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1. 사전적 의미[편집]
停滯: 멈춘 상황을 뜻한다. 주로 쓰이는 경우는 교통정체.
正體: 본된 형체. 한자의 경우 정체자의 준말로도 씀. 하라구로 같이 겉모습과 다른 경우 많이 사용. 상상도 못한 정체에 쓰이는 정체는 이것을 의미한다.
艇體: 보트의 몸체 부분을 가리킬 때 사용.
整體: 안마같은 걸로 몸의 상태를 좋게 하는 걸 가리킴.
正體: 본된 형체. 한자의 경우 정체자의 준말로도 씀. 하라구로 같이 겉모습과 다른 경우 많이 사용. 상상도 못한 정체에 쓰이는 정체는 이것을 의미한다.
艇體: 보트의 몸체 부분을 가리킬 때 사용.
整體: 안마같은 걸로 몸의 상태를 좋게 하는 걸 가리킴.
2. 정체(政體)[편집]
주권의 행사방법에 따른 국가의 통치 체제다. 여기서 주권의 행사방법이란 국가의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할 권리를 의미한다. 가령 입헌군주제라면 왕은 동의나 임명만 해줄뿐 실질적으로 의사결정을 주도할 수 없다. 반면 전제군주제라면 군주에 의해 의사결정이 진행된다.
이와 대비되게 주권의 원천(최종적으로 누구의 동의를 구해야 하느냐)에 따른 구분 방식을 '국체'라고 한다.
이와 대비되게 주권의 원천(최종적으로 누구의 동의를 구해야 하느냐)에 따른 구분 방식을 '국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