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대만/행정구역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중화민국
,
,
,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대만)의 실질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제1급
제2급
타이베이시(臺北市, 北)
가오슝 시(高雄市, 高)
신베이 시(新北市, 新北)
타이중 시(臺中市, 中)
타이난 시(臺南市, 南)
타오위안 시(桃園市, 桃)
타이완성(臺灣省, 臺)
신주 시
(新竹市)
자이 시
(嘉義市)
지룽 시
(基隆市)
난터우 현
(南投縣)
먀오리 현
(苗栗縣)
신주 현
(新竹縣)
윈린 현
(雲林縣)
이란 현
(宜蘭縣)
자이 현
(嘉義縣)
장화 현
(彰化縣)
타이둥 현
(臺東縣)
펑후 현
(澎湖縣)
핑둥 현
(屛東縣)
화롄 현
(花蓮縣)
푸젠 성(福建省, 閩)
롄장 현
(連江縣)
진먼 현
(金門縣)
1. 개요2. 실질 행정구역: 타이완 지구(대만지구)
2.1. 직할시2.2. 성
3. 명목상 영토: 미수복지구
3.1. 대륙지구
3.1.1. 직할시3.1.2. 성3.1.3. 지방3.1.4. 특별행정구
3.2. 제3국 지배하의 미수복지구

1. 개요[편집]

현재 중화민국 행정구역 중 중화인민공화국 등 타국이 통치하는 구역은 현지에서 폐지시켜 존재하지 않는 행정구역이 있는데, 이러한 곳들은 따로 설명한다.

2. 실질 행정구역: 타이완 지구(대만지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타이완 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직할시[편집]

  • 북부
    • 타이베이시(대북시) - 사실상 수도
    • 신베이시(신북시)[1]
    • 타오위안시(도원시)
  • 중부
    • 타이중시(대중시)
  • 남부
    • 가오슝시(고웅시)
    • 타이난시(대남시)

2.2. [편집]

3. 명목상 영토: 미수복지구[편집]

3.1. 대륙지구[4][편집]

3.1.1. 직할시[편집]

  • 난징시(남경시) - 명목상 수도
  • 광저우시(광주시)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경기도 광주시와는 다르다.
  • 다롄시
  • 베이핑시(북평시)[5]
  • 상하이시(상해시)
  • 선양시
  • 시안시(서안시)
  • 충칭시(중경시)
  • 칭다오시(청도시)
  • 톈진시(천진시)
  • 하얼빈시
  • 한커우시(한구시)[6]

3.1.2. [편집]

  • 간쑤성(감숙성)
  • 광둥성(광동성)
  • 광시성(광서성)[7]
  • 구이저우성(귀주성)
  • 넌장성[8]
  • 닝샤성(영하성)[9]
  • 랴오닝성(요령성)
  • 러허성(열하성)[10]
  • 산둥성(산동성)
  • 산시성(山西省, 산서성)
  • 산시성(陝西省, 섬서성)
  • 쑤이위안성[11]
  • 쑹장성(명목상)[12]
  • 쓰촨성(사천성)
  • 시캉성[13]
  • 신장성(신강성)[14]
  • 싱안성[15]
  • 단둥성(안동성)[16]
  • 안후이성(안휘성)
  • 윈난성(운남성)
  • 장시성(강서성)
  • 장쑤성(강소성)
  • 저장성(절강성)
  • 지린성(길림성)
  • 차하얼성[17]
  • 칭하이성(청해성)
  • 허난성(하남성)
  • 허베이성(하북성)
  • 허장성[18]
  • 헤이룽장성(흑룡강성)
  • 후난성(호남성)
  • 후베이성(호북성)

3.1.3. 지방[편집]

  • 시짱 지방(티베트 지방) -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시짱 자치구(티베트 자치구).

3.1.4. 특별행정구[편집]

  • 하이난 특별행정구[19]

3.2. 제3국 지배하의 미수복지구[편집]

중화민국의 명목상 영토지만 중화인민공화국도 아닌 제3국 지배하에 있는 지역들이다.
  • 타이완성(대만성) 소속 지역 -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20]
  • 신장성(신강성) 소속 지역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대부분[21]
  • 몽골 지방[22]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l logo.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7문서의 r11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직할시지만 구 타이베이현을 통째로 직할시로 승격시킨 거라 하나의 도시로 간주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2] 댜오위다오(센카쿠 열도)는 일본이 실효지배하고 있다.[3] 진먼, 마쭈 등의 일부 도서지역(진마지구)만이 중화민국의 실효지배 지역이고 나머지는 대륙지구(중화인민공화국 실효지배 지역)에 속한다.[4] 중화인민공화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지역.[5]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북경시).[6]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우한시 한커우구.[7]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광시 좡족 자치구.[8]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치치하얼시, 다칭시, 동부 쑤이화시.[9]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닝샤 후이족 자치구 및 아라산맹.[10]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청더시, 츠펑시, 차오양시, 푸신시, 동부 퉁랴오시[11]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후허하오터시, 바오터우시, 우하이시, 어얼둬쓰시, 바옌나오얼시, 상두현과 화더현을 제외한 우란차부시[12]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하얼빈시 중부 및 무단장시[13]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창두시[14]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15]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후룬베이얼시.[16]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단둥시, 퉁화시, 바이산시[17]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시린궈러맹.[18]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허강시, 자무쓰시, 솽야산시, 지시시.[19]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하이난성.[20] 일본이 실효지배하고 있다.[21] 타지키스탄이 실효지배하고 있다.[22] 현재 몽골국 전역 및 러시아 연방 투바 공화국. 그러나 2012년 헌법해석 변경 이후 둘다 실질적으로는 제외됐다.