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2. 역대 당명3. 역사4. 구조
4.1. 소련 공산당 대회
4.1.1.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4.1.1.1. 최고지도자4.1.1.2. 중앙위원회 정치국4.1.1.3.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회
4.1.2. 소련 공산당 중앙감찰위원회
4.2. 구성 공화국 공산당4.3. 외곽 조직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6px-%D0%9A%D0%9F%D0%A1%D0%A1.svg.png
1912년부터 1991년까지 존재했던 공산주의 정당으로, 러시아 10월 혁명 및 적백내전을 통해 소비에트 연방(소련)을 수립하고 유일 집권당으로서 통치했다.

소련 공산당은 단순히 소련이라는 한 나라의 집권당에서 그치지 않고 국제 공산주의 운동의 맹주로서 세계 각국에 공산주의를 확산시켰고, 미국과 세계를 양분하며 냉전을 주도했다.

2. 역대 당명[편집]

  • 1912 ~ 1918: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볼셰비키)
  • 1918 ~ 1925: 러시아 공산당(볼셰비키)
  • 1925 ~ 1952: 전연방 공산당(볼셰비키)
  • 1952 ~ 1991: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3. 역사[편집]

4. 구조[편집]

4.1. 소련 공산당 대회[편집]

명목상 소련 공산당의 최상위 의결기구.

상설기관이 아니었기에 개회되지 않을 때는 중앙위원회가 그 역할을 대신했다.

4.1.1.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편집]

4.1.1.1. 최고지도자[편집]
4.1.1.2. 중앙위원회 정치국[편집]
4.1.1.3.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회[편집]

4.1.2. 소련 공산당 중앙감찰위원회[편집]

4.2. 구성 공화국 공산당[편집]

소련은 여러 공화국들의 연합을 표방했기에 각 구성국마다 공화국 공산당이 있었다.

4.3. 외곽 조직[편집]

  • 군사조직: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군(소련군)[5]
  • 청년조직: 블라디미르 레닌 전연방 공산주의 청년동맹(콤소몰)
  • 유소년조직(소년단): 블라디미르 레닌 전연방 피오네르
  • 기관지: 프라우다
[1] 의외로 구성국 공산당들 가운데 가장 늦은 시기인 1990년에 창당되었는데, 이는 소련 공산당의 초기 당명이 러시아 공산당이었던데서 알 수 있듯이 사실상 '러시아=소련'으로 간주되어 중앙당과는 별도로 러시아 지역당을 만들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2] 현 우크라이나 공산당의 전신.[3] 현 벨라루스 공산당의 전신.[4] 카자흐스탄 독립 이후 동명의 카자흐스탄 공산당므로 재창당했다.[5] 흔히 알려진 붉은 군대(적군)이라는 명칭은 육군과 공군 한정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