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문서의 이전 버전(에 수정)을 보고 있습니다. 최신 버전으로 이동
버마판 Burma plate | |
![]() | |
버마판의 지도 | |
분류 | 소판 |
형태 | 해양판 |
면적 | 약 1,100,000 km² |
최고점 | 해저, 알려지지 않음 |
최저점 | 최대 약 -7,725m[1] |
운동 방향 | 북쪽 방향 46 mm/년 |
주요 경계 | 순다 해구 등 |
1. 개요[편집]
버마판(Burma Plate)은 미얀마(버마)와 인근 안다만 해 지역의 지각 조각으로,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및 수마트라 섬 북서단을 포함한다. 면적은 약 110만 km² 규모의 미소판이며, 북쪽과 동쪽으로는 순다판과 유라시아판과 접하고 있다.
버마판은 섬호 지각으로 이루어진 판으로, 미얀마-안다만-수마트라로 이어지는 활화산 화산섬호를 포함한다. 지각 구성은 주로 해양지각과 호상화산의 조합이며, 한때 유라시아판 혹은 순다판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인도판의 사선 방향 섭입으로 인해 별도의 미끄러지는 판 조각이 된 것으로 이해된다.
버마판의 서쪽 경계인 순다 해구에서는 인도판이 버마판 아래로 빠르게 섭입하고 있어, 전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지진 중 일부가 발생했다. 대표적으로 2004년 12월, 순다 해구를 따라 버마판과 인도판 경계가 미끄러지며 발생한 Mw 9.2의 거대 지진과 인도양 쓰나미가 있다. 동쪽 경계는 안다만 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변환단층[2] 및 확장축[3]으로, 버마판과 순다판이 상대 이동하며 안다만 해가 확장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안다만 해저에서는 해령형 지각 팽창과 열수 분출 등이 일어나고 있다.
버마판에는 미얀마의 대부분 해안 지역과 인도령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북쪽 끝 부분이 포함된다. 지형적으로는 안다만-니코바르 섬들을 잇는 호상열도, 이에 대응하는 순다 해구, 그리고 미얀마 서부의 아라칸 산맥[4]이 있다. 또한, 판의 동쪽 경계를 따라 안다만 해가 위치하며, 이는 인도양의 일부가 확장되어 형성된 열개 해역이다.
2004년 발생한 인도양 지진해일은 버마판 경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약 23만 명의 사망자를 낸 참사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버마판의 존재와 거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후 버마판의 미끄럼이 순다판과 인도판 사이의 응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동남아 지역의 복잡한 판 경계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버마판이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버마판은 섬호 지각으로 이루어진 판으로, 미얀마-안다만-수마트라로 이어지는 활화산 화산섬호를 포함한다. 지각 구성은 주로 해양지각과 호상화산의 조합이며, 한때 유라시아판 혹은 순다판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인도판의 사선 방향 섭입으로 인해 별도의 미끄러지는 판 조각이 된 것으로 이해된다.
버마판의 서쪽 경계인 순다 해구에서는 인도판이 버마판 아래로 빠르게 섭입하고 있어, 전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지진 중 일부가 발생했다. 대표적으로 2004년 12월, 순다 해구를 따라 버마판과 인도판 경계가 미끄러지며 발생한 Mw 9.2의 거대 지진과 인도양 쓰나미가 있다. 동쪽 경계는 안다만 해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변환단층[2] 및 확장축[3]으로, 버마판과 순다판이 상대 이동하며 안다만 해가 확장되고 있다. 이로 인해 안다만 해저에서는 해령형 지각 팽창과 열수 분출 등이 일어나고 있다.
버마판에는 미얀마의 대부분 해안 지역과 인도령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의 북쪽 끝 부분이 포함된다. 지형적으로는 안다만-니코바르 섬들을 잇는 호상열도, 이에 대응하는 순다 해구, 그리고 미얀마 서부의 아라칸 산맥[4]이 있다. 또한, 판의 동쪽 경계를 따라 안다만 해가 위치하며, 이는 인도양의 일부가 확장되어 형성된 열개 해역이다.
2004년 발생한 인도양 지진해일은 버마판 경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발생하였으며, 약 23만 명의 사망자를 낸 참사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버마판의 존재와 거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이후 버마판의 미끄럼이 순다판과 인도판 사이의 응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동남아 지역의 복잡한 판 경계 체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버마판이 핵심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