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1. 개요

1. 개요[편집]

플리니식 분화는 기원후 79년 베수비오 산 분화와 유사한 특징을 가진 화산 분화 유형으로, 이때 발생한 분화는 고대 로마의 도시인 헤르쿨라네움과 폼페이를 파괴하였다. 이 분화에 대한 기록은 젊은 플리니우스가 삼촌인 플리니우스의 사망 이후 작성한 서신에서 전해지며, 이에 따라 플리니식 분화 혹은 베수비오식 분화라는 명칭이 붙었다.

플리니식 분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거대한 화산재와 뜨거운 가스 기둥이 성층권까지 치솟는 것이다. 이때 방출되는 분출물은 주로 부석과 화산재로, 지속적인 강력한 가스 압력에 의해 분출이 이루어진다.

플리니식 분화는 짧게는 하루 이내에 종료될 수도 있지만, 며칠에서 수개월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장기간 지속되는 분화의 경우, 화산재 구름이 형성되며 때때로 화쇄 서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분출되는 마그마의 양이 너무 많아 화산 아래의 마그마 방이 고갈될 경우, 화산 정상부가 붕괴하여 칼데라가 형성될 수 있다. 분화로 방출된 미세한 화산재와 부석 가루는 광범위한 지역에 퇴적되며, 분화가 진행되는 동안 폭발음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분출되는 거대한 화산재 기둥 주변에서는 대기 중 정전기가 급격히 방전되면서 낙뢰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영국 지질학자 조지 줄리어스 풀렛 스크로프(George Julius Poulett Scrope)가 1822년에 묘사한 그림에서도 표현되었으며, 2022년 훙가 통가-훙가 하아파이 화산 분화와 쓰나미에서도 관찰된 바 있다.

플리니식 분화를 유발하는 용암은 주로 데사이트나 유문암질 마그마로, 이는 높은 규소 함량(SiO₂)을 가진다. 반면, 현무암질 용암과 같이 규소 함량이 낮은 마그마는 플리니식 분화를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다만, 특정 조건(수분 함량 2% 미만, 중간 정도의 온도, 급속한 결정화)이 충족될 경우, 1886년 뉴질랜드 북섬의 타라웨라 화산 분화처럼 현무암질 마그마가 플리니식 분화를 일으키는 사례도 존재한다.

플리니식 분화는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화산재의 대규모 확산과 칼데라 형성 등 장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인근 지역 사회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으며, 발생 가능성이 있는 화산에 대한 철저한 관측과 대비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