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코로나19에서 넘어옴
1. 개요2. 진행도3. 예방 방법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2019년 말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처음으로 보고된 SARS-CoV-2에 의해 발병한 급성 호흡기 전염병이다.

발원지인 중국에서는 2019년 11월 17일에, 대한민국에서의 첫 감염자는 2020년 1월 20일에 확인되었다.

2. 진행도[편집]

2020년 1월 8일에 관심 단계로 격상, 이후 동년 1월 20일에 첫 감염자가 최초 확인되어 주의 단계로 재차 격상됐다가 동월 27일에 경계, 익월 23일에는 심각 단계로 점차 격상되었다. 초반에는 치료제도 없어서 확산이 매우 급격하게 이뤄져, 예배나 법회, 미사 등의 종교 일정과 학교, 학원 수업 및 회사 업무 등은 전부 비대면으로[1] 전환되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필수 인력들을 제외하면 사실상 모든 업무가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였다. 이는 2022년 4월 18일 부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되면서 어느 정도 완화됐다가 RnA 백신이 개발된 이후 배포가 어느 정도 이뤄지고 집단 면역이 사실상 전 권역에 걸쳐 형성된 2023년 6월 1일에 위기 등급이 경계 등급으로 하향되자 대부분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회귀하기 시작했다. 이후 2024년 5월 1일부로 병원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도 해제됨과 동시에 등급이 주의 단계를 건너뛰고 관심 단계로 하향되었다.

3. 예방 방법[편집]

  • 다른 사람과 신체 접촉을 되도록 하지 않는다.
  • 사람들이 많은 곳에 있을 때는 마스크를 착용한다.
  • 손을 자주 씻는다.

4. 여담[편집]

  • 이 시기를 전후로 하여 코마, 파이브 등의 코마크루 등의 군소 유튜버들과, 김블루, 군림보 등의 대형 MCN 소속 유튜버들의 구독자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다.
  • 방역패스, 백신 접종 등에 대한 불신과 해당 제도가 반헌법적이라는 의견 등으로 인해 당시 문재인 정부질병관리청 등의 다수 국가 기관들은 단순 비판을 당하는 수준이 아닌, 대차게 까이고 욕을 먹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특히 화이자산 백신 접종 시행 이후 치명적인 부작용의 발생으로 사망한 사람들도 속출했으니 말 다했다.

5. 관련 문서[편집]

[1] Zoom, 온라인클래스 등의 방식이 대부분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