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유라시아판
Eurasian plate
파일:1280px-EurasianPlate.png
유라시아판의 지도
분류
주요판
형태
대륙판 및 해양판 혼합
면적
약 67,800,000 km²
최고점
8,848.86m [1]
최저점
알려지지 않음
운동 방향
대략 남쪽 7~14mm/년
주요 경계
히말라야 조산대, 바이칼호 열곡대 등
1. 개요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유라시아판(Eurasian Plate)은 유럽 대륙과 아시아 대륙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거대한 판으로, 면적은 약 6,780만 km²에 달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판이다. 서쪽으로는 대서양 중앙 해령을 따라 북아메리카판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지중해-힌두쿠시 라인을 따라 아프리카판, 아라비아판, 인도판 등과 경계를 이룬다. 북쪽 경계는 북극해 해령이며, 동쪽은 태평양판필리핀 해판과 맞닿아 있다.

또한 대부분이 광대한 대륙판으로서 거대한 대륙 지각과 일부 주변 해양 지각(예: 동남아 해역)을 포함한다. 판 내부는 비교적 안정적인 지괴와 주변부의 조산대가 혼재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남부 경계에서는 인도판과의 충돌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높은 히말라야 산맥이 형성되었으며, 서남아시아에서는 아라비아판과의 충돌로 자그로스 산맥 및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가 발달하였다. 또한, 동쪽 경계에서는 태평양판과 필리핀 해판의 섭입으로 인해 일본, 쿠릴 열도 등의 화산호와 해구[2]가 형성되어 지진 활동이 활발하게 발생하고 있다. 판 내부에서도 지중해 일대와 바이칼 열곡대 등에서 국지적인 균열과 열곡 지형이 발달해 지진 활동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유라시아판에는 러시아, 중국, 인도(힌두쿠시 이북), 유럽 각국 등 다수의 국가가 위치해 있으며, 주요 지형으로는 히말라야 산맥, 티베트 고원, 알프스 산맥, 우랄 산맥 등이 있으며, 여러 미소판들로 세분될 수 있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몽골-한반도 부근의 아무르판과 남중국 지역의 양쯔판 등이 유라시아판의 일부로 제안되어 왔었다. 또한,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의 충돌로 형성된 히말라야 산맥은 현재도 지속적으로 융기하고 있으며, 2015년 네팔 지진과 같은 대규모 지진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2. 관련 문서[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