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25기 운영진 선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유만만의 2021년 합성물에 대한 내용은 종로롤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가사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에서 고길동이 부른 설운도나침반을 베이스로 SKY스카이와 여유만만이 같이 음원을 만들고 이후 여유만만이 성블롭피쉬[1]와 함께 영상을 만들어 창작한 합작이다.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고길동의 목소리, 쉽게 기억되는 가사들[2], 원작 FIESTA의 MV와 싱크로율이 높은 고퀄리티[3]의 배경을 잘 섞어놓아 큰 화제가 되었고, 순식간에 여유만만의 영상 중 조회수 2등의 대작이 되었다.[4]

2021년 4월 6일 10:33분 기준 1000만회를 돌파했다.

후속작으로 종로롤린이 올라왔지만 논란으로 인해 둘 다 비공개 처리되었다. 정확히는 소속사와 팬덤의 요청으로 삭제된 것이 맞다. 현재 위에 올라온 영상은 아카이브된 백업본이다.

2. 가사[편집]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차라리 청량리로 갈까요
저질이군...쳐라!!
종로스타!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차라리 청량리로 가
많은 사람 오고 가는 을지로 (쳐라아아아!!)
(을지로) 에서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It’s My Jongno Star
종로로 갈까요~🎵
명동으로 갈까요~🎵
차라리 청량리로 갈까요?
저질이군 뭐? 저질? 오오오오오!
종로로 갈까요(저질 맛 좀 봐라)
명동으로 갈까요(칼 빼는 소리)(내가 홍콩영화 한두 편본 줄 알아?)
차라리 청량리로 갈까요
간~다! 추! 추! 추! 추!

3. 여담[편집]

  • FIESTA 뮤직비디오 감독이 영상을 봤다. 캡처본
  • IZ*ONE이채연도 이 영상을 봤다고 말했다.
  • 기사도 떴다. 기사
  • 원래 케이팝 아이돌 팬덤은 디시인사이드다음 카페 등에 팬덤 인터넷 커뮤니티가 있고 이 인터넷 커뮤니티들을 중심으로 활동하기에 해외 팬들 또한 몰리는 뮤직비디오 댓글 창에서 한국인들을 비교적 보기 힘든 경향이 있다. IZ*ONEFIESTA 또한 예외는 아니었으나 해당 영상이 히트를 친 이후 원곡 FIESTA를 보러 가면서 댓글을 남긴 유저들이 많았는데 덕분에 한동안 댓글 창에서 한국인들이 종로 스타만 주야장천 외치는 기현상을 볼 수 있었다.
  • 1시간 영상은 만들지 않으며 대리 제작도 불허한다고 여유만만이 직접 밝혔다.
  • 해당 영상이 히트를 친 이후, 고길동 합성물이 여러 개 나오기 시작하였다. 사실 고길동 합성물은 그전에도 있었으나[5], 여유만만의 해당 작품 이후로 그 규모가 매우 커졌다.[6] 그러나 여유만만의 온갖 사건 사고가 밝혀지고 영상이 비공개 된 이후로는 고길동 합성물의 빈도와 인식이 크게 나빠졌다.
  • 원본 영상에서는 Zongno, 리듬게임에서는 Jonglo라고 표시했지만 정식 종로의 표기는 Jongno이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한글 표기가 아니라 발음에 맞게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다.[7]
  • 2020년 상반기 유행한 소스들을 이용해 제작한 다카포 2020엔딩에서 종로 스타가 직접적으로 패러디되었다.
  • 실제 여유만만이 밝힌 바로는 원곡인 FIESTA를 종로스타를 만들기 전에는 전부 다 들어 본 적이 없었다고 한다. 실제 걸그룹에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 SKY스카이가 밝힌 바로는 원곡인 FIESTA를 알게 된 계기가 다른 합성물인 '모기스타'라고 한다.
  • 제작 계기는 처음에 드럭스토어 디스코드 채널에 음원 제작자 SKY스카이가 모기스타를 고길동 버전으로 일부분 만든 걸 올렸고, 이를 본 여유만만이 영상화를 하고 싶다고 연락했으나 SKY스카이가 먼저 영상화할 생각이 있다고 하여 아쉽다고 생각을 하였지만 이후 SKY스카이가 영상화를 허락하여 만들어졌다고 한다. #
  • 음원을 제작하는데 단 4시간이 걸렸다고 한다.[8][9]
  • 17초~18초에 화면을 전환하면서 나오는 노란 배경에 뚱이[10]가 숨어 있다고 밝혔다. 일종의 성우개그 겸 이스터에그인 셈.[11]
  • 고길동의 춤 추는 장면의 바닥에는 마이콜의 눈과 입이 숨겨져 있다.
  • 3D 애니메이션은 코드케이의 방탈출 영상을 참고하면서 만들었다고 한다.[12] 코드케이 방탈출 영상
  • 후속작인 종로롤린까지 유명해진 이후, 영상에서 사용된 둘리 애니메이션의 저작권자인 둘리나라와 협의를 통해 둘리 애니메이션 사용을 허락받았으며, 이후 둘리나라 공식 블로그에서 해당 영상과 관련된 게시물을 올렸다. 하지만, 여유만만의 온갖 논란으로 인하여 허락이 취소되며 다 비공개.

4. 관련 문서[편집]

[1] 여유만만의 3D 영상 스승이라고 한다[2] 원작에서 고길동이 부른 원곡은 '나침반'이다.[3] 직접 비교하면서 들어보자[4] 1등은 이광수와 모기의 저주, 2등이 종로스타, 3등이 무야호마이트이다.[5] 대표적으로 고길동과 종로의 저주가 있다.[6] 여유만만이 밝힌 바로는 자신이 만들기 전에 대략 138개가 있었다고 한다.[7] 단, 지명으로서의 종로는 Jongno가 맞지만, 도로명으로서의 종로의 표기는 Jong-ro다.[8] 영상은 누끼를 따는것 까지 포함하면 대략 3일. 영상을 만드는것 보다 누끼 따는데 시간이 더 걸린다고 한다.[9] 음성 조교의 경우엔 이미 SKY스카이가 다 만들어 놓았기에 본인은 영상이나 대사 추가를 했다고 한다.[10] 고무고무 뚱이.[11] 참고로 뚱이 성우랑 얼음별 당시 고길동 성우가 이인성 성우로 똑같다![12] 실제로 조언을 받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