]

파일:하스스톤 룬.png

룬은 죽음의 기사 카드와 구성에서만 등장하는 특별한 요소다.

룬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각 혈기, 냉기, 부정로 나뉜다. 각 룬 유형에 속한 카드 목록은 해당 룬의 전용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2. 특징[편집]

파일:역겨운 거수.png
역겨운 거수를 덱에 넣기 위해 냉기 룬 1개를 필요로 한다.
  • 덱을 만들 때, 죽음의 기사혈기, 냉기, 부정 중에서 세 룬을 원하는 조합으로 선택해야 한다. 이 룬 조합에 따라 해당 덱에 넣을 수 있는 카드가 결정된다.
  • 일부 죽음의 기사 카드는 마나 비용 아래에 룬 표시가 있다.
    • 이러한 카드는 덱을 구성할 때 해당 룬이 일정 수 이상 포함되어야만 덱에 넣을 수 있다.
    • 예시: 전장의 강령술사는 부정 룬 2개가 필요한 카드다. 따라서 부정 룬이 2개 또는 3개 있는 덱에는 넣을 수 있지만, 1개 이하일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 예시: 시체 한 움큼은 혈기 룬 1개 + 부정 룬 1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혈기 룬만 있고 부정 룬이 없는 덱에는 넣을 수 없다. 두 가지 룬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 예시: 절정의 괴저 폭발은 혈기, 냉기, 부정 룬을 각각 1개씩 요구한다. 이 카드는 세 가지 룬이 모두 1개씩 있는 덱에만 넣을 수 있다. 임의의 조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 요약하자면, 카드에 표시된 모든 룬 종류가 덱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며, 그 중 일부만 충족하는 것으로는 사용할 수 없다.
  • 룬은 모양과 색으로 구분된다. 혈기 룬: 빨간색 다이아몬드, 냉기 룬: 파란색 원, 부정 룬: 초록색 정사각형
  • 일부 죽음의 기사 카드는 룬 요구 조건이 없으며, 이런 카드에는 마나 비용 아래 룬 표시가 존재하지 않는다

3. 판정[편집]

  • 패치 26.0.4.173781 이후, 세 개의 룬을 요구하는 카드(예: 냉기-냉기-냉기의 서리고룡의 격노, 혈기-냉기-부정의 절정의 괴저 폭발)는 무작위 생성되거나 발견될 수 없다.
    • 패치 26.0.4 이전에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룬과 상관없이 게임 중 생성되는 카드에 제한이 없었다.
  • 죽음의 기사는 총 10가지 룬 조합으로 덱을 구성할 수 있다:
    • 혈기 1, 냉기 1, 부정 1
    • 혈기 2, 냉기 1
    • 혈기 2, 부정 1
    • 냉기 2, 혈기 1
    • 냉기 2, 부정 1
    • 부정 2, 냉기 1
    • 부정 2, 혈기 1
    • 혈기 3
    • 냉기 3
    • 부정 3

4. [편집]

몇몇 죽음의 기사 카드를 보면, 마나 비용 옆에 문양이 그려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문양은 룬입니다. 룬은 죽음의 기사 전문화를 따라 혈기(붉은색), 냉기(푸른색), 부정(녹색)이 존재합니다. 이 세 가지 종류의 룬은 덱을 구성할 때 어떤 죽음의 기사 카드를 추가할 수 있는지를 결정합니다.

덱을 구성할 때 세 룬을 조합하여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덱에 추가할 수 있는 죽음의 기사 카드가 결정됩니다. 혈기 룬 하나만을 주력으로 삼거나, 부정 룬 둘, 냉기 룬 하나와 같은 방식으로 한 룬을 주력으로 삼되 다른 룬을 보조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 룬 시스템을 통해 다채롭고 강력한 죽음의 기사 카드를 활용할 수 있고 특정 덱이 모든 영역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상황도 방지됩니다. 각각의 룬은 특화된 카드 유형과 효과가 존재합니다.[1]

5. 역사[편집]

죽음의 기사가 개발 초기 단계였을 때, 룬 시스템은 여러 차례의 큰 수정을 거쳤다. 초기에는 패시브 능력을 활용하는 방식도 고려되었는데, 혈기 덱은 혈기의 기세, 냉기 덱은 냉기의 기세, 부정 덱은 부정의 기세를 갖는 식이었다.[2]

또한 룬을 자원처럼 사용하는 실험도 있었다. 이 구상에서는 죽음의 기사가 마나를 사용하지 않고 룬만 사용하거나, 혹은 마나와 룬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카드는 마나 비용과 룬 비용을 동시에 가지며, 매 턴마다 플레이어는 자신의 덱에 따라 룬을 하나씩 선택하여 획득했다. 이 아이디어는 이론적으로는 멋져 보였지만, 개발진은 턴당 사용 가능한 카드 수를 제한하는 데에 마나만으로도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이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룬 기반 덱 구성 방식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어, 현재의 3룬 시스템이 탄생하게 되었다.

개발자들은 이 새로운 룬 시스템이 죽음의 기사에게 강력한 도구들을 제공하면서도 제어 가능성을 부여한다고 판단했다. 룬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메커니즘을 도입할 수 있지만, 모든 메커니즘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플레이어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성을 선택해야 한다.

초기에는 광역 주문의 대부분이 냉기 룬 카드에 있었으나, 이후 그 비중은 혈기 룬 카드로 옮겨졌고, 혈기 룬 카드가 초기에 뛰어난 카드 뽑기 능력을 가졌지만, 이는 나중에 냉기 룬 카드로 이동되었다.

3룬 시스템의 핵심 아이디어는, 특정 룬에 더 많이 집중할수록 그 룬 고유의 정체성을 더 강하게 얻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혈기 룬 카드는, 1룬 카드에서는 단일 대상 생명력 흡수 주문, 2룬 카드에서는 광역 생명력 흡수 주문, 3룬 카드에서는 최대 생명력 조작 같은 고유 판타지를 보여준다.

3룬 카드는 일반적으로 더 강력하게 설계되었으며, 그만큼 플레이어는 덱 구성에서 더 많은 선택지를 포기해야 한다. 하지만 개발자들은 3룬 카드가 무조건 최강 카드가 되지 않도록 설계했으며, 플레이어들이 다양한 룬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전략도 장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